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전쟁과 그 과제 - 끝나지 않은 전쟁
본 자료는 10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한국전쟁의 발생 배경
1. 국제 사회의 형성
2. 한반도 내부의 갈등
3. 누가 전쟁을 일으켰는가

Ⅱ. 한국전쟁의 전개 과정
<1> 전쟁의 전개
1. 북한의 남침
2. 미국의 개입
3. 전쟁의 봉합
4. 한국전쟁 통계
<2> 전쟁 중의 학살과 피해상황
1. 양민학살인가, 민간인학살인가
2. 남한의 학살
3. 북한의 학살
4. 민간인 학살, 그 이후

Ⅲ. 한국전쟁의 결과와 과제들
<1> 전쟁 이후의 상황
1. 휴정협정 및 국가 간의 이해관계
2. 휴전이후 포로 교환
3. 휴전이후 남북한의 서로에 대한 인식
4. 전쟁이후 남북한 주민들의 삶과 경제활동
<2> 과제들
1. 정부의 통일방안
2. 통일에 대한 대중적 시각
3. 이산가족 문제

Ⅳ.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결합은 당사자들에게 있어 일종의 문화. 심리적 충격이다. 혈연관계는 맺어져 있으나 수십 년 동안 만나지 못하고 서로 다른 문화 속에서 살아왔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봉 및 재결합의 순간의 감격과 흥분이 가라앉으면서 남북의 가족 및 친척들은 서로간의 문화. 심리적 차이로 인해 상호 적응의 과정에 있어 혼란과 갈등을 느끼게 될 것이다. 특히 경제적 이유로 인한 상호부담 내지 갈등이 빚어진다면, 경우에 따라서는 오해와 불신이 깊어서 서로 마음의 벽을 쌓거나, 다시 헤어지는 바람직하지 못한 결과를 가져 올 수도 있다.
1) 이념 및 문화의 심리적 갈등
보통의 경우 김일성 혁명사상과 주체사상 교육으로 물든 북한의 젊은 세대들이 남한의 가족. 친지들과 상호적응 하는 과정에서 반자본주의적인 심각한 이념적 갈등을 겪을 가능성을 배제 할 수 없다.
2) 법적 문제 처리과정에서 문제점
남북의 이산가족이 재결합하게 되면 가족 또는 친족으로서의 법률관계가 회복되거나, 또는 새로운 가족관계가 형성될 될 것이다. 그 과정에서 중혼, 특히 금전적인 문제가 직결되는 상속등과 관련하여 문제가 발생할 것이며, 이는 현실적인 이해관계가 얽힌 문제 이므로 처리 과정에서 당사자 간의 심리적 갈등을 빚을 수 있다.
(4) 해결 방안
1) 심리 상담 및 조언
상봉 및 재결합을 전후해 상봉 및 재결합 당사자들의 충격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심리 상담 및 조언해 줄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특히 문화적 충격이 큰 북한의 가족 및 고령의 이산가족들에게 더 비중을 두어야 한다.
2) 상호 적응 도모
상봉 후 재결합 이전에 남북 이산가족의 상호 적응을 돕기 위한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것이 바람직 한데, 특히 남북이산가족 3.4대의 상호 이해와 적응을 도울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함으로써 향후 통일 및 남북 사회 통합에 대비하는 것이 필요하다.
특히 남한으로 이주한 북한의 이산가족에 대해 동포애적 사랑과 관심의 태도를 갖도록 하며, 경제적. 문화적 우월감을 지양하도록 해야 한다.
3) 정책적 지원
남북이산가족의 상봉 및 재결합 시 발생할 상호 갈등 및 부담을 최소화시키기 위해 법제도 및 정책적 차원에서의 대비책을 강구한다. 민간 차원에서 담당. 운영하는 남북 이산가족의 상호적응교육과 남한 이주 북한 이산가족의 남한 사회 적응을 위한 재교육 및 재사회화 프로그램을 적극 지원한다. 예컨대 영세한 남한 이산가족이 북한의 가족과 재결합 하는 경우에 생활 보조금 지원 방안을 마련하고, 당사자를 위한 이산가족 특별지원법을 마련한다.
