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룡사에 관한 고찰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관룡사
1) 창건과 중수
2) 주변현황
3)관룡사 연혁
4)가람배치

2. 관룡사 건축물
1) 대웅전(大雄殿)
2) 약사전(藥師殿)
3) 원음각(圓音閣)

3. 관룡사 석조물
1) 석조여래좌상(石造如來坐像)
2) 용선대 석조석가여래좌상(龍船臺 石造釋迦如來坐商)

4. 석장승, 부도, 사적기
1) 관룡사 석장승(石長承)
2) 관룡사 부도(浮屠)
3) 관룡사 사적기(事蹟記)

5. 석탑
1) 약사전삼층석탑(藥師殿三層石塔)

본문내용

신라 말기부터 발전되어 온 승려의 묘탑으로 사리탑이라고도 하는데, 관룡사에는 모두 7기의 부도가 보존되어 있다. 절의 북쪽 화왕산을 오르는 길 옆에 있는 부도는 고려시대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되며 높이 2.05m, 몸통둘레 1.75m이다. 대석과 연화대, 옥개석을 모두 갖추고 있으며 정교하고 아름다워 창녕군의 부도 가운데 대표적인 작품으로 꼽힌다.
약수터로 오르는 길 북쪽에 있는 동 부도는 고려시대 것으로 추정되며 높이 1.71m, 몸통둘레 2.12m이며 옥개석을 이고 있다. 약수터 부근에 또다른 부도가 있는데, 기단 위에 원형의 옥개석을 얹은 형태로 높이 1.63m, 몸통둘레 2.24m이다. 절을 오르는 입구에는 훨씬 뒤에 제작된 석종형 부도 2기가 서 있는데, 크기는 각각 높이 1.15m, 몸통둘레 1.9m이다.
부도란 승려의 무덤을 상징하여 그 유골이나 사리를 모셔둔다. 이 부도는 관룡사 내에 있는 7기의 부도 중 하나로, 절 북쪽의 화왕산으로 오르는 길 옆에 자리하고 있다. 2단의 바닥돌 위로, 아래·가운데·위의 세 받침돌로 이루어진 기단 (基壇)을 쌓고, 공모양의 탑몸돌을 올린 후 사각 지붕돌을 올린 모습으로, 아래에 비해 윗부분의 몸집이 더 커 보인다. 아래 받침돌은 옆면마다 두 개의 공간을 만들어 무늬를 넣고, 윗면에는 연꽃무늬를 둘러 새겼다. 가운데 받침돌 역시 조각을 두었으나 무늬가 뚜렷치 않고, 윗받침돌 밑면에 새긴 연꽃무늬 역시 많이 닳아있는 상태이다. 지붕돌의 꼭대기에는 머리장식이 있었을 듯 하나 지금은 그 흔적만 남아있다. 부도의 구조와 조각솜씨들로 보아 고려시대의 것으로 추정되며, 비록 많이 닳아있긴 하나, 창녕군의 대표적인 부도라 할 만큼 아름답고 정교한 작품이다.
3) 관룡사 사적기(事蹟記)
-지정번호: 경남유형문화재 제 183호
-시대: 신라시대
-분류: 서적류
-수량: 2책
-지정일: 1979년 12월 29일
-소재지: 경남 창녕군 창녕읍 옥천리 관룡사
신라 8대 사찰의 하나인 관룡사를 건립하면서 관룡사의 유래와 재산 등을 기록하여 후손들에게 길이 보존하고자 제작한 것이다. 발간용 목판 11매와 서적 1권으로 보존 상태는 양호한 편이다.현재 전하는 것은 『관룡사 사적기』10판, 『불설상법멸의경』1장이 있다. 사적기는 영조 9년(1733)에 평해군수 신유한이 적었으며, 발문은 영조 10년(1734)에 망규산인 명학이 썼다. 내용을 보면 사찰 창건의 유래, 연혁 등이 상세히 적혀 있으며, 대웅전을 비롯하여 여러 건물의 중수, 재건, 일을 맡은 승려, 소요된 비용 등이 언급되어 있다, 보존 상태는 양호한 편이며,관룡사에서 소장 및 관리하고 있다.
5. 석탑
1) 약사전삼층석탑(藥師殿三層石塔)
-종목: 시도유형문화재 제 11호(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 11호)
-시대: 고려시대
-분류: 석탑
-수량: 1기
-지정일: 1972년 2월 12일
-소재지: 경남 창녕군 창녕읍 옥천리 관룡사
관룡사 약사전 앞의 삼층석탑은 통일신라시대의 형식을 계승하고 있다. 아래 받침대의 내면에는 코끼리의 두 눈을 형상화한 안상(眼象)을 각각 2개씩 조각했는데 이는 석탑의 장식적 기능을 강조했던 통일신라시대 말기의 표현양식이다. 사각형의 바탕 돌은 자연암석을 이용해 조성했는데 이 역시 통일신라시대 말기의 양식을 반영한 것이다. 위 받침 각 면의 모서리는 모서리기둘을 새기고 중앙에는 받침기둥을 표현함으로서 목조기둥의 건축양식을 계승하고 있다. 몸체부분은 받침대에 비해 파손이 심한 편인데 1층 지붕들의 동쪽 면이 많이 떨어져 나갔다. 1층의 몸체 돌과 그 위층 몸체의 크기가 너무 현저한 차이를 보여 체감율과 조화미를 잃고 있다. 통일신라시대 석탑에서 주로 표현되는 5단의 지붕 돌 받침은 3단으로 줄어들었고 지붕돌 역시 두툼하여 처마 끝의 치켜 올림이 약하게 표현되었다 이는 신라 석탑의 변형을 보여주는 예라 볼 수 있도 크기가 축소되면서 각 부분의 기법이 간략화 된 것으로 보아 이 탑은 통일신라시대의 양식을 계승한 고려 전기의 작품으로 추정된다.
1. 관룡사
1) 창건과 중수
2) 주변현황
3)관룡사 연혁
4)가람배치
2. 관룡사 건축물
1) 대웅전(大雄殿)
2) 약사전(藥師殿)
3) 원음각(圓音閣)
3. 관룡사 석조물
1) 석조여래좌상(石造如來坐像)
2) 용선대 석조석가여래좌상(龍船臺 石造釋迦如來坐商)
4. 석장승, 부도, 사적기
1) 관룡사 석장승(石長承)
2) 관룡사 부도(浮屠)
3) 관룡사 사적기(事蹟記)
5. 석탑
1) 약사전삼층석탑(藥師殿三層石塔)
  • 가격1,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7.11.13
  • 저작시기2007.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3648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 편집
  • 내용
  • 가격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