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학생][초등학생발달][아동발달][초등교육]초등학생의 역사의식발달, 초등학생의 독서흥미발달, 초등학생의 독서능력발달, 초등학생의 평면표현발달, 초등학생의 입체표현발달, 초등학생의 음악적발달 분석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초등학생][초등학생발달][아동발달][초등교육]초등학생의 역사의식발달, 초등학생의 독서흥미발달, 초등학생의 독서능력발달, 초등학생의 평면표현발달, 초등학생의 입체표현발달, 초등학생의 음악적발달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초등학생의 역사의식발달

Ⅲ. 초등학생의 독서흥미발달

Ⅳ. 초등학생의 독서능력발달
1. 초등학교 1, 2학년(환상동화시대)
1) 팬터지를 읽는다
2) 쉬운 단편동화를 많이 읽는다
3) 둘이서 읽기로 독서를 즐긴다
4) 책을 읽고 이야기를 나눈다
5) 스토리를 다른 사람에게 전달한다
6) 감상을 그림일기로 쓴다
6) 혼자서 읽기를 즐긴다
7) 등장 인물의 행동을 평가한다
8) 읽으면서 이미지를 그린다
2. 초등학교 3, 4학년(역사 이야기 시대)
1) 신화와 전설을 즐긴다
2) 영웅을 흠모한다
3) 스스로 책을 선택한다
4) 다독의 시대가 열린다
5) 우정의 이야기를 많이 읽는다
6) 모험의 세계를 동경한다
7) 동정심을 유발하는 주인공을 좋아한다
3. 초등학교 5, 6학년(지식과 논리의 시대)
1) 지시의 책에 흥미를 느낀다
2) 인간의 역사에 흥미를 느낀다
3) 서정 문학을 즐긴다
4) 우정을 다룬 장편소설을 읽는다
5) 탐정, 추리소설을 읽는다
6) 공상과학소설을 읽는다

Ⅴ. 초등학생의 평면표현발달
1. 로웬펠드(Victor Löwenfeld)의 발달단계
1) 난화기 (2-4세)
2) 전도식기 (4-7세)
3) 도식기 (7-9세)
4) 또래집단기 (9-11세)
5) 의사실기 (11-13세)
6) 결정기 (13-17세)
2. 게이츠켈과 허위츠, 데이(C.D.Gaitskell, A.Hurwitz, M. Day)의 발달단계
1) 조작단계 (2-5세)
2) 상징표현단계 (6-9세)
3) 사춘기 이전 단계 (10-13세)
3. 린스트럼(M. Lindstrom)의 발달단계
1) 낙서시기 (2-5세)
2) 개념적 회화시기 (4-6세)
3) 사고적 회화시기 (5-8세)
4) 도식적 양식기 (7-10세)
5) 도식적 양식 탈피기 (8-12세)
6) 미적 관심의 쇠퇴기 (9-11세)
7) 사춘기 (12-15세)

Ⅵ. 초등학생의 입체표현발달
1. 로웬펠드의 입체 표현 발달 단계
1) 난화기(The scribbling stage, 2~4세)
2) 전도식기(The preschematic stage, 4~7세)
3) 도식기(The schematic stage, 7~9세)
4) 또래 집단기(The gang age, 9~11세)
5) 의사실기(The pseudo-naturalistic stage, 11~13세)
6) 결정기(The period of decision, 13~17세)
7) 청소년기(Adolescent Art)
2. 전성수의 입체 표현 발달 단계
1) 평면적 상징기(1․2학년, 6~8세)
2) 입체적 탐색기(3․4학년, 8~10세)
3) 입체적 사실기(5․6학년, 10~12세)

Ⅶ. 초등학생의 음악적발달
1. 저학년(1, 2학년)
2. 중학년(3, 4학년)
3. 고학년(5, 6학년)

