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테네 교육사상가(교육철학자) 프로타고라스, 아테네 교육사상가(교육철학자) 고르기아스, 아테네 교육사상가(교육철학자) 소크라테스, 아테네 교육사상가(교육철학자) 플라톤, 아테네 교육사상가 아리스토텔레스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아테네 교육사상가(교육철학자) 프로타고라스, 아테네 교육사상가(교육철학자) 고르기아스, 아테네 교육사상가(교육철학자) 소크라테스, 아테네 교육사상가(교육철학자) 플라톤, 아테네 교육사상가 아리스토텔레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아테네 교육사상가(교육철학자) 프로타고라스
1. 인식론적 상대주의
2. 종교, 윤리, 규범비판

Ⅱ. 아테네 교육사상가(교육철학자) 고르기아스
1. 개요
2. 고르기아스의 사상적 명제

Ⅲ. 아테네 교육사상가(교육철학자) 소크라테스
1. 소크라테스의 생애
2. 무지의 자각
3. 산파술
4. 절대주의 vs 상대주의
5. 지식은 덕이다
6. 소크라테스의 영향
7. 소크라테스의 저술관계

Ⅳ. 아테네 교육사상가(교육철학자) 플라톤
1. 개요
2. 플라톤의 저서
1) 전기 대화편
2) 중기 대화편
3) 후기 대화편
3. 플라톤의 이데아
4. 플라톤의 국가론

Ⅴ. 아테네 교육사상가(교육철학자) 아리스토텔레스
1. 개요
2. 아리스토텔레스의 논리학
3. 아리스토텔레스의 자연학
4. 아리스토텔레스의 형이상학
5. 아리스토텔레스의 윤리학
6. 아리스토텔레스의 정치학
7. 아리스토텔레스의 시학
8. 아리스토텔레스의 덕론
9. 아리스토텔레스의 중용론
10. 아리스토텔레스의 주지주의

