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1 경제관리개선조치와 북한의 농업에 관한 연구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머리말

2. 변화의 배경

3. 7‧1경제관리개선조치와 농업부문에 대한 기대 효과

4. 과거 농업부문의 제도개선 경험

5. 요약 및 시사점

본문내용

다. 농업기자재가 원활히 공급되지 않는다면 농업노동생산성은 매우 낮은 상태에 머물 수밖에 없다. 따라서 경지규모와 균형을 이루는 수준으로 농업기자재를 외부로부터 조달할 수 있는 방안을 찾아야 한다.
둘째, 중장기적으로 농업생산기반 개선을 위한 대규모 투자가 필요하다. 북한은 1980년대 초부터 시작된 경제침체로 농업생산기반에 대한 신규투자를 하지 못하였다. 1990년대 중반 이후는 거듭된 자연재해로 인해 농업생산기반이 피폐된 상태인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UNDP, 1998, 2000). 또한 식량과 에너지의 만성적 부족으로 산림 경사지 개간과 임산연료 채취가 확대되고 있어 산림황폐화가 빠르게 진전되고 있다. 이를 회복시키기 위해 외부의 대규모 투자지원을 유치해야 한다.
셋째, 단기적으로는 충분한 식량을 국제사회로부터 지원받을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 이는 기본 식량을 충분히 공급한다는 인도적인 차원에서 요구될 뿐만 아니라 식량의 유통질서를 회복하려는 경제관리개선조치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도 필요하다. 식량의 공급이 소요량에 크게 미치지 못한다면 공식가격의 수십 배에 달하는 암시장 가격이 다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경제는 인플레이션의 악순환에 빠지게 되며 모든 경제정책수단이 신뢰를 잃게 되는 상황을 초래하게 된다.
앞에서 언급한 세 가지 과제는 현 상황에서 북한 스스로 해결하기 어렵다. 결국 남한을 포함하여 국제사회의 체계적인 지원을 받을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지원을 유치하기 위해서 북한은 국제사회의 대북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다각도로 노력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우선 정치적 신뢰관계가 구축되어야 한다. 이는 북한이 국제사회에 책임 있는 일원으로 참여하는 것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북.미, 북.일 관계 개선뿐만 아니라 남북 관계 개선을 심화시키려는 노력도 기울여야 한다. 경제적 신뢰관계 구축도 중요하다. 경제개혁.개방 조치를 일관성 있게 추진함으로써 국제경제에 능동적으로 참여하고자 하는 의지를 보여줄 필요가 있다.
남한은 북한의 경제개혁.개방 노력에 호응할 수 있는 준비를 갖출 필요가 있다. 구체적으로는 대북 농업투자지원을 내외에 천명하거나 북한에 제안할 경우 대북 투자지원에 대한 정책적 의지와 실효성 있는 준비가 뒷받침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참고 문헌
김삼식, "신의주특구 설치배경과 전망,"
(http://www.kotra.or.kr/main/info/nk/research/econo_38.php3)
김영훈.최봉석, "신의주특별행정구 설치와 시사점," 「KREI북한농업동향」 4(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2. 9.
, "북한농업과 농지가족도급제," 「KREI북한농업동향」 3(1),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1.4.
김운근, 김영훈, 이일영, 「사회주의농업의 체제전환과 북한농업 전망」, 농촌경제연구원, 1996. 12.
권태진, "북한의 경제관리개선조치와 농업 부문 변화 전망," 「KREI북한농업동향」 4(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2. 9.
남성욱, "북한 7.1경제개선관리조치와 농업개혁," 「북한의 개혁과 개방 100일 : 현황과 전망」 국제학술대회, 2002. 10. 11.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통일논의리뷰」, 통권 3호, 2002. 3/4.
박석삼, "북한 금융현황과 개혁전망," 「북한의 개혁과 개방 100일 : 현황과 전망」 국제학술대회」, 2002. 10.
, 「최근 북한 경제조치의 의미와 향후 전망」, 한국은행, 2002.8
박진환, "북한의 식량배급제가 쌀과 옥수수 증산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북한농업연구회 2001년 추계학술발표회 발표논문, 2001.10.
신지호, 「북한의 개혁·개방 : 과거, 현황, 전망」, 한울아카데미, 2000.
오승렬, "북한과 중국의 초기 경제개혁 비교 및 시사점," 「북한의 개혁과 개방 100일 : 현황과 전망」 국제학술대회, 2002. 10. 11.
이일영, 전형진, "북한 농업제도의 전개와 개혁 전망에 관한 연구: 분조관리제를 중심으로," 「통일문제연구」 9(2), 평화문제연구소 편, 1997.
이정철, "계획계량형 사회주의와 북한의 1990년대 경제정책 변화," 「북한경제개혁연구」, 김연철.박순성 편, 아연학술총서2, 후마니타스, 2002.
윤덕룡 등, 「북한의 물가 상승 및 배급제 폐지의 의미와 시사점」, KIEP 오늘의 세계 경제 제02-24호, 2002.7.23
전국경제인연합회 동북아팀, 「최근 북한경제개혁의 시사점과 향후 과제」, 2002. 7.
정연호, 「최근 북한의 달러화 사용금지 조치의 배경 분석」, KDI정책포럼, 2002.12
정정길, 전창곤, "최근의 북한 농민시장 현황," 「KREI북한농업동향」 1(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1999. 10.
조동호, 「계획경제 시스템의 정상화-최근 북한 경제조치의 분석 및 평가-」, KDI정책포럼 제160호, 2002. 7.
최신림, "북한의 경제개방과 산업정책," 「북한 경제개혁 연구」 김연철, 박순성 편, 아연학술총서 2, 후마니타스, 2002.통일부, 「2002북한이해」, 2002.
통일부, 「대북화해협력정책 추진과 최근 북한의 변화」, 2002. 10.
통일부, "2000년도 북한의 농민시장 물가동향," 보도참고자료, 2000. 12. 22.
통일부, "최근 북한 농민시장의 실태와 가격동향 분석," 1998. 12
한국은행, "최근 북한 경제조치의 의미와 향후 전망," 2002.8.
FAO, FAO statistics database.
FAO/WFP, "Special Report : FAO/WFP Crop and Food Supply Assessment Mission to the DPRK," 1996.11∼2002.11(각연도)
FAO/UNDP, "Agricultural Recovery and Environmental Protection Programme in DPR Korea," 1998.11.
UNDP, "Second Thematic Roundtable on Agricultural Recovery and Environmental Protection Programme in DPR Korea," draft, 2000. 5.
  • 가격1,500
  • 페이지수22페이지
  • 등록일2010.05.16
  • 저작시기2005.0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1133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