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산업 PPL을 통해본 방송매체의 PPL 양성화를 위한 대안제시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영화산업 PPL을 통해본 방송매체의 PPL 양성화를 위한 대안제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공공성과 상업성의 딜레마와 방송에서의 간접광고의 관계
(1) 공공성과 상업성
(2) 자본주의 사회에서 기업으로서의 방송

2. PPL이란 무엇인가?
1) PPL의 개념이해
(1) PPL의 정의
(2) PPL의 등장배경
(3) 유사개념 정의와 PPL과의 비교
(4) PPL광고의 유형
(5) PPL의 효과

3. 영화 속 PPL 사례 및 특징
(1) 영화 PPL의 사례
(2) 영화 PPL의 특징

4. 방송 PPL규제현황 및 사례 분석
1) 방송 PPL 규제현황
2) 방송 PPL 사례분석

5. PPL을 바라보는 여러 시각들
1) 제작진
2) 방송위원회
3) 시민단체

6. 방송매체의 PPL의 양성화를 위한 대안제시
1) 방송 PPL의 영향과 규제의 현실적 한계
2) PPL의 양성화를 위한 대안제시

본문내용

수의 소위 버라이어티 쇼 들이 개성 없는 유사한 포맷을 가지고 있는 이유에 대해서 그럼에도 불구하고, 시청자들은 불평을 하면서도 그 프로그램을 보기 때문이다고 답변하는 등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높지 않은 질에 대한 원인을 시청자들의 몫으로 돌리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일반인들이 알 수 없는 고충들이 프로그램의 제작 현장에는 늘 존재할 것이라는 것을 고려한다고 해도 방송을 제작하는 사람들의 이러한 안일한 태도는 쉽게 변화되리라고는 기대하기 어렵다. 따라서 간접광고를 양성화하는 문제에 있어서 방송 제작자들의 인식변화를 요구하는 것은 현실적인 한계가 있다.
따라서 우리는 PPL을 인정할 수밖에 없는 방송 시장, 더 나아가서 자본주의의 속성을 이해하는 측면에서 과연 간접광고, PPL의 양성화를 위해서는 장르별 간접광고 적용 법률의 세분화가 필요하다고 결론지었다.
현재 우리나라의 간접광고 관련 법조항은 단 하나에 그친다. 우리는 이번 연구에서 사례 분석으로 영화와 드라마의 간접광고 실태를 조사했다. 방송은 드라마/ 연예오락/ 뉴스 세 장르로 분류하여 분석했는데 그 결론은 방송의 장르별 간접광고의 형태가 달랐으며 그에 따른 차별적 법률적용이 필요함을 인식했다. 드라마의 경우에는 스토리가 있기 때문에 간접광고가 되었다고 해서 무조건 그것을 제재할 것이 아니라, 그 간접광고가 드라마 내용전개상 얼마나 불가피 한 것이었나에 대한 판단이 뒤따라야 한다고 생각했다. 드라마는 방송 장르 중에서도 가장 현실을 반영하는 장르이다. 따라서 시청자에게 친근감을 주고 현실감을 주기 위해서는 실제 우리가 사용하는 제품이나 장소 등이 노출되어야 할 경우가 있다. 이런 것을 감안하여 드라마의 간접광고 유무를 판단해야 한다. 그에 반해 연예오락 프로그램, 소위 버라이어티쇼는 특정한 스토리 없이 순간 순간의 상황전개와 그것이 전해주는 우연적인 요소들로 시청자들에게 접근하고 있다. 이런 측면에서 연예오락 프로그램에 대한 간접광고의 제재는 다른 장르보다도 더욱 강하게 규제하여야 한다. 요즘 연예오락 프로그램의 소위 트랜드는 연예인들이 무리지어 등장한 후 편을 가르고 대결을 하는 포맷인데 이런 경우 단체로 한 업체의 의상(특히 운동복)을 입는 것이 유행이다. 이럴 경우 카메라가 어느 부분을 잡더라도 그 업체의 상호와 디자인 등이 노출된다. 이는 방송사의 상업적인 의도가 짙게 깔려있다고 밖에 해석할 수 없는 부분이다. 또 인기를 얻고 있는 이 장르의 트랜드는 정보전달을 가장한 오락성 프로그램이다. MBC의 일요일 일요일 밤에의 한 테마인 브레인 서바이벌과 KBS의 스펀지가 그런 형식을 띠고 있다. 