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러티브(narrative)접근법의 도덕교육에의 적용 방안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I. 서 론

Ⅱ. 내러티브의 일반적 고찰
1. 내러티브의 정의
2. 내러티브의 기능
3. 내러티브에 관한 연구
4. 구조주의 서사학 (Narratology)

Ⅲ. 내러티브와 도덕교육적 의미
1. 내러티브와 도덕적 경험
2. 내러티브적 사고(narrative thinking)와 자아
3. 내러티브와 도덕성의 발달

Ⅳ. 내러티브 접근법의 도덕교육에의 적용 방안
1. 내러티브 활용의 기본 원리
2. 내러티브 활용의 보편적 교수학습 방법 및 기법
1) 도덕 경험 발표하기
2) 일지쓰기(Jouranal keeping)
3) 구두 편지(oral letters)
4) 극적인 모험하기

Ⅴ. 결 론

참고 문헌

본문내용

이 자신의 도덕적 관점에 근거하여 도덕적 권위를 발달시키는 것은 다른 목소리들 간의 대화와 협력적 관계를 통해서이다. 따라서 내러티브 접근법의 교수학습 원리는 다양하고 이질적인 도덕적 목소리들을 학생들이 개방적으로 접해서, 주체적으로 선택할 수 있도록 안목을 세워주는 것을 중요하게 생각한다.
여기에서 반드시 짓고 넘어가야 할 사항이 하나 있다. 개인의 도덕적 권위의 발달을 목적으로 하는 내러티브의 방법이 이야기적 상황성을 과도하게 강조함으로써 도덕적 상대주의와 허무주의를 조장할 수 있다는 것이다. 콜버그적 관점에서, 내러티브의 활용이 인식론적으로 상대주의의 오류에 빠지고 있으며, 도덕적 선택과 행동에 있어서 허무주의와 도덕적 편의주의에 이끌리고 있다는 비판이 그러한 것이다.
) O. Lourenco, "Reflections on Narrative Approaches to Moral Development", Human Development, 1996, 39, pp. 83-99.
비슷한 맥락에서 내러티브 방법이, 도덕적 자아를 사회의 언어적 구성물로서 해체함으로써 도덕적 행위 주체의 책임 문제를 방기하고 있다는 것이나, 개인의 여러 가지 삶의 이야기 가운데 어떤 것이 진실된 이야기냐 하는 점, 사회의 보편적 도덕 규준이나 규범에 대해서 내러티브 접근법이 침묵을 지키고 있다는 비판 또한 제기되고 있다.
) D. Lapsley, "Commentary", Human Development, 39, 1996, pp. 100-107.
이러한 공박은 그 이론이 전제하고 있는 인식론적 근거에 의해서는 당연한 문제 제기일 수 있다. 다만, 완벽성을 지향하는 어떤 이론도 항구불변의 진리체계로서 모든 사회에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특정한 사회·역사적 조건에서 그 시대와 사회의 요구 사항을 대표하는 것으로 기능하지 않나 싶다. 특정 사회의 지식체계는 그 사회의 권력 관계와 연계하여 협력과 대립의 상호 작용을 하고 있다는 말이 여기에도 적용될 듯 싶다. 내러티브 방법은 분명히 탈근대적 시대 인식과 조류에 조응하고 있으며, 따라서 항간의 근대-탈근대 논쟁으로부터 비켜갈 수도 없을 것이다. 하지만 탈근대 사상의 화두의 하나인 일상사로서 내러티브의 의미는 인간의 계도성과 가치가 개입되는 교육, 특히나 도덕 교육 분야에서는 어느 정도 순화될 필요가 있다. 사실, 도덕 교육에서의 내러티브의 활용은 극도로 상대화되고 탈가치화된 내러티브가 아니라, 공동체적 기반에서 상호 의사 소통할 수 있는 대화적 내러티브, 인류의 지혜가 담긴 전통적 내러티브의 가치를 옹호하고 지지한다. 내러티브는 무중력 상태에 있는 것이 아니라, 과거와 현재가 만나서 대화, 갈등하는 가운데 함께 미래를 만들어가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참고 문헌
목영해, 『후현대주의 교육학』 (서울: 교육과학사, 1994)
박병기·추병완, 『윤리학과 도덕교육 I』 (서울: 인간사랑, 1996)
서울특별시 교육 연구원, 『창의력 신장을 돕는 중학교 도덕과 학습 평가 방법』
이규호, 『말의 힘』 (서울: 좋은날, 1998)
정세구, 『도덕과, 국민윤리과지도법』 (서울: 교육과학사, 1985)
조혜정, 『글 읽기와 삶 읽기 2』 (서울: 또하나의 문화, 1996)
한국심리학회·발달심리연구회편,『삐아제 연구』(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1982)
한승희, "교육학의 새로운 지표로서 내러티브", 교육학 연구, 2000. Vol. 38. No. 4
길리건, C., 허란주 역, 『다른 목소리로』 (서울: 동녘, 1997)
리오타르, J., 유정완 외 역, 『포스트모던의 조건』 (서울: 민음사, 1995)
맥킨타이어, A., 이진우 역, 『덕의 상실』 (서울: 문예출판사, 1997)
비고츠키, L. S. 지음, M. Cole 외 엮음, 조희숙 외 역, 『사회 속의 정신: 고등 심리 과정의 발달』 (서울: 성원사, 1994)
, 신일철 역,『언어와 사고』 (서울: 성원사, 1981)
엘레나 보드로바·데보라 J. 리옹, 김억환·박은혜 역,『정신의 도구: 비고츠키 유아교육』(서울: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1998)
콜버그, L., 김봉소, 김민남 역, 『도덕발달의 철학』 (서울: 교육과학사, 1985)
Bruner, J., Actual minds, possible words (Cambridge: Havard University press,1986)
Engel, S., The stories children tell (USA: Freeman and Company, 1995)
Griffin, B. Students as Storytellers - The Long and the Short f Learning a Story (Medford, Oregon: Griffin Mckay Publicastions, 1995)
Josselson, R. & Lieblich, A. (eds.), The Narrative Study of Lives, Vol.2 (Thousand Oaks London New Delhi: SAGE Publications, 1994)
Mitchell, W. (eds.), On narrative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81)
Modgil, S. & Modgil, C. (eds.), Lawrence Kohlberg - consensus and controversy (The Falmer Press: Philadelphia and London, 1986)
Noddings, N., Caring: a feminine approach to ethics and moral education (Berkeley: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84)
Tappan, M. & Packer, M. (eds.), Narrative and storytelling: Implications for understandig moral development (New directions for child development. No. 54. Sanfrancisco: Jossey-Bass, 1991)
  • 가격2,800
  • 페이지수21페이지
  • 등록일2008.06.03
  • 저작시기2008.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6750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