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성교육의 이론적 탐색과 효율적 현장 적용을 위한 제언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인성교육의 필요성
1. 발달심리적 측면
2. 환경적 측면
Ⅲ. 인성교육의 원칙과 방법
1. 인성교육의 원칙
2. 인성 교육의 방향과 방법
Ⅳ. 현장에서의 인성 교육 실태와 종합적 분석
1. 유치원 인성 교육 실태
2. 초등학교의 인성 교육 실태
3. 중학교의 인성 교육 실태
4. 고등학교 인성 교육의 실태
Ⅴ. 효과적 인성 교육을 위한 제언

본문내용

교육 방안 자체에도 문제는 있다. 그것은 바로 누구의 가치를 가르치고 행동화 할 것인가?의 문제이다. 다원성이 세계적 추세로 되어 있는 시대에 가치의 합의가 가능할 수 있느냐의 문제와 더불어 특정 가치의 주입과 연루된 개별성에 대한 위협과 정치철학의 문제 등을 지적할 수 있다. 따라서 학교에서의 인성 교육적 방향이 가정이나 사회의 인성 교육과 갈등을 일으킬 위험성도 예측해 볼 수 있다.
인격교육에 대한 새로운 시도를 하고 있는 미국에서도 최근 인격교육에 대한 비판들이 제기되고 있는데, 가장 대표적인 것이 학교는 특정한 덕성이나 가치를 전수시킬 권리를 지니지 않고 있으며, 학생들 나름의 윤리적 고려에 어떠한 영향을 주려는 시도를 해서는 안된다는 논리들로 귀결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비판에도 불구하고 미국 사회의 지배적인 여론은 인격교육에 대해 매우 긍정적이다. phi Delta Kappan의 여론조사에 따르면, 미국 학부모들의 다수가 학교에서의 인격교육에 지지를 보내고 있다. ‘가치나 윤리적 행동에 대한 교육이 학교에서 이루어져야만 하는가? 또 부모나 교회에 맡겨야 하는가?라는 설문에 대해 학교가 49%, 교회나 가정이 39%, 양쪽 모두가 12%의 반응을 보여주었다.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학교중심의 인성 교육보다는 가정과 사회가 상호협조하는 분위기에서의 인성 교육에 주안점을 두지만 여전히 교육의 중심고리는 학교라는데 대하여 이론이 없다.
그런데 학교교육에서 가장 역점을 두고 가르쳐야 할 교육분야에 대한 반응도 조사에서 나타난 교사들의 반응을 보면 <표 5>에서 처럼 정의적 영역이어야 한다는 응답이 지적 영역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교사들의 반응은 기존의 교육에 대한 교육을 담당하는 당사자로서의 절실성을 반영하고 있는 점에서 가치가 있다고 한다면 우리나라에서의 인성 교육의 필요성을 간접적으로나마 확인할 수 있다.
<표 5> 가장 역점을 두고 가르쳐야 할 교육분야(교원들의 반응)
(단위: %, N=1,331)
구 분
전 체
국교교사
중학교교사
고교교사
지적 영역
창의력
사고력
지식
기술기능
정의적 영역
기본 생활 습관
도덕성
인간관계
정서적 감수성
지도력
건강
19.4
8.7
5.0
4.5
1.2
78.0
27.0
25.7
7.3
1.8
0.3
2.6
19.2
10.3
5.8
2.8
0.3
77.1
36.8
30.0
7.0
3.3
-
4.0
25.2
9.6
7.0
7.9
0.7
72.1
31.9
30.8
7.0
1.1
0.4
2.8
23.2
10.8
4.9
4.6
2.9
74.1
29.2
31.2
11.1
2.2
0.4
2.7
(자료: 한국교육개발원, 한국인의 교육의식 조사연구)
그리고 자녀에게 희망하는 인간상에 대한 일반인들의 반응도 조사에서는 <표6>과 같이 노력하는 사람, 성격이 원만한 사람에 대한 기대순으로 나타났다. 즉, 일반인들이 바라는 인간형은 성실하고 마음이 너그러운 보통 사람이다. 따라서 일반인들은 학교에서 누구에게나 다 적용될 수 있는 일반화된 덕성을 교육해 주기를 바란다고 볼 수 있다.
