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기이론 분류의 재구성, 그리고 위기이론들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위기이론 분류의 재구성, 그리고 위기이론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들어가는 말

2. 위기이론

3. 순환명제(경기순환이론)

4.위기명제

5.붕괴명제

6. 맺는 말

***참고문헌***

본문내용

것이다. 따라서 제 3편의 제 15장 ‘이 법칙의 내부 모순의 전개’는 이윤율저하의 법칙을 이해하는 데 결정적인 중요성을 가지고 있다고 말하지 않을 수 없다. 이렇게 본다면, 이윤율 저하의 법칙은 이윤율의 저하경향, 상쇄요인들 및 이들 사이의 모순이라는 세 가지의 요소를 지니고 있다고 말해야 할 것이다.”
근본주의자와 파인과 해리스의 차이: 공황의 의미
ⓐ근본주의자-이윤율저하법칙의 상쇄요인일 뿐이다.
ⓑ파인과 해리스- 두 개의 상이한 추상수준인 이윤율저하와 상쇄요인 이라는 대립물의 통일이다.
이윤율저하와 상쇄경향에 대한 비중으로 구별가능하다.
ⓐ 저하경향 〉 상쇄경향-근본주의
ⓑ 저하 〈 상쇄 -신리카도학파
ⓒ 저하와 상쇄는 동격 -파인과 해리스
5.붕괴명제 한센은 이들 각각의 붕괴이론의 형태는 개개의 출전 속에서 지배적인 혹은 종속적인 요소로서 나타난다고 말하고 있다. 예를 들면 룩셈부르크의 붕괴론은 신정통파적 입장을 띠고 있지만 종종 정통파 혹은 반정통파의 입장에 속하는 제반 논의도 받아들이고 있다는 것이다.(한센,p.32) 더불어 여기에서 소개되는 각 붕괴이론은 한센,pp.30-32를 옮겨 놓은 것이다. 더 자세한 논의를 알고자 하면 한센의 <자본주의 붕괴논쟁>을 모두 읽어야 할 것이다.
5.1.정통파의 붕괴론
이 붕괴론은 자본주의의 운명을 경제적 힘(토대)의 우월을 가정하여 인과론적으로 설명한다. 발전법칙의 정통적 해석은 주로 실증주의적이어서, 헤겔파의 형태보다는 신칸트파적 형태와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 인식론적 용어로 말하면, 정통적 입장은 이들 경제력이 경험적 조사에 따른다는 것, 또 관련 데이터를 쉽게 입수하여 이용할 수 있다는 것을 가정하고 있다. 마르크스 원전의 정통적인 원용은 대게 선택적이고 축어적이다. 그것은 주로 [자본론]에 포함되어 있는 어떤 서술의 증명력에 입각 또는 의존하고 있다. 정통파들은 자본주의의 모든 여러가지 근본적인 발전이 경제적 용어로 묘사될 수 있고 또 경험적 기록이나 중간적 분석으로 가능한 것처럼 생각하고 있다. 붕괴론에서 볼 수 있는 본원적인 제반 용어는 이러한 정통적 입장의 문맥속에서 설정되었던 것이다.(한센,pp.30-31)
5.2.신정통파의 붕괴론
이 이론은 경제적 힘의 우월을 가정한 후 구조적 용어로서 붕괴를 인과적으로 기술하여 정식화하려고 시도하고 있다. 그렇지만 이 주장은 상부구조의 요인을 인식하고 있다. 여기에서도
경험적 데이터가 이용되지만, 꽤나 주의를 기울였기 때문에 신정통파 이론은 일반적으로 정통파 이론보다도 정교하고 치밀하다. 신정통파의 마르크스 원용은 선택적이고 해설적이며 [자본론]에서 볼 수 있는 중간적인 경제이론이나 역사적 분석에 대해 호의적이다. 신정통파는 자본주의의 본성에 중대한 변화가 생겼다고 주장한다. 보통 그 변화는 세기전환기에 확인되고 이 변화가 마르크스 원전에서 볼 수 있는 본래의 이론이나 개념의 수정을 강요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신정통파의 입장은 원래 제2인터내셔널 시기에 생겨난 붕괴론의 정통파적 입장에 대한 응답으로서 정식화된 것이다. (한센,p.31)
