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학년2학기 초등과학교육수업 분석 및 과정안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추리해보도록 하였다.
② 탐구과정이 부족한 교과서
교과서에 제시된 주요 활동은 ⓐ여러 가지 모양의 지층 사진을 직접 찾아보고(또는 교사가 제시) ⓑ실험 관찰 26쪽에 제시된 다양한 모양의 지층 사진에 경계선을 표시하여 ⓒ이러한 지층들이 만들어진 과정을 추리해 보는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활동만으로는 학생들이 충분한 탐구과정을 거치기 어려우므로, 학생들이 여러 가지 모양의 지층이 만들어진 과정을 추리하기 어렵다. 교과서에 더 많은 탐구과정을 거칠 수 있는 활동을 제시하여 학생들이 다양한 모양을 가진 지층의 형성 과정을 추리하는 데 어려움을 겪지 않도록 해야 한다.

다양한 모양의 지층 사진 위에 투명 종이를 올려놓고 경계선을 따라 그리는 활동을 한 후에 학생들이 자신이 생각하는 기준에 따라 여러 가지 모양의 지층을 분류해보는 활동을 추가하였다. 또한 교사용 지도서에 대안적 활동으로 제시된 활동을 본시 지도안의 주요 활동으로 추가하여, 고무 찰흙으로 만든 지층 모형을 직접 조작해봄으로써 다양한 지층이 만들어진 과정을 추리하는 데 도움을 주도록 하였다.
③ ‘실험 관찰’에 제시된 자료의 부정확성
실험 관찰 26쪽에는 ‘수직으로 세워진 지층’, ‘기울어진 지층’, ‘휘어진 지층’, ‘끊어진 지층’의 사진이 제시되어 있다. 학생들은 실험 관찰에 제시된 4개 사진 위에 투명 종이를 올려놓고 지층의 경계선을 그려야 하는데, ‘수직으로 세워진 지층’과 ‘기울어진 지층’으로 제시된 사진에서는 학생들이 지층의 경계가 어디인지 찾기 어렵다. 지층의 경계가 분명하지 않은 자료를 제시할 경우, 학생들이 활동을 하는 과정에서 어디에 경계선을 그려야 하는지 혼란스러워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학생들에게는 보다 정확한 자료를 제시하여야 한다.

실험 관찰의 사진 자료를 활용하지 않고 교사가 별도의 사진 자료를 제공하여 학생들이 보다 정확한 자료로 활동할 수 있도록 지도안을 구성하였다.
④ 교과서에 제시된 ‘대안적 활동’의 문제점
교사용 지도서에는 학생들이 기울어진 지층, 수직으로 세워진 지층, 휘어진 지층, 끊어진 지층이 각각 어떤 과정을 거쳐 형성되었는지 알아보게 하기 위하여 고무 찰흙을 이용한 지층 모형 만들기 활동을 ‘대안적 활동’으로 제시하였다.
교사용 지도서에는 단순히 고무 찰흙을 이용하여 여러 가지 모양의 지층 모형을 만들어보라고 제시되어있다. 하지만 교사가 교사용 지도서에 제시된 그대로 학생들에게 이야기한다면, 학생들은 고무 찰흙을 수평으로 쌓아올린 후 다양한 방법으로 힘을 주어서 지층의 여러 가지 모양을 만드는 것이 아니라 지층 모형을 만들기 시작할 때부터 사진 자료에 제시된 것을 그대로 보고 처음부터 고무 찰흙을 수직으로 세워놓거나, 휘어진 모양으로 만드는 등의 오류를 범할 것이다.
따라서 교사는 학생들이 처음에 고무 찰흙을 수평으로 쌓아올리게 하고, 그 다음에 여러 가지 방법으로 변형하여 다양한 모양의 지층을 만들어보라고 지도해야 한다.

학생들이 처음에는 고무 찰흙을 수평으로 쌓아올리게 하고, 수평으로 쌓아올려서 만든 고무 찰흙에 다양한 방법으로 힘을 가하여 사진에 나와 있는 지층의 모양과 비슷하게 만들어보도록 지도한다.
B. 환경(수업 현장) 상의 문제
① 공간적 제약을 고려하지 않은 현실성 없는 교과서
교과서에는 본 차시를 학습하기 전에 야외에 나가서 지층을 관찰하는 학습 내용이 제시되어있다. 이러한 학습 내용은 지층이 주변 자연환경에 많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실현 가능하지만, 지역에 따라서는 지층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경우가 많으므로 이러한 지역에서는 지층을 실제로 관찰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지기 어렵다. 즉, 야외에 나가서 지층을 관찰하는 활동은 현실성이 부족하고, 지역 환경에 따라 제약을 많이 받는 활동인 것이다.

지층을 직접 관찰하는 활동을 했는지의 여부에 중점을 두기보다는, 본 차시 이전(2차시)에 지층이 만들어지는 과정에 대해 학생들이 학습했으므로 본 차시 도입부에 학생들이 지층의 모양이 어떤지 다시 한 번 떠올리고 학습지에 그려보게 하는 활동을 추가하였다. 교사는 학생들이 학습지에 그린 지층의 모양을 살펴보고, 학생들이 이전 수업에서 배운 지층의 모양에 대해 잘 알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C. 실행 상의 문제
① 학생들의 수준별 사전 지식의 정도 차이
같은 학년, 같은 학급에서 공부하는 학생들이라도 가정환경, 학생들의 학습 수준 등의 요인에 따라 학교 수업을 듣기 전에 가지고 있는 사전 지식에는 차이가 있을 수밖에 없다. 학생들이 가지고 있는 수준별 사전 지식의 정도에 차이가 있는 상황에서 교사가 이를 고려하지 않고 수업을 구성한다면, 사전 지식을 많이 가진 학생들에 비해 적게 가진 학생들의 성취도는 낮아지게 될 것이다. 따라서 교사는 학생들의 수준별 사전 지식에 정도의 차이가 있다는 사실을 고려하여 학생들을 지도해야 한다.

교사는 학생들의 수준 차이를 고려하여 본 차시 도입부에 지층의 모습을 떠올려보게 함으로써 전시 학습을 상기하도록 하고, 지층의 모양에 대한 다양한 사진 자료와 고무 찰흙을 이용한 지층 모형 만들기 활동을 제시하여 학생들이 가진 사전 지식의 정도 차이로 인해 성취도에서 나타나는 편차를 최소화하고자 하였다. 또한 교사는 수업 내용을 잘 따라오지 못하는 학생들을 고려하고 수업 중간에 지속적으로 추가적인 설명을 덧붙이도록 한다.
② 모둠 활동의 한계
선행 학습을 하고 나서 수업을 듣는 학생들이 많아지면서, 모둠 활동을 할 때 모든 모둠원들이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기보다는 우수한 몇몇 학생의 주도로 모둠 활동이 이루어지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런 경우에는 모둠 활동의 의미가 퇴색되기 마련이다. 따라서 교사는 모둠별로 의견을 모아 추리하는 활동을 할 때 모든 학생들이 자신의 의견을 자유롭게 이야기하도록 유도하여야 한다.

모둠별로 여러 가지 모양의 지층이 만들어지는 과정을 추리할 때, 교사는 우수한 몇몇 학생들의 의견이 모둠원 전체의 의견이 되는 모둠이 있는지 관찰하고 우수한 학생의 주도로 활동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지도한다. 모둠활동에 참여하지 않는 학생이 있을 때는 교사가 직접 그 학생에게 발문하여 의견을 이야기하도록 유도한다.
  • 가격3,000
  • 페이지수32페이지
  • 등록일2011.06.25
  • 저작시기2011.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8652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