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비문학과 희곡과의 관계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구비문학과 희곡과의 관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3. 결론

본문내용

단인 남사당패에서도 연희되었다.
서구의 연극과 달리, 막과 막 사이에 독자적인 내용을 가지는 것이 특색이다. 또한, 무대 밖의 악사나 관중이 무대 안의 인물들과 수시로 대화하는 방식을 취하여 거리를 없애고 있다. 꼭두가시 놀음은 주로 남사당들에 의해 존속되어 왔으며, 현전하는 것으로 <홍 동지 놀음>, <박 첨지 놀음> 등이 있다. 탈춤과 마찬가지로 사회에 대한 비판 의식이 강하게 나타나며 풍자가 오히려 탈춤보다 신랄하다는 점에서 관중인 서민의 참여가 보다 적극적이었음을 알 수 있다.
전체 8막 중, 제 5막 표 생원에 해당하는 부분에서, 표 생원이 오랫동안 헤어져 있던 본처 꼭두각시를 만나는데 첩인 돌모리집을 상면시키자 싸움이 벌어지고, 박 첨지는 살림을 나누어준다면서 첩에게만 후하게 나누어주자, 꼭두각시는 금강산으로 중이 되러 가겠다고 퇴장하는 장면이 등장한다. 이 작품 역시 서민들 사이에서 연회되어왔던 관계로 비속하고 해학적인 표현이 많이 사용되어 있어, 우리 나라 전통 인형극의 특징인 골계미를 엿볼 수 있으며, 또한 주제 면에서도 일부 처첩제로 인한 가부장적 가족 제도라는 사회적 모순에 대해 신랄하게 풍자하고 있다. 이렇듯 우리 전통 인형극이나 탈춤에서는 주로 대사의 적나라한 표현과 일상성에 의해 등장 인물을 희화화시키고 있는데, 이것은 바로 넓은 의미의 해학 혹은 골계의 정신이라고 할 수 있다.
3. 결론
지금까지 통시적인 관점에서 이루어진 연행물의 텍스트에서 구비적인 요소를 찾아보면서 구비문학과 희곡의 연계성을 알아보았다. 살펴본 바와 같이 희곡은 연극의 텍스트라는 점에서 연극적 요소를 필히 수반해야만 하고, 구비전승 되어온 이야기들을 연행해왔다는 것에서 구비적 특징을 갖는다. 우리 나라 전통극에서 특이성은 서양과는 달리 참여적인 관객과 함께 극을 만들어 가는 방식에서, 관객의 대부분인 상민 특유의 골계미와 해학이 들어간다는 것이다. 이것은 절대적이고 한정지어진 텍스트가 없다는 것에서 많은 사람들이 참여할 공간을 남겨두게 되었고, 이 때문에 희곡은 구비문학의 특성인 유동성이 두드러지게 되었다.
우리 나라의 범주를 떠나서 연극은 인간의 원형을 담고 있고, 원시시대부터 이어온 구비문학과는 뗄 수 없을 것이다. 또한 구비문학은 기본적으로 기록문학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전통연극의 올바른 이해를 위해서는 아직까지 미흡하고 부족한 구비문학에 대한 다양하고 지속적인 연구가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 가격1,3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6.07.25
  • 저작시기2006.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5999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