Ⅳ. 결론
한국전쟁은 당시 냉전이라는 체제와 한반도 내부의 상황으로 보아 어쩌면 피할 수 없는 일이었을지도 모른다. 그러나 한국전쟁은 그 어느 누구의 승리도 아닌 휴전이라는 고착의 형태로 일단락을 지었고, 그에 따른 골은 매우 깊어졌다. 벌어진 상처의 틈을 이제는 메우는 것도 버거운 세월이 된 것이다. 분명한 것은 지금 한반도에 살고 있는 우리가 이 전쟁의 영향을 받고 있다는 것이다. 남한과 북한은 서로에 대한 비난과 이데올로기를 확립시키며 국민들을 그리로 몰아갔다. 오늘날에도 남북문제는 끊임없이 터지고 있다. 그것은 아마 전쟁의 책임을 묻는 일에서 맴돌고 있기 때문인지도 모른다. 가해자와 피해자를 구별해 대가를 치르는 것은 전쟁에서 승전국이 할 수 있는 일인지도 모른다. 그러나 한국전쟁에서 승전국은 없다. 그렇다면 남한과 북한이 넘어야 할 것은 서로에 대한 비난과 불신, 전쟁의 책임을 일방적으로 떠넘기기보다는 전쟁이 남긴 상처들을 돌아보고 이해를 하려는 시도가 필요할 것이다. 그것이 두 사회의 소모적인 쟁론보다 발전적인 도움을 제시해줄 것이다. 그리고 그것은 국민들 스스로가 관심을 기울이고 포용하는 자세에서 형성될 것이다.
* 참고문헌 *
이철순, 「한국전쟁 이전 미국의 한국의 가치에 대한 평가」, 『國除政治論叢』제43집 1호, 2003.
김정배, 「스탈린은 왜 한국전쟁을 ‘허락’했는가? : 새로운 시각」, 역사학회, 『歷史學報』 제188집, 2005.
정병준, 「1945-48년 美蘇의 38선 정책과 남북갈등의 기원」, 한양대 아태지역연구센터, 『中蘇硏究』, 2004.
서주석, 「한국전쟁의 기원과 원인 - 냉정체제 후의 재조명」, 한국정치외교사학회, 『韓國政治外交史論叢』, 1997.
채규철, 「한국전쟁의 기원에 관한 연구: 한국인의 성격적심리적 특성을 중심으로」, 한국국제정치학회, 『國除政治論叢』, 2000.
김영호, 『한국전쟁의 기원과 전개과정』, 성신여자대학교 출판부, 2006.
소치형 외, 『북한의 이해』, 건국대학교 출판부, 2002.
신정현 외, 『국가 연합 사례와 남북한 통일과정』, 한울, 2004.
박명림, 「한국전쟁 이후 체제와 한국민주주의, 그리고 통일문제」, 한국정치학회, 한국전쟁50주년국제학술회의, 2000.
한국전쟁전후 민간인학살 진상규명 범국민위원회, 『다 죽여라 다 쓸어버려라 - 한국전쟁전후 민간인 학살에 관한 짧은 기록』, 2003.
김기진, 『끝나지 않은 전쟁 국민보도연맹 - 부산, 경남지역』, 역사 비평사, 2002.
김기진, 『미국 기밀문서의 최초 증언; 한국전쟁과 집단학살』, 푸른역사, 2006.
이도영, 『죽음의 예비검속 - 양민학살 진상조사보고서』, 월간 말, 2000.
신경득, 『조선 종군신화로 본 민간인 학살』, 살림터, 2002.
한국현대사 강의 자료(김득중)
브리태니커 백과사전
*목차
Ⅰ. 한국전쟁의 발생 배경
1. 국제 사회의 형성
2. 한반도 내부의 갈등
3. 누가 전쟁을 일으켰는가
Ⅱ. 한국전쟁의 전개 과정
<1> 전쟁의 전개
1. 북한의 남침
2. 미국의 개입
3. 전쟁의 봉합
4. 한국전쟁 통계
<2> 전쟁 중의 학살과 피해상황
1. 양민학살인가, 민간인학살인가
2. 남한의 학살
3. 북한의 학살
4. 민간인 학살, 그 이후
Ⅲ. 한국전쟁의 결과와 과제들
<1> 전쟁 이후의 상황
1. 휴정협정 및 국가 간의 이해관계
2. 휴전이후 포로 교환
3. 휴전이후 남북한의 서로에 대한 인식
4. 전쟁이후 남북한 주민들의 삶과 경제활동
<2> 과제들
1. 정부의 통일방안
2. 통일에 대한 대중적 시각
3. 이산가족 문제
Ⅳ. 결론
*참고문헌
  • 가격2,500
  • 페이지수29페이지
  • 등록일2007.11.05
  • 저작시기2007.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3542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