<표 6> 자녀에게 희망하는 인간상(일반인 반응)
(단위:%, N=1,138)
기대하는 인간상의 내용
비율
창의적 사람
따뜻한 사람
적극적인 사람
정의로운 사람
성격이 원만한 사람
다재다능한 사람
노력하는 사람
의지가 강한 사람
7.1
4.6
7.3
7.2
15.6
6.6
41.3
10.3
(자료:한국교육개발원, 한국의 교육 지표)
이러한 함의에도 불구하고 과연 우리 교육계는 이러한 기대에 부응할 수 있는 자질을 갖추고 있는가라는 자성적 자조에 부딪치게 된다. 앞에 진술한 실태조사에서 언급되었듯이 우리의 교육 현장에서 531교육 개혁에서 요구하는 바처럼 모든 교과에서의 인성 교육을 추진할 정도의 교육프로그램을 갖추고 있지 못하다. 물론, 덕성교육울 위주로 하는 인성 교육은 교사의 짜임새 있는 수업전략 적용보다는 학생들의 심성변화를 일으킬 수 있는 모델로서의 교사들의 역할이 더 중요할 수도 있다. 마틴부버에 의하면, 교사는 자신과 학생들의 공유적 삶의 장소인 교실에 규율과 질서를 도입해야 하며, 그러한 규율과 질서가 점점 학생들 내부로 향하여 자율적인 것이 되고 마침내 학생들의 마음속에서 입법화 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따라서 인성 교육의 성공적 정착을 위해서는 첫번째로 교사의 의식적 전환과 역할이 중요하다.
둘째, 인성 교육은 학교와 지역 사회간의 연계성 속에서 유지되어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유치원, 초등, 중등, 고등으로 발전될수록 그 연계가 강화되어야 한다. 즉, 학교가 바라는 덕성스러운 인간과 덕성스러운 학교에 걸맞는 주변 환경도 갖추어져야만 인성 교육은 성공할 수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학교는 학부모들을 적극적인 교육의 동반자로 활용하는 폭넓고 심도있는 여건이 마련되어야 한다.
셋째, 인성 교육은 ‘알기 교육’에서 ‘행동하기’, ‘실천하기 교육’으로의 전환을 의미하는 만큼 구체적이고 다양한 실천을 가능하게 하는 교육여건이 마련되어야 한다. 봉사활동강화, 특별활동강화를 6차교육과정에서 특히 강조하고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대학입학이 지상목표로 간주되는 한 이것의 활성화는 기대하기 힘들다. 점수와 연관되는 봉사활동은 평가활동을 위한 기계적이고 형식적인 차원으로 흐를 수도 있다. 남을 위한 도덕이나 윤리가 감정적행동적 차원이 아닌 형식적이 되어 버릴 때, 그 윤리나 도덕은 추상적이며 생명력이 없어지고 만다. 따라서 학생들의 다양한 도덕적 경험을 가능하게 하는 사회제도나 마련이 있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전통적 규범이나 보편적 덕성에 대한 무조건적 전수보다는 학교, 가정, 사회, 학생 공동의 노력에 의한 덕목 발견과 그것의 행동화를 위한 창조적 학습프로그램 개발 및 교사의 지도 노력이 요구된다.
차 례
Ⅰ. 서론
Ⅱ. 인성교육의 필요성
1. 발달심리적 측면
2. 환경적 측면
Ⅲ. 인성교육의 원칙과 방법
1. 인성교육의 원칙
2. 인성 교육의 방향과 방법
Ⅳ. 현장에서의 인성 교육 실태와 종합적 분석
1. 유치원 인성 교육 실태
2. 초등학교의 인성 교육 실태
3. 중학교의 인성 교육 실태
4. 고등학교 인성 교육의 실태
Ⅴ. 효과적 인성 교육을 위한 제언

추천자료

  • 가격2,0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11.04.22
  • 저작시기2009.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7107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