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의제21][아젠다][지속가능한발전][지속가능한개발][지방자치]지방의제21(아젠다)의 성공적 추진요건, 지방의제21(아젠다)의 추진현황, 지방의제21(아젠다)의 문제점, 지방의제21(아젠다)의 현실화 과제 분석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지방의제21][아젠다][지속가능한발전][지속가능한개발][지방자치]지방의제21(아젠다)의 성공적 추진요건, 지방의제21(아젠다)의 추진현황, 지방의제21(아젠다)의 문제점, 지방의제21(아젠다)의 현실화 과제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지방의제21(아젠다)의 성공적 추진요건

Ⅲ. 지방의제21(아젠다)의 추진현황

Ⅳ. 지방의제21(아젠다)의 문제점
1. 추진의지
2. 조직체계
3. 제도체계
4. 재정체계
5. 시민참여
6. 의제실천
7. 의제성과
8. 평가체계

Ⅴ. 지방의제21(아젠다)의 현실화 과제

Ⅵ.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있다. 즉, 광역자치단체의 시와 도, 기초자치단체의 시, 군, 구 등 각각의 특성과 실정에 맞는 5개의 모델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둘째, 광역과 기초간 역할분담체계를 정립할 필요가 있다. 즉, 광역(특별)시와 자치구간의 역할관계, 도와 시·군간 역할관계의 정립이 필요하다. 특히 광역시의 경우 자치구마다 독자적인 추진조직(협의회/사무국)을 운영하기보다는 광역 지방의제를 자치구의 특성에 맞게 적용하여 광역과 기초간에 유기적인 협조체제 하에서 광역에서 수립한 의제내용을 자치구 수준에서 구체적으로 실행에 옮기는 방식이 적합할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시·군 지역의 경우는 독자적인 추진체계를 갖추고 운영하되, 전문인력과 정보 및 예산이 부족한 군지역에 대해 중앙정부 및 도단위 지방의제 추진기구가 적극적으로 지원해주는 방식이 적합할 것으로 보인다.
셋째, 자치단체의 실정에 맞는 3가지 유형의 조직화 방식이 요구된다. 즉, 광역자치단체나 비교적 규모가 큰 시의 경우 별도의 사무국의 갖춘 추진협의회 형태가 바람직하고, 규모가 작은 시와 군 및 서울특별시 자치구의 경우 행정기관이 사무국 기능을 수행하는 추진협의회 형태가 바람직하며, 광역시 자치구의 경우 자치구의 특성과 실정에 따라 별도의 추진협의회(사무국을 두지 않음)를 운영하거나 광역시의 의제를 구의 실정에 맞게 실행하는 형태가 바람직할 것으로 본다.
결론적으로, 지방의제21의 적극적 추진과 활성화여부는 각 지방자치단체의 필요성 인식에 의한 정책적 선택의 문제이기 때문에 지방의제21을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협의회 차원에서 추진하든 담당부서 차원에서 추진하든 지속가능한 지역발전을 위한 지방자치단체장의 의지와 지방의회의 지지를 이끌어내기 위한 각계각층 지역구성원들의 인식 및 관심과 요구가 더욱 광범위하고 강하게 형성되어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ⅰ. 김병완(2002), 녹색 거버넌스로서 지방지속가능발전위원회(LCSD)의 필요성과 구성방안, 광주전남행정학회보
ⅱ. 김병완(2001), 환경정책의 논리와 실제, 나남출판
ⅲ. 강성철(2002), 지방의제 21 도입에 대한 신제도론적 분석, 부산대학교 지방행정연구소
ⅳ. 녹색서울시민위원회(2001), 서울의제21시민실천단장 회의자료
ⅴ. 유문종, 지속가능한 지역발전을 위한 지방의제 21의 10년의 성과와 앞으로의 과제
ⅵ. 최병두 외(1995), 자치시대의 지역환경, 한울
ⅶ. 환경부(2001), 2001지방의제21 전국편람

추천자료

  • 가격5,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9.03.16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2315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