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치논쟁, 김치의 세계화 및 나아갈 방향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김치논쟁, 김치의 세계화 및 나아갈 방향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머리말 - 뜨겁게 달궈진 김치 논쟁
2. 김치란 무엇인가
3. 문화 교류로 탄생한 김치
4. 김치 세계화의 두 가지 양상
5. 맺음말 - 나아가야할 방향

본문내용

선은 정확한 본질의 이해가 필요하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김치가 완성되기까지에 있어서 [재료의 교류], [조리 방식의 교류] 라는 다른 문화권의 문물을 수용하는 과정이 존재 했고, 지금의 김치는 완성하게 되었다. 그렇지만 다른 문화 요소가 가미 되었다고 해서 우리는 김치가 고유의 음식임을 부인하지 않는다. 오히려 다양한 문물의 교류를 통하여 우리만의 것으로 재창조 한 것에 대해 또 다른 자부심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한편, 기무치를 살펴봄에 있어서도, 기무치 역시 우리나라의 영향을 받아 일본의 자체적인 수용과정을 거쳐, 발효과정을 빼고, 덜 매운 겉절이 형식의 김치가 재창조 된 것이다. 다만 문제 되는 것은 발음상의 유사점이라는 문제가 있는데 예컨대 이태리의 피자, 미국의 피자와 같이, 용어는 같지만 그 실체는 다른, 현상은 얼마든지 발생할 수 있다.
살펴본 바와 같이 김치와 기무치는 각자가 문화적 수용을 통해 자체적인 재창조 과정을 거쳐 완성된 문화라는 공통점을 찾아 낼 수 있는데, 결국, 우리 역시 김치가 외래문화의 도입과 함께 형성된 새로운 자국 문화임에 대해 의의를 두고 있듯이, 일본이 일궈낸 김치에 대한 재발견에 대해서도 존중할 필요가 있다.
(2)지속적인 발전의 필요성
codex에 김치가 표준 식품의 기준으로서 등재된 일은, 김치와 기무치 사이에 벌어진 문화컨텐츠 간의 전쟁에서 거둔 작은 승리라고 볼 수 있다. 앞서 문화적 상대성을 역설 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이것에 대해 문화 컨텐츠 간의 전쟁이라 표현한 것은 이유가 있다. 우선, 김치와 기무치의 상대적 존중이 전제된다면, 둘은 동등한 입장에서 세계 각국의 관심을 받게 된다. 그렇게 된다면, 어떤 것이 좀 더 보편적으로 정확하게 인식되어 있느냐 라는 점이 국가적, 문화적 자산이 됨은 당연하다.
현재 세계 문화의 양상은 그저 보존하고, 있다는 사실을 인지 시키는 입장에서 끝나지 않는다. 문화 자체가 상품이고 국가의 자산이다. 따라서 우리는 기무치에 대한 문화적 존중과 더불어, 기무치를 압도할 창조적인 발전 과정이 필요하다. 그러한 과정을 거침으로, 우리는 문화의 집합체로서 대한민국을 강대국의 문화적 획일화라는 폭풍을 견뎌 낼 수 있다.
참고문헌
논문
박채린, 「한국의 김치문화와 김치의 문화적 특성」,
『신학연 논단 : 김치의 기능성과 산업화(3)』, 2005.
이효지, 「한국의 김치 문화」, 『비교민속학 18집』, 2000.
서적
김만조, 이규태, 이어령 공동집필 『김치 천년의맛-상,하권』,1996.
정대성, 『일본으로 건너간 한국음식』, 2000.
이원복, 『(21세기)먼나라 이웃나라. 7, 일본, 일본인 편』
박채린, 「한국의 김치문화와 김치의 문화적 특성」식품저장과 가공산업, 2006.
최홍식, 『한국의 김치문화와 식생활』, 효일, 2002.
이춘자 외, 『김치』, 대원사, 1998.
김필동, 『일본대중문화』, 새움, 2001.
이효지, 『한국의 김치문화』, 신광출판사, 2000.
로렌스E 조지프, 강미경 역, 『아포칼립스 2012』, 황금나침반, 2007.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0.10.28
  • 저작시기2010.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3653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