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음반산업의 구조적 문제점 및 음반산업의 발전전략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국내 음반산업의 구조적 문제점 및 음반산업의 발전전략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서론

Ⅱ.본론
1.음반산업의 이해와 국내 음반산업의 개요
1) 음반산업의 이해
2) 국내 음반산업의 개요
2.국내 음반산업의 발전과정
3.국내 음반산업의 특징 분석
1) 음반제작 system
2) 음반의 유통경로 및 구조
4.국내 음반산업의 현황
5.국내 음반산업의 구조적 문제점 분석
1) 음반제작 system의 문제
2) 음반의 유통구조 문제
3) 디지털 음반의 저작권 문제
6.국내 음반산업의 활성화 및 경쟁력 강화전략
1) 음반제작 system의 경쟁력 강화전략
2) 음반 유통구조의 다변화
3) 글로벌 시장 공략
4) 시대적 흐름의 음반시장 개척

Ⅲ.결론

참고자료 및 사이트

본문내용

간으로 제한하는 중국 정부의 쿼터제가 걸림돌이다. 이를 풀기로 원칙적인 합의만 이뤄진 상태이다. 또 다른 문제는 현지 매니지먼트사와의 관계이다. 현지 매니지먼트사는 물론 브로커 중에서도 계약을 성실히 이행하지 않거나, 사기를 치는 경우가 종종 언론에 보도되곤 한다. 가장 이상적인 형태는 현지 지사를 차리는 것이지만 법적인 문제가 걸림돌이 되고 있다.
현지에서의 문제보다 중요한 것이 국내의 준비상태이다. 중국을 염두에 두고 있는 연예계업체들은 아직 철저한 시장분석과 치밀한 마케팅 전략 등 문화산업적 마인드가 부족하다. 장기적인 계획을 가지고 중국 시장에 진출하려는 사람도 물론 있지만 한류 열풍을 타고 한 건 올리자는 한탕주의가 있는 것도 사실이다. 지난 해 10월 한국 가수들의 베이징 콘서트가 준비 부족으로 취소되자 중국 당국이 6개월 동안 한국 가수들의 중국 공연을 중지시킨 경우도 있었다. 막연히 중국 시장의 규모만 보고 법이나 유통망, 현지인들의 취향 등에 대한 준비가 없다면 틀림없이 실패할 것이다. 준비 없는 진출은 한국 연예인에 대한 중국인들의 신뢰를 떨어뜨린다. 따라서 한류를 이어가려면 우선 체계적인 매니지먼트 시스템을 갖출 필요가 있다. 또한 정부 차원의 적극적인 지원 시스템과 치밀한 전략에 근거한 대중문화계의 자체 경쟁력이 중요하다. 단기간에 돈을 벌려는 조급함보다는 10년 뒤를 내다보고 한국 대중문화가 중국에서 최고의 인기를 누릴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4) 시대적 흐름의 음반시장 개척
(1) 온라인 음원의 발달
① 포털업체 (엠파스, 네이버, 다음, 네이트, MSN등등)나 블로그 또는 메신저를 통해 유로 음악서비스에 잇따라 진출하였다.
② 음반사와 모바일 통신 업체와의 협력에 의해 개발된 모바일 컬러링 및 벨소리 다운로드 발달 (Melon, KTF캐치뮤직서비스, MUSIC ON)저작권료 대체화 활성
③ 싸이월드등 미니홈피의 BGM서비스 및 아바타 뮤직의 발달로 음반업계의 새로운길 모색 유도
(2) 새로운 음반 시장 구축(NEW off-line marketing)
라이브 공연 문화 활성화 ; 라이브 공연문화 활성화를 유도하여 그에 따른 공연 수익금 및 부수익에 대한 성과도 기대된다.
현재 기획되는 라이브 공연은 예전 라이브 공연과 다른 형태를 띄고 있다. 2000년대에 들어서면서 한류열풍으로 인한 라이브 공연은 듣기만을 위한 공연이 아닌 듣고 보고 즐기는 엔터테이먼트의 형식을 띄고 있다.
그 예로 가수 “비”와 “신화”의 경우에는 각 라이브 공연마다 드라마와 같은 테마와 스토리를 가지고 공연을 하고 있다. 그룹“신화”같은 경우에는 현재 스토리 형식으로 여름, 겨울등등 스토리 별로 DVD또한 판매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한류열풍을 이용한 드라마 콘서트의 형식이 생겨났다. 배우 최지우씨가 한국과 일본에서 “드라마 콘서트”를 열어 좋은 호응을 얻었다. 본인이 출연한 드라마의 주제곡을 가지고 OST 앨범에 참여했던 가수들이 게스트로 초정되어 노래를 부르고 주인공인 최지우가 몇 곡을 부르는 형태였다. 이에 따라 현재 많은 한국영화들이 아시아 국가들에 수출되는 미니 콘서트형식으로 바뀌면서 영화와 음악이 합쳐진 화보집OST의 생산량이 증가하고 있다.
