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사 선호요인 탐색연구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교사 선호요인 탐색연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교사 선호요인 탐색연구*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방법

Ⅱ. 교사상에 관한 선행 연구 분석
1. 교육목표로서의 교사상에 관한 연구
2. 집단이 선호하는 교사의 자질과 특성에 관한 연구
3. 효과적인 교사의 특성에 관한 연구

Ⅲ. 교사 선호요인 분석결과
1. 교사 선호 유형
2. 교사 선호요인
가. 교사의 배경변인
나. 교사의 인간적 측면 : 도덕성, 생활태도, 인성특성 등
다. 학습지도 면 : 수업방법, 전문성
라. 생활지도 면
마. 학급경영 면
바. 도움을 받은 특별한 사건
사. 교과외적인 개인적 경험·가치관 전수

Ⅳ. 종합 및 결론

본문내용

점을 고려하여 ‘선호요인’을 탐색한 것이다.
학생들은 선호하는 교사를 크게 존경하는 교사, 좋아하는 교사, 고마운 교사로 구분하고 있음을 밝혔으며, 일반적으로 존경하는 교사는 도덕성을, 좋아하는 교사는 인간적 만남을, 고마운 교사는 특별한 사건이나 시혜를 염두에 두고 있는 듯하였으나, 3가지를 엄격히 구분해서 사용하지 않는 경향이 있었다. 고마운 교사나 좋아하는 교사를 존경한다고 표현하는가 하면 존경하는 교사를 좋아한다고 표현하기도 했다.
일반적으로 훌륭한 교사는 존경할 수 있는 교사로 생각하는 경향이 있으나 본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훌륭한 교사와 존경하는 교사는 반드시 일치하지 않았다. 훌륭한 교사가 개인적인 만남이나 특별한 계기를 통해서 존경하는 교사가 되는 것이지, 객관적으로 훌륭한 교사라 할지라도 개인적 만남이나 계기가 만들어지지 않으면 존경하는 데까지 발전하지 않았다. 극단적으로 말하면, 존경할 만한 교사가 없다는 말은 훌륭한 교사가 없다는 뜻이 아니라 개인적 만남이나 특별한 사건으로 연계된 교사가 없다는 뜻이라는 것이다.
일반인들이 주장하는 소명의식, 투철한 사명감 등은 의외로 지적되지 않았다. 그것이 중요하지 않다는 뜻이 아니라 학생 입장에서는 파악하기 어려운 속성이기 때문에 나타난 현상인 듯하다. 선호하는 교사로 등장하는 사람들은 주로 담임교사였다. 담임을 맡지 않을 경우 인간적인 관계를 맺기 어렵기 때문으로 해석할 수 있다. 초등학교 시절 교사에 대하여는 정서적인 측면과 관련한 기억이 많았고, 중등학교 시절 교사에 대하여는 학업에 관련된 기억이 많았다. 학업에 대한 기억도 국어, 영어, 수학 등 주요 교과에 집중되는 경향이 있었다.
교사 선호요인은 단일요인이 아니라 매우 복합적인 경향이 있었다. 어느 한가지 요인 때문에 존경하거나 좋아하는 경우는 드물었으며 대개는 3개 이상의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고 있었다. 먼저 좋은 감정이 생긴 후 존경의 이유나 좋아하는 근거를 찾으려고 한 흔적도 많이 있었다. 이미 좋은 관계를 가지고 있을 경우 모두 좋게 보이는 경향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처음에 좋은 감정은 어떻게 형성되는지 분명하게 드러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연구대상의 기억에 의존하여 사후에 선호하는 교사를 조사했다는 한계를 가진다. 따라서 교사 선호요인이 주로 주관적인 것들이 부각되었다. 그러나 교사와 직접 겪어보지 않은 상황에서 선호하는 교사를 택하라고 하면 이제까지의 선행연구에서 밝힌 객관적인 요인을 갖춘 교사를 선택할 것이 분명하다. 즉, 교사와의 관계가 형성되지 않은 상황에서는 교사의 객관적인 자질이나 특성이 중시되고, 교사와의 관계가 형성된 이후에는 교사에 대한 주관적인 요인이 중시된다는 것이다.
