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독교 사회복지실천 및 사회복지사 훈련프로그램의 개발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 목 차 ]
Ⅰ. 기독교 사회복지실천
1. 기독교사회복지와 교회사회사업
2. 기독교사회복지의 개념화
3. 특수한 영역의 사회복지 실천

III. 기독교 사회복지의 개념과 사회복지사 양성의 필요성
1. 기독교 사회복지의 개념
2. 기독교 사회복지사의 근원
3. 기독교 사회복지사 양성의 필요성

IV. 독일의 기독교 사회복지사 훈련프로그램
1. 뷔션(Wischern)과 기독교 사회복지
2. 기독교사회복지사 교육과정

V. 기독교 사회복지사 훈련 프로그램개발
1. 기독교 사회복지사 훈련의 목표
2. 기독교 사회복지사 훈련 방법
3. 교과과정
4. 기독교 사회복지사훈련의 제도적 장치
5. 논의 사항

Ⅵ.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것이다.
① 신학적(기독교적) 배경을 가지고 있는 지원생에 대한 훈련 모델
사회복지에대한 이해(철학.가치, 지식, 기술.방법), 사회복지 현실에 대한 이해, 사회복지의 증진 방법의 이론과 실제에 대한 훈련 및 교육과정이 필요하다.
② 사회복지학적 배경을 가지고 있는 지원생에 대한 훈련 모델
기독교적 정신(사회복지의 신학적 배경), 기독교 사회복지사, 교회의 인적.물적 자원에 대한 이해와 활용방법에 대한 훈련 및 교육과정이 필요하다.
③ 신학.사회복지학적 배경이 모두 없는 지원생에 대한 훈련 모델
①과 ②의 훈련 및 교육과정을 동시에 훈련시켜야 한다.
4. 기독교 사회복지사훈련의 제도적 장치
① 기독교 사회복지사의 제도화
총회에서 단순히 기독교 사회복지사의 양성 필요성에 대한 의결차원을 넘어, 교인 몇명 이상교회는 의무적으로 기독교 사회복지사를 두어야 한다는 것을 총회의 법으로 제정하고 이를 위한 특별 운영위원회를 구성하여 기독교 사회복지사의 양성을 제도화 해야할 것이다.
② 위탁교육기관 선정
이와 같은 것이 제도화 된다면 많은 교회들이 위탁교육을 신청할 것이며, 총회의 운영위원회은 여러가지 기준에 부합되는 적절한 위탁교육기관을 선정하여 기독교 사회복지사의 훈련을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③ 자격증발급
위탁교육을 받은 후 기독교 사회복지사가 되기위해서는 이를 위한 자격증 시험을 치루교육의 내용을 평가하여 전문성을 인정받아야 할 것이다. 이러한 자격증 발급은 초기에는 위탁교육을 실시하는 기관에서 이를 취급하고, 좀더 발전적으로는 한국 기독교 사회복지협의회를 구성하여 이 기관에서 자격증 시험과 발급을 담당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5. 논의 사항
첫째, 기독교사회복지사 양성수준이다. 예를 들어 전문대에서는 준전문(paraprofessional), 대학(학부)에서는 기초 전문가(general), 그리고 대학원 수준에서는 고등 전문가(advanced) 양성을 그 목표로한다면 기독교 사회복지사 훈련의 목표는 어디다가 둘 것인가하는 문제이다.
둘째, 훈련기관, 훈련내용, 훈련 수준간의 관계의 문제이다.
우리나라의 경우도 세부적으로는 복지관련 과목을 공개, 단위의 호환성 채택, intercollege 방식에 의한 학습기회의 확대, 취학년한의 철폐 및 part time student방식의 채택, 생애학습으로서의 복지교육에 대한 배려, 대학원 수준에서의 대학간 상호협력을 통한 독립 연합 대학원의 개설 방안 등을 검토해 볼 가치가 있다고 생각된다.
특히, 기독교 사회복지 훈련을 받기를 원하는 사람들에게 가까운 대학에 가서 정한 과목을 이수하면 자격을 부여하는 방안 검토해 볼만하다고 생각된다.