유비쿼터스로 인한 음악이 흐르는 삶 ; 어느 아파트 광고에서 나왔듯이 일반 가정에서도 이젠 홈 네트워킹으로 인한 생활 속에서 여유로운 삶을 즐기면 언제든지 음악을 즐길 수 있다. 또한 DMB와 G3 차세대 이동통신(G3)
이동통신을 이용한 ACD(Asia Cooperation Dialogue)
ACD서비스로 인해 언제 어디서든지 음악을 들을 수 있다.
Ⅲ.결론
누구나 음악을 좋아하고 사랑한다. 하지만 그 사랑의 방식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음악을 만드는 사람은 항상 자신의 음악성을 잃지 않아야 그것의 사랑에 다가 갈수 있고, 듣는 사람은 그것의 맹목적인 사랑보다는 어느 정도의 비판적인 사랑을 할 때 진정한 사랑을 할 수 있지 않나 생각해 본다.
만드는 사람이 자신의 음악성이나 철학이 없이 돈만 바라는 목적으로 음악을 대할 때 그것은 ‘음악’이 아닌 ‘생각 없는 음의 나열 혹은 음의 도용’에 불과할 뿐이고, 청취자의 입장에서 맹목적인 사랑은 전자를 도와주는 역할을 할 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
위에서 살펴보았듯이 현재 한국음반산업은 침체위기에서 조금씩 벗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이 시기를 어떻게 극복하는가에 따라 음악이 더 낳아가 문화산업의 큰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될 것이다. 현재 한류열풍으로 인하여 각 분야의 문화들이 계획이 수립되고 전략화해 나가는 추세이다. 그만큼 문화산업의 가치는 돈으로 환산할 수 없을 정도로 크며, 음반시장 또한 전 세계적으로 계속 성장을 하고 있고, 우리나라 음반시장 역시 성장가능성이 크다. 음악 관련 전문가의 양성과 음반산업에 대한 끊임없는 투자, 연구에 음반산업의 발전과 미래가 달려 있다고 하겠다.
여기에 한국 음악 즉 음반산업 또한 세계나라들과 어깨를 나란히 할 수 있도록 계획하고 발전해 나가야 할 것이다. 우물안의 개구리처럼 국내에서의 수익성만을 가지고 음반을 제작하는 것이 아닌 넒은 안목으로 세계를 공략할 수 있는 철저한 시스템을 걸쳐 차근차근 기획하여 세계 널리 한국음악을 알릴 수 있어야 하겠다.
아울러 국가적인 차원에서 한국이 나아가는 방향이 IT산업이나 인터넷 산업임을 이미 알고 있으므로, 무조건적인 정보공유에 있어서의 제제보다는 조금 더 현실적인 안목을 가지고 상황을 대처하는 자세가 필요할 것이다.
참고자료 및 사이트
국내 음반유통 실태 분석 및 유통구조 개선방안/ 문화체육부
현대음악-대중음악,「한국현대문화사대계-문화예술편」/ 이상만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소
한국음반산업의 경제적 특성에 관한 연구/ 이의주 석사학위논문/ 서강대학교 대학원.
초국가적 음반산업의 한국시장지배에 관한 연구/ 이창현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우리나라 유통산업의 개방전략과 현대화/ 임종인/ 산업연구원.
한미일 유통산업의 구조분석/ 임종인, 송세환/ 산업연구원.
음반산업에 대한 고찰/ 최지연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한국 음악산업협회 http://www.miak.or.kr
  • 가격2,0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06.04.05
  • 저작시기2006.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4290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