요컨대, 교사선호여부는 객관적 조건의 문제가 아니라 주관적 해석의 문제라고 판단된다. 객관적으로 실력 있고 사명감 있는 교사라 해서 존경받는 교사가 되는 것은 아니며, 객관적으로 형편없는 교사라 해서 존경받지 못할 이유가 없다. 그렇다고 해서 객관적으로 훌륭한 교사가 무의미하다는 뜻은 아니다. 객관적으로 훌륭한 교사가 되기 위한 노력이나 그러한 교사를 양성하기 위한 노력은 기본적으로 필요한 것이지만, 학생들로부터 존경받기 위한 노력은 그것과 다르다는 뜻이다.
참고문헌
김민희(1994), “한·일간 교직관 및 교사상 비교연구,” 서울대 석사학위논문.
김시혁(1994), “초등학교 교사상에 대한 요구 분석,” 한국교원대 석사학위논문.
김재복·윤기옥(역)(1992), 효과적인 학교와 효과적인 교사, 서울 : 교육과학사.
김정환(1981), “과거·현대·미래의 바람직한 교사상,” 교육학연구, 19(3).
박동준(1998), “한국 교사상으로서의 전문직적 선비에 관한 적합성 고찰,” 한국교사교육, 15(2).
오천석(1973), 스승, 서울 : 배영사.
유형진(1979), “바람직한 교사상,” 청주사대 교육연구소, 교육발전, 창간호.
윤성범 외(1976), 동서 사도론, 서울 : 을유문화사.
윤정일 외(1993), 한·일간 교사교육 제도 및 정책 비교연구, 서울대 교육연구소.
이돈희(2000), “21세기 교사상과 교직,” 한국교사교육, 제17권 제1호.
이성진(1983), “훌륭한 교사를 초청함,” 한국교육학회, 교육과 사색, 정민사.
이학주(2000), “의미변별법으로 측정한 교사의 자아상,” 한국교사교육, 제17권 제1호.
전도웅(1979), “교사상 정립을 위한 접근방법의 문제,” 청주사대 교육연구소, 교육발전, 창간호.
진원중(1979), “한국 교사상 정립을 위한 교육사회학적 접근,” 청주사대 교육연구소, 교육발전, 창간호.
한기언(1979), “역사·철학적 측면에서 본 한국 교사상의 정립,” 청주사대 교육연구소, 교육발전, 창간호.
홍성윤·김영봉(1996), “효율적인 교사의 특성에 관한 고찰,” 중앙대학교, 한국교육문제연구소, 논문집, 제11호.
황응연(1994), “미래사회가 요구하는 교사,” 교육학연구, 32(4).
황정규(1995), “21세기에 대비한 교육적 인간상,” 교육학연구, 33(2).
최희선 외(1989), 교원양성·임용·연수제도의 개선방안.
황규호 외(1999), 교원양성제도 개선방안, 교육부 교원양성·연수체제개선연구위원회.
Anderson, Lorin W.(ed.)(1995),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2nd ed.), N.Y.: Pergamon.
Glasser, William(1992), The Quality School(2nd ed.), N.Y.: Harper Perennial.
Glasser, William(1993), The Quality School Teacher, N.Y.: Harper Perennial.
Highet, Gilbert(1977), The Art of Teaching, N.Y.: Vintage Books.
Houston, W. Robert, Martin Haberman, and John Sikula(eds.)(1990), Handbook of Research on Teacher Education, N.Y.: Macmillan Publishing Company.
  • 가격3,000
  • 페이지수18페이지
  • 등록일2007.12.31
  • 저작시기2007.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4457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