훈련지원자의 훈련동기(자격증 획득, 기독교 사회복지사 자질 함양 등)와 처한 상황에 따른 훈련 기간, 이수 학점, 그리고 훈련장소 및 훈련방식(집중식, 통년식) 등이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훈련의 주체이다. 대학, 기독교 단체, 혹은 전문 훈련기관에 따라 훈련의 목적, 내용, 그리고 방법에 많은 차이를 보일 것이다. 왜야하면 훈련을 추진하는 조직 자체의 정신, 목표가 훈련과정에 영향을 미칠수 있기 때문이다.
지금까지 기독교사회복지사 훈련을 받으려고 하는 사람들은 대부분 기독교적 바탕을 가진 사람들 이었다. 그러기 때문에 기독교사회복지사 훈련에 사회복지적인 부분이 강조되었지만, 앞으로의 변화에 대비하여 신학적 배경이 없는 사람들에게 기독교적인 부분을 어떻게 무엇을 훈련시켜야 할 것인가에 대한 논의가 있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훈련모델이 개발되면 사회복지학과 학생들에게 사회복지적 가치와 윤리 교육에 뿐만아니라 기존의 사회복지사들의 재교육에 크게 기여하리라 본다.
Ⅵ. 결론
사회복지는 사회의 제도에 의해 도움을 못받아 곤경에 처하고 고통받는 사람이 존재하는 한 그것을 보충하는 역할의 필요성이 지속될 것이며, 그러한 상황이 없어질 때까지 교회의 사회복지를 위한 재정지출을 늘리라는 요구는 계속될 것이다. 그리고 교회의 사회복지 가지고 있는 여러 가지 자원을 활용하여 국가의 공적인 사회복지제도에 다양성과 창의성, 자율성을 추가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물질적인 측면에서만 교회의 사회복지를 이해해서는 안된다. 교회의 사회복지는 도움을 주는 자와 받는 자 모두 믿음의 실천에서 오는 기쁨과 하나님의 사랑을 경험하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을 최우선 목표로 하여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기독교문사. 기독교백과사전. 1983, "사회봉사"항목.
김동배. "교회 사회봉사사업의 실태." 예장 사회봉사 총람 심포지움. 1993, pp. 45-116.
김장대. 기독교 사회복지학. 1998.
김홍근. "종교의 사회복지 기여도 평가." 의협신보. 1997. 5. 22, p. 20.
박종삼. "교회 사회봉사에 대한 사회복지적 접근." 교회사회봉사총람. 1994.
이영갑. "예장(통합)의 사회봉사 현황과 과제." 교회사회봉사총람. 1994.
장인협외 2인. 사회복지학. 1999.
칼빈. 기독교 강요.
한국자원봉사능력개발연구회. 한국교회 사회봉사사업 조사연구. 1990.
홍경준. 한국의 사회복지체제 연구. 1999.
海老尺有道, 大內三郞共著 『日本キリスト敎史』 日本基督敎團 出版局, 1970.
竹中正夫著 『眞人の共同體』 新敎出版社. 1962.
鈴木五郞著 「公私社會福祉施設の動向をきめゐ 件」(『社會福祉硏究』 第6號) 鐵道弘濟會. 1970.
阿部志郞著 「キリスト敎と社會事業」 『キリスト新聞』 1967年 12月 13日號
F. Milson 前揭書
McDonald. "Survey finds religious groups strongly favor more collaboration." Foundation News. 35. 1984, pp. 20-24. 나눔의 집. 사회복지대백과사전. p. 2418, 재인용.
Midgley, James. Social Welfare in Global Context. 1997.
Salamon, L. American's nonprofit sector: A primer. New York: Foundation Center, 1992
http://www.goscon.co.kr.

추천자료

  • 가격2,7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07.03.21
  • 저작시기2007.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9997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