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자의 유가윤리] 공자의 생애 및 업적과 정명사상과 이상적인 인간론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공자의 유가윤리] 공자의 생애 및 업적과 정명사상과 이상적인 인간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공자의 유가윤리

1.공자의 생애 및 업적

2.인

3.정명사상

4.이상적인 인간

*참고문헌

본문내용

은 바로 모든 분야의 사람들이 각기 부여된 이름에 걸맞는 직분을 바르게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직분을 나누어 주는 것을 역할분담이라고 한다면, 각자 역할에 따라 직분을 다하는 것이 정명이고 각자의 역할을 존중하여 침해하지 않는 것이 또한 정명이다.
남의 역할을 침해하는 것은 질서를 유지하는데 득이 되지 않는다.
이런 면에서 공자는 정명을 정치질서로 바로잡고 사회를 안정시키는 요체로 보았던 것이다.
공자가 군군, 신신, 부부, 자자를 주장한 것은 통치계급의 특권과 지위를 옹호하는 주장이라고 비판을 받기도 하지만, 공자에 대한 극단적인 오해라고 여겨진다.
사회의 전면적인 질서를 유지하자는 주장이기는 하지만 외형적인 질서라기 보다는 내재된 뜻은 사람되는 도리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모든 사람들이 사람되는 도리를 지킴으로써 결과적으로 안정된 질서를 확보하자는 것이다.
군신관계에서는 “임금이 신하를 부릴 때는 예로써하고, 신하는 임금을 섬길 때에 충으로서 한다” 고 했다.
통치계급이 권력을 남용한다면 그것은 ‘통치자’ 라는 이름에 맞는 직분의 행사가 아니다.
즉, 정명사상에 위배되는 것이다.
4.이상적인 인간
군자는 원래 벼슬자리에 있는 사람을 뜻하는 말로 책임있는 지위에 있는 모든 사람을 가리키는 말이었다.
유가에서는 지위에 앉아 있든 아니든 간에 재덕이 있는 사람은 군자라고 불렀다.
군자의 반대는 소인이다.
논어에는 군자와 소인을 비교한 말들이 많이 나온다.
군자는 의에 밝고, 소인은 이익에 밝다.
군자의 덕은 바람과 같고, 소인의 덕은 풀과 같다.
군자는 고상한 일에 통달하고, 소인은 하찮은 일에 발달해 있다.
군자는 화합은 잘하고 편을 만들지 않지만, 소인은 편은 잘 만들지만 화합은 잘하지 못한다.
허물에 있어서 군자는 자기에게서 책임을 찾고, 소인은 남에게서 책임을 찾는다.
성인은 누구나 도달할 수 있는 것이 아니지만, 군자는 누구나 될 수 있는 것으로 본다.
공자는 자로가 군자란 어떠한 사람이어야 하는가에 대하여 물었을 때, 군자란 먼저 자신을 수양하여 덕망을 쌓는 것이 전제가 되는 것이고, 자신을 다까 남을 편안하게 하고 나아가서는 백성들을 편안하게 하는 것이 군자의 소임이라고 했다.
즉, 군자는 인격자를 일컫는 말로 볼 수 있다.
그래서 공자는 제자들을 군자로 만들려고 정성을 다하여 가르쳤고, 그것이 그의 교육목표였다.
그러므로 그의 학문을 군자학이라고도 한다.
그는 제자들이 스스로 국가와 사회에 유용한 바람직한 인물이 되기를 바랬다.
그는 정치가로서 뜻은 모두 펼치지 못했지만, 교육자로서 그는 인류의 스승으로서 자리매김을 하고 있다.
*참고문헌
-폴 테일러, 김영진 역, 윤리학의 기본원리, (서울: 서광서, 1988)
-미카엘 란트만, 진교훈 역, 철학적 인간학 (사울: 경문사, 1988)
-찰스 린블럼, 주성수 역, 정치와 시장, (서울: 인간사항, 1989)
-제임스 V. 맥글린, 쥴즈 J. 토너, 안명옥, 임기석 옮김, 현대윤리사상 (서울: 박영사, 1985)
-진교훈, 철학적 인간학연구 (서울: 경문사, 1986)

키워드

공자,   유가윤리,   정명사상,   개념,   정의,   영향

추천자료

  • 가격2,5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1.02.25
  • 저작시기201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5222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