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태중심 유아교육에 대한 교수, 원장 및 교사의 인식정도와 방향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머리말

Ⅱ. 생태유아교육의 이론적 배경
1. 생태유아교육의 개념
2. 생태유아교육의 이념 및 방향
1) 생태유아교육의 이념
2) 생태유아교육의 방향
3. 생태유아교육내용 및 교육방법
1) 생태유아교육내용
2) 교육방법

Ⅲ. 연구 방법
1. 연구조사 대상
2. 조사 도구
3. 자료수집 및 분석

Ⅳ. 조사결과 및 해석
1. 자연생태계에 관한 교수, 원장, 교사의 인식
2. 오늘날의 유아교육에 관한 인식 및 만족도
1) 오늘날의 유아교육에 관한 인식
2) 오늘날의 유아교육에 대한 만족도
3. 생태중심 유아교육에 관한 인식
4. 생태중심 유아교육 실천을 위한 선결요건 및 적용시 문제점
1) 생태중심 유아교육 실천을 위한 선결요건
2) 현행 유아교육과정의 생태중심 유아교육의 내용 반영도에 관한 인식
3) 유아교사 양성대학 교과과정의 생태중심 유아교육의 내용 반영도에 관한 인식
4) 유아교사·원장 연수교육과정의 생태중심 유아교육의 내용 반영도에 관한 인식
5) 생태중심 유아교육의 현장 적용시 문제점
6) 생태중심 유아교육에 대한 의견 기술

