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철강산업 동향
2. 포스코의 경영전략
3. 새로운 공정인 파이넥스 공법
Ⅲ. 결론
Ⅱ. 본론
1. 철강산업 동향
2. 포스코의 경영전략
3. 새로운 공정인 파이넥스 공법
Ⅲ. 결론
본문내용
장에 나온 주식은 15%밖에 없다. 소유구조를 보면 지배주주가 없다. 직원들의 주식을 모으면 3.4%이고, 포항공대가 3.2%정도 가지고 있고, 신일본제철이 우리와 주식을 맞교환했기 때문에 3%를 가지고 있다. 나머지는 1%, 2%이다. 그만큼 소유구조가 분산되어 있다. 이런 구조는 우리나라 국민들에게는 익숙하지 않은 형태이다. 우리나라의 기업형태가 두 가지인데 민영회사의 경우 지배주주인 오너가 있다. 그런 의미에서 포스코는 주인이 없다. 그런데 이런 지배구조에 대해서 불안해하는 사람들이 많다. 그러나 일본에서는 익숙한 형태이다. 그런데 우리나라에서는 정부나 국민이나 일반언론에서 주인이 없는 것에 대한 우려를 많이 한다. 이러한 우려를 말끔히 없앨 수 있어야 민영화가 완전히 성공한 것으로 판단, 지배구조에 많은 신경을 쓰고 있고 투명하게 정도경영을 해나갈 것이다. 포스코가 이런 지배구조에 성공한다면 우리나라의 다른 기업들도 이런 방향으로 가게 될 것이고 현재의 재벌기업이나 오너의 횡포를 없애면서 건전한 방향으로 가게 될 것이다. 포스코는 이런 모델을 만들어 보겠다는 의욕을 가지고 있다. 기업이 이윤을 많이 내서 세금도 많이 내고 고용을 창출하는 것이 본연의 의무지만 이제는 그 것만으로는 제 사명을 다하지 못한다. 기업이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생존하려면 사회, 환경에 대한 책임을 다할 수 있어야 한다. 사회적 책임을 다하기 위해 포스코는 정책적으로 사회기여 활동, 사회공헌활동을 강화해 국민들이 ‘포스코는 훌륭한 회사이다. 돈만 잘 버는 회사가 아니라 돈도 잘 쓰는 회사다’라는 느낌을 갖도록 최선을 다하겠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