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학]-신문활용교육(NIE) 프로그램 개발과 활용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교육학]-신문활용교육(NIE) 프로그램 개발과 활용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NIE 프로그램 개발
1) 신문 활용 교육(NIE)의 목적과 개념
2) NIE의 활용법
3) NIE수업의 두 가지 모형

2. NIE와 주제통합수업
1) 수업 계획하기
2) 수업의 절차

3. NIE와 읽기능력 및 작문능력 함양과의 관련성

본문내용

ng Monitor)
모두미가 차례로 활동하도록 책임진다.
모둠 활동의 수행을 돕는 역할
설명이
(Explainer)
설명을 담당한다.
기록이
(Recorder)
모둠 활동의 기록을 담당한다.
세우미
(Encourager)
모두미의 참여를 격려한다.
관찰이
(Observer)
모두미의 바람직한 행동을 관찰하여 지적해 준다.
이끄미
(Direction Giver)
모둠의 과제, 시간, 목적 등을 재확인시켜주고 지적한다.
도우미
(Support Giver)
모두미의 활동을 도와주고, 칭찬해준다.
명석이
(Clarifier)
모두미의 발표를 재정리해 준다.
모두미의 지식을 형성하는 역할
요약이
(Summarizer)
모둠의 결과물을 요약한다.
바로잡음이
(Accuracy Coach)
모둠의 활동 중 잘못된 부분을 바로 잡는다.
점검이
(Checker of Understand)
모두미 모두가 목표를 달성했는지 점검한다.
연구미
(Reacher/ Runner)
필요한 자료를 수집해서 과제와 관련시킨다.
정교미
(Elaborator)
이미 배운 것을 새롭게 완성한 과제와 관련시킨다.
창조미
(Generator)
모둠이 만든 결과물을 새롭게 재창조한다.
모두미의 사고력을 신장시키는 역할
비판이
(Criticizer of Idea)
아이디어를 비판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정당이
(Seeker of Justification)
모두미의 아이디어에 증거를 제시하는 등 주장의 정당화를 도와준다.
다름이
(Differentiator)
모두미의 아이디어를 다른 아이디어와 차이를 비교해 준다.
확산이
(Extender)
모두미의 의견에 좀 더 많은 정보와 의미를 보태어 준다.
선택이
(Options Generater)
여러 대안들을 만들어낸다.
탐구미
(Prober)
주장된 의견을 보다 깊이 탐구할 수 있도록 심도있는 질문을 한다.
뭉침이
(Integrater)
여러 모두미의 의견을 하나의 의견으로 통합한다.
출처: 정문성(2003). 협동학습의 이론과 실천: 교육과학사
활동하기
(5) 개별 학습 및 미니 주제 발표
개인이 맡게 된 학습내용을 준비해서 소집단내에서 미니 주제를 돌아가면서 발표와 토론을 하게 된다. 이때 <표-2>에서 제시한 모두미 역할들을 잘 사용하면 유익하고 재미있는 토론이 될 수 있다.
(6) 학급 발표 및 보고
미니 주제 발표가 끝나면 그것을 종합한 소주제를 전체 학급에 발표하기 위한 준비를 한다. 만약 학급 발표를 하지 않는다면 보고서를 제작을 한다. 신문 활용학습에서는 신문 자료의 넓이가 있으므로 가능하면 보고서를 전지같이 넓은 용지에 스크랩을 해서 학급 벽에 붙이는 방식이 권장된다.
평가 및 정리
(7) 평가
평가는 교사와 학습자가 함께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평가는 매우 수준 높은 고급사고력에 속하며 학습자가 평가능력을 가지도록 훈련하는 것도 교사의 의무이다. 그러므로 학습자에게 평가의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평가 대상은 두 가지이다. 하나는 보고서이고, 다른 하나는 소집단 활동이다.