참고문헌

본문내용

)은 으뜸되는 존재자이기 때문에 모든 사물의 존재 원인이기도 하다. 신은 질료에서 떠나, 영원불변한 관조(觀照) 안에 머무는 자기사유자(自己思惟者)로서 최고의 현실태이고, 그것 자신은 부동이면서 사랑을 받는 것으로서 일체의 것을 움직이는 부동의 제1동자(動者)이다. 그것은 자연계를 초월하는 자연계의 근거로서의 종극목적이다. 이 학문은 `뒤에 형이상학(메타피직스)이라고 불렸는데, 그 이름은 이 학문이 뒤의 전집 편집에서 주어진 위치에서 유래된 것이다.
5. 아리스토텔레스의 윤리학
행위의 종극 목표는, 신의 자기사유의 활동을 모방하는 이성적 관조에 놓여 있으나, 이것은 약간의 사람에게 일시적으로 허용되는 것에 지나지 않고, 일반적으로는 일상의 행동 속에서 이성적 질서를 실현하는 중용(中庸)으로서의 덕이 행위의 목적이다.
6. 아리스토텔레스의 정치학
인간은 국가적 동물이다. 공공의 생활 가운데서 인간의 선(善)은 실현된다. 그런 까닭에, 윤리학은 정치학의 일부를 이룬다고 생각되고 있다. 중산계급을 중심으로 하여 다스림을 받는 자가 교대로 다스리는 자가 되는 곳에서 실현될 수 있는 최선의 나라 제도가 있다고 한 정체론(政體論)은 온건한 민주주의의 뛰어난 이론적 뒷받침을 한다고 할 수 있다.
7. 아리스토텔레스의 시학
창작의 본질은 모방(模倣)에 있다. 비극은 숭고한 행위의 모방이며, 숭고한 인물이 불행에 빠져가는 과정을 모방함으로써, 관객 가운데서 일어나는 연민과 공포의 정을 이용하여 이와 같은 정서를 정화(淨化)하는 것을 본질로 한다.
8. 아리스토텔레스의 덕론
아리스토텔레스에 의하면 인생의 궁극적인 목적은 행복을 얻는 것이고, 행복을 얻는 길은 이성에 따라 자신의 능력을 조화적으로 발휘함에 있다. 이성적 활동에 따라 생기는 습관을 덕이라 한다. 이성의 작용에는 두 가지 활동이 있다. 하나는 이론적[진리의 인식]이고, 다른 하나는 실천적[욕망의 억제]이다. 이에 대응하는 덕은 지덕과 행덕이다. 지덕은 이성의 적정한 활동에 따른 덕이며, 행덕은 이성이 정욕을 억제하는 곳에서 생기는 덕이다. 정욕은 극단으로 치닫기 쉬운데, 이성이 적정하게 정욕을 지도할 때에 생기는 과불급이 없는 중용의 습관을 행덕이라 한다. 덕은 이 중용이 어느 정도 실현되는가에 따라 생겨난다. 예컨대 용기의 덕은 비겁과 만용과의 중용이고, 관후는 인색과 낭비와의 중용이며, 유정은 무정과 아첨과의 중용, 정의의 덕은 타인에 대한 방자한 무시와 소심한 굴복과의 중용, 온순의 덕은 냉담과 화급과의 중용의 덕이다. 그러나 이러한 중용의 덕은 성취하기가 쉽지 않다. 실로 그것은 강력한 습관을 형성하게 될 만큼 장구한 훈련과 실천을 필요로 한다. 우리는 어떤 특수한 경우에 뜻하지 않은 우연이나 일시적 충동으로 중용에 적중한 행동을 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깊이 세련되고 몸에 젖은 행동의 습관을 가지고 있을 경우에만 항구적으로 믿음성 있게 중용을 발휘할 수가 있다. 실제로 피리를 불어 보아야만 피리를 잘 불수가 있게 되는 것과 같이, 실제로 용감하게 행동해봄으로써만이 용감하여질 수가 있다. 시종일관 유덕한 행동을 거듭함으로써 덕의 습관을 얻게 된다. 아리스토텔레스는 그의 \'윤리학\'에서 \"한 마리의 제비가 왔다고 봄이 되는 것은 아니며, 하루의 실천으로써 행복한 사람이 되는 것은 아니다.\"라고 강조한다.
9. 아리스토텔레스의 중용론
아리스토텔레스 윤리학의 중심적인 사상의 하나로서 덕(德)은 과잉과 과소의 어느 쪽에도 치우치지 않는 \'중간(mesotes)\'에 존재한다는 설. 예를 들면, 쾌락에 관한 과잉과 과소는 방탕과 무감각이지만 그 중간에는 절제(節制)의 덕이 있다. 또한 금전의 수수(授受)에 관한 과잉과 과소는 낭비와 인색에 있지만 그 중간에는 대도(大度)의 덕이 있다. 여러 가지 덕목(德目) 중에서 그 중간이 어디에 있는가하는 것은 양 극단을 기준으로 하여 양적(量的)으로 잴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양 극단은 \'적당한 정도(程度)\'로서의 중간을 기준으로 하여 그 곳으로부터의 일탈(逸脫)로서 잴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 적당한 정도는 행위자인 인간의 존재에 의거하여 규정되는 것이므로 중용론은 아리스토텔레스의 윤리학에 있어 한층 원리적인 존재론(存在論)에 의거하여 이해되어야 한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중용의 개념을 초과와 부족에 대한 균제(均齊)라 하고 또 산술적인 비례중항(比例中項)으로 대표되는 것과 같은 사항 그 자체에서의 중용과, \'우리들(지식층)에게서의 중용\'으로 구별하여 후자를 윤리적인 덕의 본질적 속성이라 하였다. 따라서 중용을 본성(本性)으로 하고 최선(最善)으로 하는 덕(진실)에 대하여는 초과(진실에 대한 虛飾)도 부족(卑下)도 악덕(惡德)이 된다.
10. 아리스토텔레스의 주지주의
주지주의에 대립된 것으로서, 의지를 우주존재인식행위의 근본 원리로 하고 이성보다 상위에 놓는 형이상학적, 윤리적, 신학적인 입장이다. 비합리적, 합리적인 견해로 나눌 수 있다. 비합리적 주의주의는 쇼펜하우어가 대표적 인물이다. 그에 의하면 만물은 동일 의지의 발현이며, 이와 같은 존재 근거로서의 의지는 비이성적인 맹목적 생활 의지이며 의지에는 자유란 없다고 한다. 하르트만(Hartmann, C.R.E.)은 무의식 의지를 심리 현상 및 자연의 원동력이라고 하였다. 니체(Nietzsche, F.W.)의 권력 의지는 오히려 초이성적이다.
합리적 주의주의는 피히테(Fichte, J.G.)가 대표적 인물이다. 그에 의하면 의지는 이성과 결합하여 또 이성에 내재하여 목적을 설정하며 이성 질서의 실현에 노력한다고 한다. 또한 칸트는 실천 이성의 우위를 전개하여 도덕적 의지를 세계의 근본 원리라 본다.
참고문헌
◈ 스털링 P. 램프레히트(1963), 서양 철학사, 을유문화사
◈ 이수윤(2004), 서양철학사(상), 한국교원대학교출판부
◈ 엔소니 고틀립·이정우, 서양철학의 파노라마, 산해 출판
◈ 장-폴 뒤몽·이광래 옮김(1999), 그리스 철학, 한길사
◈ 코플스톤(1998), 그리스 로마 철학사, 철학과현실사
◈ D.W. 햄린(1990), 서양철학사, 이론과 실천
◈ T. Z. 래빈, 소크라테스에서 사르트르까지, 동녘
  • 가격5,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11.05.08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7535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