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기장수 ․ 아랑의 원혼 ․ 오뉘탑>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들어가며

2. <아기장수 전설>
2.1 아기장수 전설의 내용
2.2 아기장수 전설의 의미와 특징
2.2.1 아기장수 전설 vs 영웅의 이야기
2.2.2 신화적 성격
2.2.3 증거물

3. <아랑의 원혼 전설>
3.1 아랑의 원혼 전설의 내용
3.2 아랑의 원혼 전설의 의미와 특징
3.2.1 아랑(형) 전설
3.2.2 원귀관념, 삶과 죽음의 이원성
3.2.3 증거물

4. <오뉘탑 전설>
4.1 오뉘탑 전설의 내용
4.2 오뉘탑 전설의 의미와 특징
4.2.1 구도적인 내용
4.2.2 증거물

5. 나가며

본문내용

따라 불도를 닦으며 일생을 함께 지냈다는 보은 내용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오뉘탑 전설은 각 편에 따라 내용이 다양하게 전해진다. 승려가 여자의 본가에 무사함을 알리려고 했을 때, 여자가 자기를 구해준 이는 승려이니 평생 승려를 따라 불도를 닦을 것을 간청하면서 알리는 것을 거부한 내용도 있고, 어버이가 승려의 은혜에 감사한다며 딸과의 혼인을 권유하자 승려가 거부했지만 딸이 한사코 승려를 따라 수도할 것을 주장했다는 내용도 있다. 또한 여자가 승려에게 부부의 연을 맺기를 간청했지만, 수도에 정진하고자 승려는 이를 거절했고, 여자가 본가에 돌아가 부모님께 승려와 의남매를 맺어 불도를 닦겠다고 말하는 내용 등이 있다.
4.2.1 구도적인 내용
이성에 대한 욕망을 넘어서는 구도의 삶이 전해주는 경이로움, 그리고 그 삶의 과정에 필연적으로 개재했을 인간적 갈등에 대한 상념이 이 전설의 화두를 이루고 있다. 서대석, <구비문학>, 해냄출판사, 1997
오뉘탑 전설은 범이 여자를 데려옴으로써 생명을 구해준 승려의 은혜를 갚으려 한 앞부분과, 범에게 업혀 온 여자가 소생하도록 간호해 준 승려의 은혜를 갚기 위하여 함께 수도했다는 두 개의 중첩된 보은담 구조를 이루고 있다. 그 귀결이 세속적인 삶을 넘어선 불도 수행을 지향함으로써 일반적인 보은담과는 구별되는 구도적인 내용으로 승화되어 있다.
오뉘탑 전설에서 보여 주고 있는 이러한 보은의 형태는 승려의 도력이 높았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었다. 승려와 여자가 행한 불도의 수행이라는 결말은 승려가 베푼 은혜와 여자의 보은의 내용이 생명 구제를 넘어선 깨달음의 실천으로 향하여 있음을 암시하는 것으로, 이 설화의 의미 지향이 불교적인 가르침의 제시에 있다고 본다.
4.2.2 증거물
오뉘탑 전설에서 ‘오뉘탑’ 또는 ‘남매탑’이라고 불리는 두 개의 탑은 지금도 충청남도 공주시 반포면 계룡산 연천봉 중턱에 나란히 있어, 이 전설의 진실성을 뒷받침하는 근거가 된다. 그 중 하나가 보물 제1284호로 지정된 청량사지 오층석탑이고, 다른 하나는 보물 제1285호로 지정된 청량사지 칠층석탑이다.
5. 나가며
예부터 전해오는 수많은 전설 이야기들은 우리 모두에게 아주 익숙하고 흥미롭다. 지금까지 아기장수 전설과 아랑의 원혼 전설, 그리고 오뉘탑 전설의 내용과 특징에 대해 알아보았다. 설화는 사람들의 말을 통해 계속 전해진다는 것을 특징으로 하기 때문에, 앞에서 살펴본 전설들 역시 다양한 형태로 변이되었다. 기본적인 모티프는 그대로 따르고 있으면서 일부분만 변화된 것이 있는가 하면, 첨가되거나 탈락된 부분도 있다. 또한 세 개의 전설 모두 각 전설의 진실성을 입증하는 증거물이 있다. 그리고 아랑의 원혼 전설과 아기장수 전설은 주인공이 죽는 내용으로, 설화의 보편적 특성인 비극성을 띠고 있다. 아랑 전설의 모티프는 고소설 <정을선전>, <숙영낭자전>, <장화홍련전>, <콩쥐팥쥐전> 등에서도 나타나며, 아기장수 전설은 <홍길동전>과 유사함을 보이며 비교되기도 한다.
전설은 어느 시대에나 있었지만, 조선후기에 와서 시정문화가 발달하면서 더욱 활발하게 유통되고, 야담류로 기록 윤색되거나 소설에 편입되어 이 시기의 기록 서사 문학 발달에 크게 기여했기에 문학적 가치가 크다고 볼 수 있다.
[ 참고문헌 ]
곽정식, <구비문학의 이해 -설화를 중심으로>, 신지서원, 1999
임철호, <아기장수설화의 전승과 변이>
석상순, <아랑 전설의 전승에 관한 연구>, 경성대 대학원, 1994
최운식 외, <전설과 지역문화>, 민속원, 2002
<국어국문학 자료 사전>, 한국사전연구사
전신재, <아기장수전설의 갈등구조>
서대석, <구비문학>, 해냄출판사, 1997

키워드

  • 가격2,5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9.06.16
  • 저작시기2009.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4153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