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과정의 사회적 성격과 이론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교육과정의 사회적 성격과 이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교육과정사회학의 전개

Ⅱ. 사회화와 표준교육과정이론
1. 사회화 기능
2. 경제체제 유지기능
3. 교육과정의 정치적 성격

Ⅲ. 지배문화와 재생산이론
1. 지배문화
2. 문화제국주의
3. 재생산이론

Ⅳ. 문화갈등과 탈 재생산이론
* 저항이론

Ⅴ. 교육의 상대적 자율성이론

본문내용

경계가 약화되는 것이라고도 표현된다. 그러므로
집합형 교육과정으로부터 통합형에로의 이행은 교육과정체제 내 힘의 구조와 분포의 변화를 초래한다.
다. 번스타인은 주어진 하나의 교육상황 속에 존재하는 자율성의 단초를 파악하는 일은 우선
그것에 대한 ‘공식적인 결정과정’과 ‘실재 학교현장에서의 수행과정’을 구분하는 일에서 출발
하여야 한다고 주장.
어떤 종류의 지식이 어떠한 방식으로 선정되고 조직되는가를 결정하는 기본적인 주체는
국가(State), 생산부문(Field of production), 그리고 상징통제부문(Field of symbolic control)
등이다. 이들간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지배적인 원칙이 결정되고 그에 따라 가르칠 지식이
선정되고 조직되며 교육현장으로 보내진다고 하였다.
이것을 ‘교육과정의 공식적 재맥락화 단계(Official Recontextualizing Field)'라고 한다. 즉
학문영역에서 생산된 지식을 지배적인 원칙에 맞추어 교육과정화하는 단계를 말하는 것이다.
이러한 교육과정은 다시 실제 교육현장속으로 들어가서 그 현장의 틀에 맞도록 재구조화
되는데, 이를 ’교수를 위한 재맥락화 단계(Pedagogic Recontextualizing Field)‘라고 한다.
라. 주의해야 할점
첫째, ORF와 PRF가 동일하지 않다
둘째, ORF와 PRF의 교육과정결정 및 맥락화 단계에 영향력을 행사하는 힘은 생산부분 및
상징통제 부문으로 나오는데 이 과정에서 교육과정이 아무런 갈등 없이 결정된다는
것은 순진한 발상이다.
셋째, 학생들이 수동적인 존재가 아니며 스스로 주체적이고 때론 자의적인 선택에 따른다. 김신일, 교육사회학(서울:교육과학사, 2006), P.404-410.
결론 : 학습자들에게는 비판적 학습능력이라는 값진 무기가 주어져 있다. 교육에 관한 논의를 학교에 한정하지 않고 학교 밖의 성인교육으로 확대하면, 성인학습자들이 비판적으로, 주체적으로 학습하는 모습을 쉽게 발견할 수 있다. Jarvis, 1992; Merriam and Caffarella, 1999
평생학습이 보편화되는 시대에는 학습자의 자기주도성(Self-directedness)이 과거 어느 때보다 강조될 것이다. 그러나 사람들의 주체적, 비판적 학습활동은 저절로 주어지는 것이 아니고 투쟁을 통하여 쟁취하고 ‘학습’하는 길밖에 없다 김신일, 교육사회학(서울:교육과학사, 2006), P.410.

추천자료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0.04.14
  • 저작시기2006.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9901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