5.3. 반정통파적 붕괴론
이 이론은 경제적 힘의 우월이라고 하는 가정을 거부한다. 상부구조적 제반 현상이야말로 자본주의의 발전에 관한 인과적 설명에 있어서 동등하거나 지배적인 역할을 하게 된다. 경험적인 데이터는 거의 이용되고 있지 않지만 이따금 사용되는 경우에도 상당한 주의를 기울이고 있다. 반정통파의 붕괴론은 고도로 추론적이고 추상적이어서 구체적으로 응용되는 일은 거의 없다. 마르크스의 원용은 선택적-분석적이고 비판적이나 마르크스의 전체 저작에서 볼 수 있는 폭넓은 사회이론과 방법론적이 진술에 대해서는 호의적이다. 반정통파는 자본주의적 생산양식에 중대한 변화가 생겼고, 이러한 변화가 마르크스의 개념과 이론에 근본적인 재고를 요구하고 있다고 지적한다. 베블렌에서 시작된 반정통파의 입장은 한세기를 통해 정통파와 신정통파의 제반 이론에 대한 도전으로 나타난 것이다.(한센,pp.31-32)
6. 맺는 말
이 글을 마치자니 아쉬움뿐이다. 아쉬움에 두려움이 겹쳐진다. 논리적으로나 내용상으로 허점이 너무 많다 그 일례로 역사적 자본주의라는 문제설정을 갖으며 헤게모니론까지 포함하고 있는 세계체제론의 위기이론을 정리하지 못했다. 그 대신 이 글에서 채택하고자 했던 논문을 소개하겠다. 김석진, ‘아메리카 헤게모니와 동아시아 자본주의’- 지오바니 아리기의 역사적 자본주의 분석,김석진,박민수 편역, ‘세계화와 신자유주의 비판을 위하여’의 제 2부중에서, 공감,1997
그리고 붕괴명제도 너무 간단하게 언급되었다. 물론 더이상의 정리가 어렵긴 하지만 아쉬움이 남는다.
. 글을 쓴 것이 아니라 허점을 쌓은 것 같다. 그렇지만 허점을 쌓았다는 것 그래서 그 허점을 볼 수 있게 되었다는 것이야말로 이 글이 거둔 가장 큰 열매가 아닐까 라는 말로 자위를 해본다. 허점은 찾아내야 고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렇다. 이 글은 허점을 쌓아놓았다. 따라서 이 글은 허점투성이로 보일 수록 성공한 것이다. 성공한 사람만이 그 자신과 이 글에 그 만큼의 자비를 베풀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F.R.한센, 임덕순 역, 자본주의 붕괴논쟁, 과학과 사상, 1989
김성구 편역, 공황론 입문, 돌베개, 1983
크리스 하먼,마르크스주의와 공황론,풀무질,1984
오늘의 세계경제:위기와 전망,갈무리,1994,
광란의 자본주의,책갈피,1996
파인&해리스,김수행 역, 현대정치경제학 입문(Rereading Capital),한울,1986
김수행,정치경제학원론,한길,1988,
자본론연구1,한길,1988
자본론 3권上,비봉,
1993년 마르크스경제학 수업노트
경제변동론,비봉,1986
정운영,노동가치이론 연구,까치,1993
1994년 가을 공황론 수업 노트
정명기,위기와 조절,창작과 비평,1992
김석진,세계화와 신자유주의 비판을 위하여 中 아메리카 헤게모니와 동아시아 자본주의,
지오바니 아리기의 역사적 자본주의 분석(세계체제론적 위기론),공감,1997
이정전,두경제학 이야기(주류경제학과 맑스경제학의 공황이론 비교),한길,1993
김영국,경기순환론,법문사,1993
  • 가격1,000
  • 페이지수25페이지
  • 등록일2010.04.25
  • 저작시기2006.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0257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