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전체 문학 분석 : 이규보의 국선생전(麴先生傳)에 대하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가전체 문학 분석 : 이규보의 국선생전(麴先生傳)에 대하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가전(假傳)에 대하여

2. 이규보(李奎報)의 국선생전(麴先生傳)
1) 어휘 및 구절풀이
2) 핵심 정리
3) 작품 해설
4) “국선생전”을 통한 작자의 의도
5) 감상

3. 임춘(林椿)국순전(麴醇傳)
1) 어휘 풀이
2) 핵심 정리
3) 작품 해설
4)감상

4.“국선생전”과 “국순전”과의 관계
(1) 영향
(2) 주제상의 차이점

참고자료

본문내용

활하며 많은 시문을 남겼다.
갈래 : 가전(假傳)
성격 : 풍자적
표현 : 의인법
구성 : 일대기를 중심으로 한 순차적 구성
제재 : 술(누룩)
주제 : 간사한 벼슬아치의 풍자
의의 : 현전하는 가전체 문학의 효시이다. 이규보의 "국선생전"에 큰 영향을 끼쳤다.
3) 작품 해설
가전(假傳)은 세상을 비판하고 풍자하면서 계세징인(戒世懲人)하고자, 사물을 의인화하여 실전(實傳)과 같은 기술 방법으로 써 나가는 국문학의 한 갈래이다. "국순전"은 술을 의인화하여 술이 사람에게 미치는 영향을 말한 작품인데, "국순전"에 나타난 술의 교훈은 두 가지로 요약된다. 술은 흥을 돋우어 주는 것이지만, 너무 마시면 나라마저도 망칠 수 있다는 것이다.
4)감상
고려 무신 집정 때 문인 임춘이 술을 의인화하여 지은 가전 작품이다.
작가는 이 작품을 통해서 인생과 술의 관계를 문제 삼고 있다. 즉 인간이 술을 좋아하게 된 것과 때로는 술 때문에 타락하고 망신하는 형편을 풍자하고 있다. 그러나 이 작품은 인간과 술의 관계를 통해서 임금과 술의 관계를 조명하여 본 것이다. 당시의 국정의 문란과 병폐, 특히 벼슬아치들의 발호와 타락상을 증언하고 고발하려는 의도의 산물이다. 이 작품은 모리배들의 득세와, 뛰어난 인물들이 오히려 소외당하는 현실을 풍자, 비판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동일하게 술을 의인화한 이규보의 "국선생전"에 큰 영향을 주었다.
4."국선생전"과 "국순전"과의 관계
이규보의 "국선생전"은 임춘의 "국순전"과 마찬가지로 술(누룩)을 의인화의 대상으러 하였지만 그 주제는 다르다. "국순전"은 도량과 인품을 갖추고 있는 국순이 방탕한 군주에게 등용하되었다가 세상을 어지럽히고는 은퇴해서 곧 죽었다는 내용으로, 정사를 돌보지 않는 군주까지 비판하면서 술로 인한 폐해를 드러낸 것이다. 반면에 "국선생전"의 국성은 도량이 크고 성품이 어질며 충성이 지극한 긍정적 인물로 서술되었다. 국성이 '국선생'이라 불린 점이라든가, 만년까지 제 본분을 지키고 화평한 삶을 누린 것이 이와 같은 인식의 차이를 단적으로 보여 준다. 결론적으로 말해서 두 작품은 술의 내력, 성질, 효능 등을 사람의 개성, 기질, 욕구 등으로 의인화하는 수법을 사용했다는 점에서는 공통적이나, 사건 구조와 인물형에 있어 상당한 차이를 가지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차이 가운데서 술의 효능과 가치를 훨씬 긍정적으로 표현한 쪽은 물론 이규보의 "국선생전"이다.
(1) 영향
관련 인물과 지명, 서술 방식 등에 있어 많은 유사성이 발견된다. 이규보의 "국선생전"은 이보다 앞서 나온 임춘의 "국순전"에서 제목, 관련 인물, 지명, 서술 방식 등의 영향을 받았다고 할 수 있다.
(2) 주제상의 차이점
"국순전"이 요사하고 아부하는 정객들을 꾸짖고 방탕한 군주를 풍자하는 것을 목적으로 했다면, "국선생전"은 미천한 몸으로 성실하게 행동하였기 때문에 관직에 등용되었고, 총애가 지나쳐서 잘못을 저질렀지만 물러난 후 반성하고 근신할 줄 아는 인간상을 그렸다. 즉, 국난을 당해서 백의종군(白衣從軍)까지 하는 위국 충절의 대표적 인간상을 등장시켜 사회적 교훈을 강조하였다.
(3) 본을 삼은 작품
송나라 때의 <태평광기(太平廣記)>의 '서막(徐邈)' 설화에서 많은 본을 받았으며, "청화선생전(淸和先生傳)"에서 직접 본을 받았다고 할 수 있다.
참고자료
1. 조희웅, 고전 소설 작품연구 총람, 집문당, 2000
2. 인권환 외 공편, 한국고전산문선, 태학사, 1995
3. 성호경, 가전의 우의성, 한국학대학원 석사논문, 1982
4. 한국고소설연구회, 『한국고소설론』, 아세아문화사, 1991.
5. 《국문학개론》, 김광순 외, 새문사, 2003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6.09.16
  • 저작시기2006.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6425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