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학교 미디어교육의 실제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초등학교 미디어교육의 실제

1. 들어가며

2. 초등학교 미디어 교육의 실태

2.1 특별활동의 일환으로 실시되는 미디어 교육

2.2. 정규 교과교육 속의 미디어 교육

2.3. 방과후 특기 적성 교육의 일환으로 실시되는 미디어 교육

3. 글을 마치며

Ⅲ. 종교단체 미디어교육 사례 및 분석

종교단체 미디어교육의 과제

1. 종교단체 미디어교육의 의의

2. 종교단체의 미디어교육의 중요성

3. 종교단체 미디어교육의 특징 및 패러다임의 전환

4. 각 종교단체의 미디어교육 현황

5. 종교단체 미디어교육의 과제 및 발전방향

Ⅳ. 한국 미디어교육의 현황과 발전방향

한국 미디어교육의 현황과 발전방향

1. 한국 미디어교육의 현실진단

2. 한국 미디어 교육의 문제점

3. 외국의 미디어 교육 모델

4. 한국 미디어 교육의 당면과제

본문내용

통해 미디어 교육의 활성화를 꾀하고 있으며, 이들 회원으로부터의 회 비와 공공기금 프로젝트 비용으로 단체를 운영하고 있다. 이 센터에서는 교재 개발뿐 아니라 전 국적 규모의 미디어 리터러시 심포지엄 등을 개최함으로써 학문적 성과에도 관심을 기울이고 있 다.
지금은 활동하고 있지 않지만 ‘미디어 운동 연구센터(MARC:Media Action Research Center)’ 는 종교적 시각의 미디어 교육을 체계화시킨 단체로 인정받고 있다. 여기서 주도한 미디어 교육 프로젝트는 ‘TAT (Television Awareness Training)’와 ‘Growing with Television’으로 미디어 내용을 기독교 적 가치관에 입각하여 어떻게 수용할 것인가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 프로그램들은 부모와 교 사, 교회 사역자가 개별적으로 어린이와 청소년들의 텔레비전 시청지도에 사용할 수 있는 교재를 개발, 훈련시키는 데 목적을 두었다. 다른 ‘비판적 시청기술’ 훈련 프로그램과 달리 이것은 미 디어와 그 영향에 대한 정보뿐만 아니라 해석적인 관점과 판단을 포함한 광범위한 읽을거리를 제 공하고 있으며, 5단계의 연령수준별(초등학교 저학년, 고학년, 중학생, 고등학생, 성인), 4개의 단 위(unit)로 구성된 교재를 사용했다.
한편 교육 프로그램의 실시보다는 수용자 주권을 확보하기 위한 운동적 성격의 미디어 교육도 미 국의 특징적인 형태라고 볼 수 있는데 ‘미디어 교육 센터(Center for Media Education)’가 그 대표적인 예이다. 1990년 ‘어린이 텔레비전 법(Children's Television Act)’을 통과시킨 후 자진 해산한 시민단체 ACT의 활동을 계승한 이 단체는 어린이를 위한 미디어 환경개선을 위해 정부 에 압력을 행사하고 기금을 마련하는 등 적극적인 운동을 펼치고 있다. 유사한 단체로 1987년 설립된 ‘미디어 리서치 센터(MRC:Media Research Center)’는 보도와 오락 미디어의 정치적 균형을 요구하는 보수성향의 운동단체이다. MRC에서는 1995년 ‘학부모 텔레비전 위원회(Parents Television Council)’ 분과를 설치하여 도덕적이고 규범적인 가족 텔레 비전의 회복을 위한 가족 시청시간대 설정 운동 등을 펼쳐 큰 호응을 얻고 있다.
중남미 국가 역시 정부에 의한 미디어 교육이나 정규 교육체제에서 시행하는 미디어 교육 프로그 램보다는 종교단체나 지역단체, 사회운동단체에서 후원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중남미 국가에서 비교적 대규모의 미디어 교육 프로그램이 전개된 것은 가톨릭이라는 종교적 영 향, 정치 경제 사회 문화적인 특수성에서 기인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들 국가에서는 미디어 교 육을 이데올로기적인 저항 수단이나 민주화를 위한 수단으로 본다. 즉 미디어가 미국의 자본주의 와 문화제국주의를 전파하고 독재정치를 위한 정보조작에 앞장선다는 의식 하에 이에 대항할 수 있는 비판적 의식을 개발하기 위한 목적으로 미디어 교육을 실시한 것이다.5) 칠레 CENECA(Centre of Cultural and Artistic Enquiry and Expression)의 미디어 교육 프로그램은 그 대표적인 예이다.6)
학술기관 중심형 - 영국 영국의 미디어 교육 프로그램은 텔레비전뿐 아니라 인쇄매체, 영화, 음악, 만화 등 다양한 미디어 를 대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방송의 민주적 책임 및 독립성을 감시하기 위한 정책, 제도, 프 로그램 분석 활동에 중점을 두고 있다. 특징적인 것은 다른 나라에 비해 미디어 교육의 이론적 배경에 대한 연구와 체계적인 교재 개발작업이 대학과 학술연구기관을 중심으로 활발하게 이루어 지고 있다는 점이다.
미디어 교육과 관련된 연구서나 학술서 등은 상당수가 영국의 학자들에 의해 집필된 것이며, 대 학의 교과과정이나 과목 속에 미디어 교육을 연구하고 교사를 배출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마련되 어 있으며 미디어 교육 박사과정이 개설되어 있기도 하다. 그중에서도 BFI(British Film Institute), OPEN 대학에서 활발한 연구가 진행 중이며, 이론적 기반이 튼튼한 미디어 교육 교재 의 개발도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물론 영국에서도 사회단체나 방송기관 (IBA) 등을 중심으로 한 미디어 교육을 실시하고 있으며, ‘Building Sights’와 같은 제작교육도 시도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실제 교육의 가이드라인이 되는 학술적 연구작업이 영국의 미디어 교육을 탄탄하게 뒷받침해주고 있음은 주목할만하다.
*주
1) 안정임 외, 미디어 교육연구, 방송위원회, 1994.
2) J. A. Brown, Television ‘Critical Viewing Skills’ Education-Major Media Literacy Projects in the United States and Selected Countries,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Ass., 1991.
3) Peter Greenaway, Media and Arts Education: A Global View from Australia, Robert Kubey (ed.), Media Literacy in the Information Age, Transaction Publishers: NJ, 1997.
4) 자세한 내용은 Brown (1991)의 책에 소개되어 있다.
5) V. Fuenzalida, Media Education in Latin America: Developments 1970-1990, Bazalgette, C., E. Bevort & J. Savino (eds.) New Directions-Media Education Worldwide, London: BFI, 1992.
6) 박동숙, “외국 사례를 중심으로 본 미디어 교육 현황,” 신문과 방송 1994. 9. pp. 92-100.
7) 박명진·손병우, “외국 시청자운동의 발달과정 및 현황,” 언론과 수용자, 언론연구원총서 16, 한국언론연구원, 1994, p. 269. "
안정임 / 한세대 신문방송학과 교수

추천자료

  • 가격1,500
  • 페이지수25페이지
  • 등록일2010.06.10
  • 저작시기2003.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1826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