블로그 저널리즘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제1절 문제제기

제2절 디지털 미디어에 대한 이해
1. 디지털 미디어의 개념
2. 디지털 미디어의 발달과정
3. 디지털 미디어의 일반적인 특성

제3절 블로그에 대한 이해
1. 블로그란 무엇인가?
2. 블로그의 특징
3. 블로그의 역사

제4절 블로그와 저널리즘
1. 저널리즘에 대한 블로그의 영향
2. 블로그는 저널리즘인가?
1) 블로그 저널리즘에 대한 긍정적인 견해
2) 블로그 저널리즘에 대한 부정적인 견해

제5절 결론

본문내용

심·이해관계를 갖는 블로그 이용자 간 이야기하는 상호작용의 문화라는 것이다. 따라서 블로그를 저널리즘의 한 형태로 이해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고 보고 있다. 헨리 젠키스(Henry Jenkins) MIT 교수는 ‘기존매체가 아젠다를 정하면 블로그는 확산시킨다“고 블로그 역할을 규정했다.
대개 블로그 저널리즘을 부정적으로 전망하는 사람들은 블로그는 온라인 공론장일 뿐이라고 주장한다. 미디어라면 새로운 뉴스를 생산해야 하지만 블로거들은 대부분 뉴스 생산자가 아닌 소비자인 경우가 많다는 것이다.
또한 딕 메이어(Dick Mayer)는 블로깅은 곧 저널리즘이라는 생각을 가질 필요는 없다고 이야기 한다(홍수원, 2005). 블로그가 저널리즘 구실을 할 때도 있지만 보통 대개는 그렇지 않으며 일단 뉴스 블로그가 되면 기존의 주류 언론들과 같은 과실에서 벗어나지 못하기 때문에 블로그가 바람직한 뉴스 블로그가 될 필요는 될 필요는 없으며 저널리즘과의 동일시가 아닌 독자적인 개념으로 받아들이는 것이 좋다고 보고 있다.
제5절 결론
블로그 저널리즘에 대한 논의는 아직 진행 중이다. 전 세계적으로 블로그의 미디어적 특성이 점점 더 부각되고 있지만 사실 블로그가 저널리즘을 위한 도구로 생겨난 것은 아니다. 블로그의 기능과 성격은 블로그를 사용하는 사람이 어떻게 사용하느냐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하지만 블로그는 미디어적 특성도 분명히 가지고 있다. ‘블로그 저널리즘’을 표방하는 사람들은 그 특성에서 미래의 가능성을 보고 있는 것이다.
블로기즘의 미래를 확신하고 있는 사람들은 블로그가 이미 저널리즘의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고 주장한다. 911 테러나 이라크 전쟁에서처럼 기존 매체가 전하지 못하는 곳의 소식도 블로그를 통해 전달되기도 한다. 블로거들 중에는 전문가들도 있으며 그들은 기자의 기사보다도 더 정확하고 심도있는 정보를 제공하기도 한다.
또한 블로그가 전통매체의 저널리즘적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대안이라는 의견들도 있다. 그들은 블로그의 뉴스 전달 방식은 강의형(lecture)이 아니라 대화형이며 뉴스의 내용은 언론사 조직의 목소리가 아니라 독자의 목소리라 이야기 한다(이상헌, 2005). 지금까지 전통매체는 일방적으로 정보를 전달하는 역할만을 해왔으며 제공하는 정보 역시 언론사라는 조직의 틀에서 자유롭지 못해왔다. 하지만 블로그는 이와 반대로 정보의 이름이 ‘전달’보다 ‘대화’에 가깝다. 또 기본적으로 ‘1인 미디어’인 블로그에서는 개인의 목소리가 조직의 목소리에 파묻히지 않는다. 그래서 많은 이들이 미래의 미디어는 블로그라고 주장하고 있는 것이다(이상헌,2005). 개인이 운영하는 블로그의 특성상 다른 사람들로부터 받는 영향을 최소한으로 줄 일수 있다는 것이 또 다른 장점이 되고 있는 것이다.
블로그는 단지 기술의 발전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많은 사람들이 블로그를 이용하고 있다는 것은 그만큼 기존의 언론들이 하지 못하던 일을 블로그가 어느 정도 충족시켜주고 있다는 것이다. 10년도 되지 않는 짧은 역사를 가지고 있는 블로그 저널리즘이 기존의 수백 년의 역사를 가지고 있는 주류 저널리즘에 영향을 미치고 위협하고 있다는 것은 적어도 기존의 언론과는 다른 매력을 블로그가 가지고 있다는 것을 뜻한다. 블로그의 발달모습은 다를 수 있지만 블로그는 커뮤니케이션의 수단으로서 많은 사람들을 사귈 수 있고, 무한한 잠재력으로 블로거의 상상과 참여에 따라서 새로운 블로그 문화를 창조할 수 있는 가능성도 지니고 있다.
이 시점에서 중요한 것은 ‘블로그가 미디어인가, 아닌가’의 문제보다는 블로그가 어떤 성격을 지니고 있으며 앞으로 어떠한 영향을 미칠 것인가의 문제이다. 현재도 블로그는 기존의 주류 언론들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그 영향이 긍정적이든, 부정적이든 그 영향은 점점 더 커질 것이며 블로그를 올바른 문화로 자리잡기 위해서는 더 많은 관심과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참고문헌>
김영석(2001). 『디지털미디어와 사회』. 나남출판.
김회경(2005.3.9). 블로그의 위력. 『한국일보』.
우병현(2001) . 『디지털미디어와 저널리즘』. 한국학술정보(주).
이상헌(2005.2). 블로기즘은 가능한가. 『신문과 방송』. 140- 143.
이은주(2004). 콘텐츠 웹사이트의 활성화를 위한 블로그 활용 방안. 이화여대 정보과학대학원 2003학년도 석사학위논문.
현대원, 박창신(2004). 『디지털 미디어』. 디지털미디어리서치.
홍수원 (2005.2). 블로깅과 시민 저널리즘이 돌풍 일으킨 2004년 .『MEDIA WORLDWIDE』 .176호. 10- 15.
황용석(2003.6). 누구나 저널리스트, 수익모델로도 각광 . 『신문과 방송』. 80-84.
Rebecca Blood (2002). The weblog handbook . 정명진 역(2003). 『블로그, 1인 미디어시대』 . 전자신문사.
Rebecaa Blood, Paul Andrews, Bill Mitchell, Tom Regan, J.D. Lasia, Paul Grabowicz, Sheila Lennon, Dan Gillmor, Glenn Harlan Reynilds, Christopher Allbritton, Eric Alterman, Mark Glaser, Keven Ann Willey, Steve Olsfson, Rrian Toonlan, Mike Wendland, Jane E. Kirtley, Larry Pryor(2003, Fall) . Weblogs and Journalism. 『Nieman Reports.
<인터넷>
김중태(2003). http://www.help119.co.kr/blog/archives/000040.html
오수정(2005) . http://blog.yonhapnews.co.kr/think2be
Mark Ward(2003) . http://news.bbc.co.uk/1/hi/technology/3078541.stm
jarrett(2003) . http://www.jarretthousenorth.com/2003/07/22.html
http://dear_raed.blogspot.com
  • 가격2,0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05.07.03
  • 저작시기2005.0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0589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