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학사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 일제 때의 순수학문으로 조선 문화 연구를 추구하면서 엄격한 문헌고증을 바탕으로 실증 중시
(2) 1960년대
① 식민사학이 본격적으로 비판
② 민족주의 역사학의 재건
③ 우리 역사의 주체적 발전과정을 중요시하고 이를 밝히려는 연구경향 일반화(내재적 발전론)
⇒ 구석기 시대와 청동기시대의 확고한 설정, 전근대사회의 토지국유제 비판, 자본주의 맹아론, 실학사상 연구의 중요 연구성과 발표
⇒ 집권층의 근대화론과 맞물리면서 크게 영향(한국적 민주주의 주창한 정권상황에 동조, 이용)
(3) 1970~80년대
① 1970년대 유신체제 심화로 내재적 발전론이 유신체제의 옹호 입장으로 전도
② 분단 극복 사학론의 제기(높은 차원에서의 통일지향의 민족주의 정립, 통일지향의 민족주의론 성립)
③ 1970, 80년대 자본주의적 사회구조에 따른 모순이 나타나면서 민중사학론 제기
④ 1980년대 민중사학론이 구체성 때면서 사회 모순 구조의 해결 주체를 민중, 역사의 과정을 민중이 계급적 모순을 해결하는 과정으로 이해
(4) 탈민족사학론의 대두
① 민족주의는 식민지해방 차원에서 진보성을 가지나 독립 이후에는 체제의 논리가 되어 진보성 억압
⇒ 근현대사를 지나치게 민족주의적으로 서술
전근대사에서도 민족의 집단적 운명체로서의 성격을 초역사적으로 강조
② 식민지 근대화론
⇒ 민족주의적 입장에서 벗어나 식민지 시기는 조선의 문명사적 대전환시기로 인식
③ 식민지 근대성론
⇒ 식민지 상황 내에서의 일상과 대중의 생활규명을 통해 식민지 근대의 특질 규명하여 단선적 사관 극복하고, 복수의 역사가 존재함을 강조함으로서 역사 연구분야 확대
  • 가격1,5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8.04.25
  • 저작시기2008.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6250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