Ⅴ. 결론 및 논의

참고 문헌

본문내용

정이 원내에 텃밭이나 사육장을 준비해 놓고 교육할 수 있는 곳이 별로 많지 않기에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이 모색되어야 한다.
Ⅴ. 결론 및 논의
본 연구는 생태중심 유아교육의 방향성을 제시하려 데 목적을 두고, 다음의 4가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자연생태계에 대한 교수, 원장, 교사들의 인식은 어떠한가? 둘째, 현행 유아교육에 대한 교수, 원장, 교사들의 인식은 어떠한가? 셋째, 생태중심 유아교육에 대한 교수, 원장, 교사들의 인식은 어떠한가? 넷째, 생태중심 유아교육 실천을 위한 선결요건 및 적용시의 문제점에 대한 교수, 원장, 교사들의 인식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조사대상은 부산, 울산, 경남, 기타 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대학의 유아교육과, 아동학과의 교수 71명과 공·사립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근무하고 있는 원장 88명과 교사 367명으로 총 526명이었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조사도구는 총 48개 문항으로 구성된 '생태중심 유아교육에 대한 인식에 관한 질문지'이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주요 결과를 논의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연생태계에 대한 인식은 교수, 원장, 교사 모두 확고한 생태지향적 자연관을 갖고 있지는 않았지만 자연생태계 위기의 심각성을 깊이 인식하고 있었으며, 자연생태계 위기의 원인을 명확히 파악하고 있었으며, 그 극복방안으로 기술개발의 한계성과 정부 정책의 전환은 물론 교육을 통한 자연생태계 위기 극복이 가능함을 깊이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현행 유아교육에 대한 인식에서 교수, 원장, 교사 간에 다소 차이가 있기는 하지만 현행 유아교육이 생태 지향적이기 보다는 기술 지향적인 것으로 인식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이들 모두 현행 유아교육에 대해 만족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현행의 기술 지향적 유아교육을 생태 지향적 유아교육으로 패러다임의 전환이 필요함을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보여진다.
셋째, 현행의 기술 지향적 유아교육을 생태 지향적 유아교육으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프로그램의 개발과 현장 적용이 필요하며, 현행 유아교육과정은 물론 유아교사·원장의 양성·연수 교육과정을 생태교육 내용을 반영하는 쪽으로 전면 개편되어야 함을 시사받을 수 있다.
결론적으로 인간과 자연의 지속가능한 행복한 삶을 누리기 위해서는 미래사회의 주인공인 유아들의 교육에 가장 영향력을 미치는 교사, 원장, 교사들은 생태중심 유아교육에 대해 전반적으로 건전한 인식과 실천적 의지를 상당히 갖추고 있으므로 생태중심 유아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보급, 유아교육과정의 개편, 유아교사·원장 양성교육과정과 연수교육과정의 개편 등의 시급한 개선이 필요하다.
참고 문헌
김경희(1996). 외국의 유아교육 현실. 공동육아, 10, 25-29.
김미정(1998). 생태지향주의에 기초한 유아환경교육의 접근방안 모색.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김정희(1997). 생명중심의 육아방법론. 공동육아, 4, 12-15.
김종철(1998). 마을 문화를 찾아서. 녹색평론, 38, 133-154.
______(1998). 보살핌의 경제를 위하여. 녹색평론, 41, 2-25.
김지하(1992). 생명. 서울:솔.
______(1995). 틈. 서울:솔.
로이 월킨슨(1997). 루돌프 슈타이너의 교육론. 서울:내일을 여는 책.
마경희(1999). 자연친화적 유아교육에 대한 부모의 인식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서영희(1999). 생태중심 유아교육 프로그램 운영 사례연구.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소흥렬(1992). 자연주의적 유신론. 서울:서광사.
______(1996). 문화적 자연주의. 서울:소나무.
심성보(1995). 전환시대의 교육사상. 서울:학지사.
______(1996). 한국교육의 새로운 모색. 서울:내일을 여는 책.
유안진(1990). 한국 전통사회의 유아교육. 서울:서울대학교 출판부.
윤구병(1997). 작은 학교가 아름답다. 서울:보리.
______(1998). 잡초는 없다. 서울:당대.
______(1995). 실험학교 이야기. 서울:보리.
윤선영(1999). 발도로프 학교의 아동교육. 녹색평론, 46, 26-38.
이도원(1997). 떠도는 생태학. 서울:범양사.
이병철(1999). 돌아감에 대하여. 환경과 생명, 20, 80-89.
임재택(1993). 우리 나라 유아교육의 현실과 개선방향. 서울.
______(1995). 현대 유아교육과정. 서울:양서원.
______(1998a). 21세기 영유아 보육의 방향과 어린이상. 부산교육정보, 제24호, 2-3.
______(1998b). 삶을 가꾸는 교육, 사람을 키우는 교육. 부산보육정보, 제26호, 2-3.
______(1998c). 튼튼한 어린이로 키우자. 부산보육정보, 제27호, 2-3.
임재택(1998d). 즐거운 어린이로 키우자. 부산보육정보, 제28호, 2-3.
______·하정연·조순영(1998). 보육시설 만 2세아의 연간 산책활동에 대한 고찰. 영유아보육연구, 제4집, 125-159, 부산대학교 영유아보육연구소.
장 원(1998). '그린르네상스'를 위한 21세기 배달민족 녹색기수론. 녹색한국의 구상, 399-407.
정화열·파리정(1998). 생태공경 - 생태윤리를 위한 교육. 녹색평론, 제38호, 12-27.
차현진(1997). 공동유아 어린이집 나들이 활동의 교육적 의의.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채규철(1997). ET 할아버지와 두밀리 자연학교. 서울:마가을.
최종덕(1998). 자연과 인간의 생태적 관계망. 녹색한국의 구상, 30-41.
홍순명(1998). 생명을 섬기는 풀무학교. 녹색평론, 40, 50-69.
Capra, F.(1983). The turning point:Science, society and the rising culture, London:Fontana.
Capra, F. 김용정·김동광 역(1998), 생명의 그물. 서울:범양사.
Devall, B & Session, G.(1995). Deep ecology. Salt Cake City, MO:Peregrine Smith Books.
  • 가격2,900
  • 페이지수20페이지
  • 등록일2008.05.08
  • 저작시기2008.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6412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