브레인 서바이벌은 출연자의 면면을 소개하면서 그들이 출연한 특정 광고나 영화 등을 간접광고하는 경우가 많았고 스펀지는 담당 피디의 말대로 알아도 그만 몰라도 그만인 지식을 전달해 주면서 관련된 상품이나 업체, 특히 장소 등을 과다 노출하는 위법성을 보이고 있었다. 이런 연예오락 프로그램은 내용이나 진정한 의미의 정보성이 결여된 프로그램이므로 그에 대한 간접광고의 규제는 더욱 섬세하게 이루어 져야 한다. 마지막으로 뉴스에서도 간접광고가 확인되었다. 뉴스의 간접광고에서 고려해야 할 사항은 정보성과 광고성이 동전의 양면처럼 밀착되어 있다는 것이다. 어떤 제품이나 인물, 공연, 장소 등의 정보를 제공해 줄 때 부가적으로 또는 의도적으로 그에 대한 광고가 뒤따르기 마련이다. 뉴스의 생명은 공정성임을 가만할 때 정보원이 제공한 제품 등에 대한 뉴스 취재자들의 철저한 확인작업, 심층 취재가 뒤따르고 사실과 더불어 평가가 수행되어야 제공되는 정보에 대한 간접광고의 시비에서 멀어질 수 있을 것이라는 판단이 든다. 또한 방송을 시청하는 “시청자의 눈”, 상품을 소비하는 “소비자의 눈”을 크게 뜨고 우리가 방송에서 무엇을 원하고 있는지 제대로 전달해 줄 수 있다면 방송에서의 PPL은 기업의 마케팅 수단의 일부로서 또한 소비자의 정보충족을 위한 수단으로서 건전하고 양성화될 수 있을 것이다.
* 참고 문헌
리대룡, 강석보(1999). 촉진수단으로서의 제품배치: 비판적 리뷰 『광고홍보연구』권 2호.
리대룡, 강석보(1998). 상표배치의 설득효과 『언론문화연구』년 15집, pp.103-135.
막스 셔더랜드(1998). 『광고를 움직이는 소비자 심리』 경문사.
마재욱 (1999). 간접광고의 고속질주, 방송 상업화의 반증.
박난희 (1995). 방송과 간접광고, 공생관계인가. 『방송과 시청자』, 7월호, 44~45.
박순화 (1999). 광고 암시장으로 자리 매김. 『방송과 시청자』, 6월호, 12~15.
김재훈 (2000). 사고 싶다 무의식 욕망 자극..PPL 왜 통할까.『한국경제신문』, 11.27.
이혜원 (2003).『국내 영화 속 제품배치(PPL) 실태에 관한 연구』. 중앙대국제경영대학원.
김창아 (2003). 영화에서의 PPL -영화속 PPL마케팅, 매력과 효과.
김상훈 (2002). 『TV 간접광고에 대한 인식 및 운용 방안에 관한 연구』
경실련 MEDIA-WATCH (2003).『지상파방송의 상업화를 선도하는 간접광고와 협찬문제 모니터 보고서』.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서상원(1996). 영화와 광고/PPL사업과 광고효과, 사보 제일커뮤니케이션즈, 243호
이철민(1998). PPL의 이해와 실제-영화 속에서도 광고를 한다 사보 LG애드, 152호
김주호(1999). 공동마케팅, 사보 광고정보, 219호
남기창(2001). 멀티미디어 시대의 대안적 광고수단, 재품배치(PPL), 광고계 동향, 124호
박용집(2001). 알게 모르게 움직이는 메시지만이 살아있는 PPL이다, 월간 광고계동향
* 학위논문
최대천(2002) “영화 속에 표현된 PPL광고연구”, 홍익대 광고홍보대학원
강석보(1998) “영화 속 제품배치의 광고 효과연구”,중앙대 신문대학원
이성수(2001) “영화 속 PPL의 커뮤니케이션 효과에 관한 연구”, 경희대 언론정보대학원
김상연(2002) “영화관 CF가 영화 속 PPL에 미치는 효과 연구”, 경희대 언론정보대학원
김하리(2000) “텔레비젼 프로그램에서 제품배치 PPL의 효과연구”,중앙대 신문방송 대학원

키워드

추천자료

  • 가격3,000
  • 페이지수30페이지
  • 등록일2006.06.12
  • 저작시기2004.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5428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