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사’에 대해서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황사’에 대해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황사(黃砂) 현상이란?

2. 조선시대에도 황사 기록

3. 어떻게 움직일까?

4. 어째서 봄에 생기는가? 얼어 붙어있던 흙 녹아 최적 조건

5. 어떤 영향을 미치나
(참고) 황사를 보는 눈 라이다!
(참고) 겨울의 황사 누런 눈

6. 주요발생지역(중국)

7. 황사의 역사

8. 황사의 수송

9. 황사현상의 피해

본문내용

본의 경우는 1년에 평균 5일 관측되며, 주로 일본의 서쪽 규슈지방에서 자주 발생한다.
8. 황사의 수송
(1) 우리나라는 위도상 중위도 편서풍대에 위치하고 있어 황하유역과 중국 및 몽고사막 등에서 봄철 기온이 따뜻해지면 강한 한랭전선을 동반한 저기압이 발달할 때 그 전선 후면에 강풍과 함께 발생한 토양먼지가 매년 3~5월경에 편서풍을 타고 1,500~2,000 km이상의 거리를 이동하여 우리나라, 일본 및 하와이까지 이동된다.
(2) 배출량의 배분
발원지에서 배출되는 황사량을 100%라 할 때, 보통
- 30%가 발원지에서 재 침적되고,
- 20%는 주변 지역으로 수송되며,
- 50%는 장거리 수송되어 한국, 일본, 태평양(하와이등)등에 침적됨.
(3) 북태평양으로 유입되는 먼지는 주로 봄철에 대기 상층의 편서풍을 타고 아시아로부터 운반되는 것으로 총량이 약 2천만톤에 달한다. 수 천년이 넘는 기간동안 해저에 퇴적된 광물입자들을 분석한 결과 북서 태평양 퇴적물이 아시아에서 바람에 의해 운반된 물질들을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
(4) 우리나라에는 매년 3~5월에 황사가 관측이 되는 데, 평상시에는 10~50 ㎍/m3인 먼지농도가 100~500 ㎍/m3로 증가하며, 황사의 주성분인 Si, Al, Ca, K, Na 등의 농도가 상승한다.
(5) 황사기간('93. 4.23~26) 동안 총 황사발생량 104백만톤 중 92%에 해당되는 96백만톤은 침적되고, 2%에 해당되는 2백만톤은 5,200m 고도내에 부유되며 나머지 6%에 해당되는 6백만톤은 우리나라 동해를 빠져나가는 것으로 추정되었음. 한편, 황사기간 동안 황사발원지에 67백만톤, 우리나라에 5천톤 정도 침적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국립환경연구원, 1997).
(6) 또한 황사는 하층에 한기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 고원지대의 혼합층이 지상 2~3km 높이에서 상층 혼합층이 형성되어 이동할 수 있다. 발원지에서는 황사 대부분이 혼합층내에 갇혀 있었으나 일부지역에서 지역적으로 형성된 상승류에 의해 황사가 상층으로 수송될수 있으며 이로 인해 황사가 2층 구조로 형성된다. 한반도 상층으로 황사가 통과하는 경우 지상에서는 먼지농도가 낮게 나타난다.
9. 황사현상의 피해
황사현상은 태양 빛을 차단, 산란시킴으로서 시정을 악화시키며 농작물이나 활엽수가 숨쉬는 기공을 막아 이들이 자라나는데 장애를 일으킨다.
따라서 황사현상이 자주 발생하게 되면 농작물이나 산림 등에 큰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 또, 반도체, 항공기 등 정밀기계 작동에도 문제를 일으켜 적지 않은 손상을 입히기도 한다. 황사가 인체에 주는 피해는 호흡기관으로 깊숙이 침투해서 기관지염을 일으키기도 하고 눈에 접촉해 결막염 안구 건조증 등의 질환을 유발한다. 한국과 일본의 상공에 분포하는 황사의 크기는 보통 지름이 1~10 마이크로미터로 아주 작은 입자인데 이런 작은 모래 입자에 중금속이나 아황산가스, 산화질소, 탄화수소 등이 달라붙어 겨울 안개에 섞여 호흡기에 지속적으로 접촉되면 기관지염이 유발될 수 있어 매우 위험하다.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6.08.28
  • 저작시기2006.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6232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