Ⅷ.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서로 다른 성별에서이다. 남아는 남아끼리 놀려고 하고, 성인 남자들을 본받으려고 하며, 여아는 여아끼리 놀려고 하고 성인 여자를 본받으려고 한다. 아이들은 특정 그룹에 충성하고자 하며 이 그룹의 사람들을 두둔하기도 한다. 이 시기의 음악적 발달 특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성대와 허파의 발달로 음역이 넓어지고, 숨 조절이 용이해지며, 성량이 좀 더 풍부해진다.
작은 근육이 발달하며, 특히 손과 눈의 협응력이 발달하여 리코더나 멜로디언 등의 가락악기 연주가 가능하다.
보존 개념이 형성되고, 음악적 개념이 세분화되고, 음악적 기호를 인지하여 음악의 읽기와 쓰기 지도가 가능하다.
개인의 음악적 능력의 차가 나타나기 시작한다.
주의 집중 시간이 길어져서 한 가지 활동을 오래 할 수 있다.
사회성이 발달하여 또래들과 잘 어울리므로 합주단, 합창단 활동을 할 수 있다.
화음감이 발달하기 시작하여 돌림노래(캐논)나 쉬운 데스칸트를 노래 부를 수 있다.
음악 수리적 사고가 가능하여 악보와 음악 기호 사용을 할 수 있다.
개인의 능력 차가 나타나며 이상한 유머와 상상적 모험을 즐긴다.
모방적이고 율동적인 활동이 점차 자기 활동에 대한 관심을 가져 표현능력이 성숙해진다.
가락이나 리듬에 대한 감각이 발달하여 음악적 쾌감을 피부로 느낄 수 있는 감각이 싹튼다.
타인의 음악 표현활동에 대하여 비판적인 태도를 갖기 시작한다.
3. 고학년(5, 6학년)
이 시기의 어린이들은 정신적, 신체적 기술이 많이 발달하므로 미세한 움직임도 완벽하게 할 수 있다. 이 시기 말엽에는 신체가 사춘기에 접어들므로 급속한 신체발달이 오는데 여아가 남아보다 빠르다. 추상적 사고가 가능하여 숫자, 상징, 음악 기호들을 정신적으로 조작할 수 있다. 많은 아이들이 이 시기에 정신적 완숙에 도달하여 어른과 맞먹는 추상력이 생긴다.
또래 집단이 초등 말기에 계속 중요한 요소이다. 종종 이성에 대해 적의감이 생긴다. 남아가 좋아하는 노래나 활동들을 여아들은 싫어하게 된다. 아이들은 대개 경쟁적이고 자기 능력에 대해 확신을 가진다. 이들은 독자적으로 공부하는 힘을 개발한다. 사고와 활동에 자유롭고 도덕적 판단을 하기 시작한다. 많은 아이들이 이 시기에 유머 감각을 발달시킨다. 이 시기의 구체적인 음악 발달 특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화음 감지력이 더욱 발달하고 음역이 넓어진다. 장조와 단조의 으뜸화음, 버금딸림화음, 딸림화음을 구별할 수 있고, 음악의 짜임새도 구별할 수 있다.
남아와 여아의 관심이 서로 달라지며 각 개인의 능력 차이도 더 난다.
시간과 공간 개념을 포함하여 주위 환경에 대한 이해가 넓어지므로 여러 나라와 다양한 시기의 다양한 음악을 접하는 것을 좋아한다.
어떤 사실에 대한 과학적 이유와 근거에 관심이 생긴다. 화음의 원리, 음향학, 악기의 구조에 대해 가르칠 수 있다.
자기 중심에서 주위에 순응하고 집단 생활을 즐긴다.
어린이는 개성을 중시하며, 음악에 대한 선호도가 생기기 시작한다.
성대가 발육하여 소리에 윤기가 있고, 성량도 커져 변성기 전의 아동으로서는 가장 아름다운 소리가 나는 시기이다.
가창 지도에 가장 알맞은 시기이며, 노래를 많이 부르도록 하기에 좋은 시기이다.
집단에의 소속에 대한 관심과 욕구가 급격히 높아져서 합창과 합주도 활발하게 할 수 있는 시기이다.
미적 감각도 발달되고 가창이나 창작 , 감상 면에서도 점차 자기 나름의 비판을 하게 되며, 자발적인 음악 활동이 시작된다.
신체 발육에 따라 발성기관도 발달하여 아동으로서의 목소리가 완성되어 가며, 변성기에 들어가는 아동도 있다.
남학생들은 변성이 시작되기 때문에 그에 대비하여 2부, 3부 노래나 기악, 감상을 더 강화하는 프로그램을 준비해야 한다.
가정환경에 따라 음악적인 개인차가 현저하게 나타나며 음악의 소질 유무가 완전히 결정되는 시기이다.
음악적 개성이 나타나며, 모방으로부터 창조적인 면으로 발달, 음악적 감각 면에 있어서도 가락적인 것으로부터 점차 화성적인 것으로 발전하게 된다.
감상에 있어서도 수동적인 태도보다 능동적인 태도를 가져 내용미와 형식미를 생각하게 되며, 해석을 가할 수 있는 능력이 싹튼다.
성인들이 즐겨 듣는 대중가요에 흥미를 갖게 되고, 학교의 음악 교육의 영향력이 약화될 우려가 있는 시기이다.
Ⅷ. 결론
Piaget는 자신의 세 자녀가 성장하는 과정을 임상적 방법(피험자와 늘 함께 생활하고 지켜보면서 대화를 통하여 연구하는 방법)으로 세심하게 지속적으로 아동의 지적발달(知的發達) 과정을 연구하였다.
그 결과 초등학교 수준의 어린이의 지적발달은 초등학교 이전의 ‘감각과 동작’에 의한 직관적(直觀的)인 사고를 하는 감각동작기(sensorimotor period)와 전조작기(pre-operational period)를 벗어나 ‘머리로’ 논리적(論理的)인 사고를 할 수 있는 구체적 조작기(concrete operational period)로 발달한다고 했다. 따라서 초등학교 어린이는 일반적인 개념(槪念), 원리(原理), 법칙성(法則性) 등을 추리할 수 있는 논리적인 사고를 할 수 있는 능력이 비로소 가능하다는 이야기이다. 그러나 이러한 논리적(論理的), 고차적(高次的) 사고작용은 구체적으로 관찰을 하거나, 직접 지각하고 손으로 만질 수 있는 구체적(具體的)인 경험(經驗)에 의해서만이 가능하다는 사실이다. 우리는 어린이들과 교실 수업을 함에 있어서 말로 설명하려들지 말고 실제로 해보고, 구체적인 경험을 갖게 하거나 사실적인 장면제시 등의 일련의 조작과정을 거쳐 개념, 원리, 법칙성을 발견하도록 가르치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참고문헌
김정희·김현주·정인숙(1998) - 아동발달심리, 동문사
박휘락(1998) - 평면표현을 통한 창의성 계발, 조형교육, 서울 : 한국조형교육학회
손미경(1993) - 어린이와 독서, 서울 시립 도서관
서봉연·이순형(1986) - 발달심리학, 서울 : 중앙적성출판사
이찬희(1996) - 역사의식의 개념과 역사교육, 서울 : 교육과학사
이재연(1998) - 아동발달, 서울 : 문음사
정옥분 역, Neil J Salkind(1991) - 인간 발달의 이론, 서울 : 교육과학사
  • 가격6,500
  • 페이지수18페이지
  • 등록일2010.12.07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4237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