만약 각 소집단이 활동한 결과인 보고서를 전지형태로 해서 학급벽에 게시했다면, 모든 학습자들이 우수한 보고서에 스티커를 붙이도록 평가기회를 주는 것이 좋다. 이때에는 몇 가지 범주를 제시해서 평가하게 하면 학습자의 평가적 사고를 향상시킬 수 있고, 그 보고서를 만든 학습자들은 자신들의 활동에 대해 좀더 정교하게 피드백을 받을 수 있다. 학습 주제에 따라 평가 항목은 달라 질 수 있을 것이다.
(8) 정리
소집단별로 보고 된 자료를 편집위원회를 조직해서 학급 보고서로 만들어 비치한다.
3. NIE와 읽기능력 및 작문능력 함양과의 관련성
NIE의 교육적 효과 중에서 가장 많은 효과를 기대해 볼 수 있는 영역은 바로 언어영역으로 서구에서 아동들이 독서를 하지 않아 언어능력이 떨어지는 것을 보완해주기 위해서 시작된 것이 NIE이다. 신문을 활용해서 아동들에게 기대할 수 있는 언어 능력의 향상은 단지 어휘수의 증가에 그치는 것이 아니다. 신문을 읽고 분석하며 자신의 의견을 발표하는 가운데 비판력과 함께 글쓰기의 기초인 지식의 축적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논리적이며 비판적인 글을 잘 쓸 수 있다는 것은 자신의 주관이 뚜렷하다는 것과도 일맥상통한다고 볼 수 있다. 그러므로 아이들에게 올바른 가치관을 심어주고 자신의 정체성을 깨닫게 하며 사회와 더불어 살아갈 수 있도록 지도할 수 있는 NIE 학습이 되어야 할 것이다.
논술이 중요시되면서 글쓰기에 대한 세간의 관심은 지대하다. 그래서 기존에 글쓰기를 지도하던 많은 선생님들도 NIE프로그램이 도입된 이후 신문을 활용하여 다양한 방법을 통하여 글쓰기를 지도하고 있다. 신문을 활용하여 글쓰기를 지도할 경우 기존 책만 가지고 글쓰기를 지도하던 방법과는 색다른 방법으로 접근할 수 있으며 지도받는 아동들의 경우도 단지 글쓰기만을 할 때보단 더 재미있어 한다. 재미있게 글을 쓰도록 유도해 주는 방법론적으로 NIE는 진행된다.
아이들에게 접근해가는 NIE접근방식은 실제 예를 들어서 설명하기로 하고 여기서는 글쓰기의 기초 등 여러 종류의 글을 쓰는 방법을 알아보도록 한다.
일기, 생활문, 감상문, 논설문 등 여러 종류의 글을 생생하게 살아있게 하는 것은 바로
'자세히 쓰기'이다. 느낌이나 생각을 많이 쓰도록 지도 하는 것 보다, 사실을 정확하고 자세하게 쓰도록 하는 것이 글을 구체적이고도 생생하게 한다. 자세히 써 나가다보면 그 안에 저절로 자기 느낌이 배어들게 되는 것이다. 또한 눈으로 보고 실제로 들은 것을 그대로 표현하도록 지도해야 한다. 머리 속에서 떠오른 관념으로 글을 쓰게 되면, 그 글은 흐리멍텅하게 될 수밖에 없다. 그럴듯하게 쓰기는 했지만 어딘지 알맹이가 빠진 듯한 글들을 흔히 볼 수 있는데 이것도 자세히 관찰하고 정확하게 쓰는데서 고쳐질 수 있다.
■ 참고문헌 ■
신문으로 공부하자(NIE시리즈 1), 이정균 엮음, 민미디어, 1999(학위논문)
신문을 활용한 독해력 신장방안 연구, 윤종원, 한국교원대학교, 1999(학위논문)
신문활용교육이란 무엇인가 : NIE의 이해와 실제, 허병두 지음 중앙 M&B, 1998(단행본)
  • 가격1,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6.05.26
  • 저작시기2005.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5140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