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청자][고려청자 특징][고려청자 종류][고려청자 시기구분][고려청자 제작과정][고려불화]고려청자 의의, 고려청자 특징, 고려청자 종류, 고려청자 시기구분, 고려청자의 제작과정, 고려청자와 고려불화 분석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고려청자][고려청자 특징][고려청자 종류][고려청자 시기구분][고려청자 제작과정][고려불화]고려청자 의의, 고려청자 특징, 고려청자 종류, 고려청자 시기구분, 고려청자의 제작과정, 고려청자와 고려불화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고려청자의 의의

Ⅲ. 고려청자의 특징
1. 비색
2. 상감기법
3. 무늬
4. 기형

Ⅳ. 고려청자의 종류
1. 소문청자
2. 음각청자
3. 양각청자
4. 투각청자
5. 상형청자
6. 상감청자
7. 철화청자
8. 퇴화청자
9. 철재청자
10. 연리문 청자
11. 화금청자
12. 청자동화

Ⅴ. 고려청자의 시기구분
1. 초기
2. 중기
3. 후기
4. 말기

Ⅵ. 고려청자의 제작과정
1. 수비
2. 성형
3. 조각
1) 상감
2) 투각
3) 음각
4) 양각
5) 인문화
4. 건조
5. 초벌구이
6. 시유
7. 본벌구이
8. 상회구이

Ⅶ. 고려청자와 고려불화

참고문헌

본문내용

던 시기, 13세기 후반은 13세기 전반경이 상감청자의 전성기였던 것과는 달리 서서히 상감기법이 쇠퇴하여가던, 격동기의 시대로 100여 년간의 무신정권(1170-1270년)이 붕괴하고 몽고와의 화의가 성립, 그에 반대하는 삼별초(三別抄)에 의해 1270-1273년까지 항쟁이 계속되어가던 시기였고, 그 이후 몽고의 간섭 하에 들어간 고려는 1274년, 1281년에 걸쳐 일본원정. 1275년부터는 원의 강요에 따라 전반적인 중앙 관제의 개정과 함께 고려청자도 元의 영향으로 서서히 변화하기 시작한 시기이다. 즉 전시기에 볼 수 없었던 새로운 기형이 나타나는데 기마민족의 산물인 편호의 등장과 화금청자의 출현이었고 문양으로는 능화형내 초화문 혹은 대접내면 문양에 연당초문과 같은 새로운 요소들이 등장하게 된다. 즉 13세기 후반은 이질적인 문화유입으로 고려도자는 이를 고려화하여 발전시키지 못하고 일부 문양과 기형의 변화가 나타나면서 서서히 쇠퇴하는 쇠퇴기라 할 수 있다. 이 시기에 있어 기준이 되는 자료는 1257년에 죽은 최충헌의 손자 최항의 묘지와 함께 출토되었다는 靑瓷陽刻蓮瓣文銅彩瓢形注子와 1289년 1297년 고려사의 기록에 나타나는 畵金靑瓷에 관한 기록이다. 靑瓷陽刻蓮瓣文銅形瓢形注子에서 주목되는 점은 13세기 전반 경에 볼 수 있는 균형 잡힌 상형의 주전자가 13세기 중엽까지 제작되었다는 것은 辰砂設彩한 청자의 구체적 연대를 제시 했다는 것이다.
이 시기의 기록인 화금청자의 기록인데 [高麗史]世家 第31 忠烈王 23年(1297년) 정월 壬午條의 기록으로 화금자기를 元 세조에게 올렸음인데 이를 뒷받침하는 瓷器는 일제시대 개성시 만월대에서 출토된 靑瓷象嵌畵金樹下猿文扁壺로, 前 時期의 靑瓷에서 볼 수 없었던 새로운 기형인 편호의 등장과 해바라기꽃 모양의 보상당초문, 두꺼운 기벽, 넓어진 구연부, 담청색의 유색은 13세기 전기에서는 볼 수 없는 이 시기의 특징이다.
청자와 불화와 비교하여 살펴보면 1286년에 제작된 아미타 여래도는 청자가 균을 잃어가듯 완벽한 형태는 아니다. 다만 가사와 치마에 나타나는 문양은 여래도의 잘못된 구도와는 달리 섬세한 문양이 그려져 있어 주목된다. 특히나 모란당초문 12세기 중반 청자양각모란당초문대접과 완에서 나타나는 절제되고 세련된 문양이며, 연꽃 역시 많은 량은 아니지만 11세기 초반 고창 용계리 요지출토, 향완에서 나타나는 양각기법의 문양으로 12세기 중엽까지 나타나는 양각연판문과 유사한 모습을 하고 있어 주목되고 있다.
14세기 초 불화가 그려진 시기는 원에 세력을 둔 권문세력에 의해 다스려지던 시기였다. 이 시기의 도자를 보면 기형에 있어 매병이 줄어들고 측면이 편편한 광구호 등이 많이 제작되어지며 접시와 대접 안에 干支가 시문되어지기 시작한다. 또한 원의 영향으로 파도문용문어문쌍봉문보상당초문 등이 유행하며 唐草文이 직선화·단순화하여 草文化된 시기이다. 일부 雲鶴文이 雨點文 혹은 삼육원문 또는 톱니바퀴형 小菊文으로 변화되는데 그 문양이 단순화대형화되고 있다.
이 시기에 그려진 작품으로는 1306년에 그려진 작품으로 東京 根津美術觀 소장의 아미타여래도와, 1310년에 제작한 佐賀縣 鏡神社에 소장되어 있는 水月觀音圖, 1320년에 그려진 송미사(松尾寺) 아미타팔대보살도 등 이다.
1306년에 제작된 아미타여래도는 왼손은 가슴까지 오른손은 복부까지 들어 아미타인을 취하고 있는 설법상으로 가사, 대의, 치마를 입고 있다. 문양은 가사에 12세기말-13세기초 청자 기면에서 볼 수 있는 전형의 蓮華唐草圓文을 대의에는 雲鳳文, 치마에는 둥근 꽃무늬를 묘사하였다.
1310년에 제작한 수월관음도는 고려불화의 보살도를 대표하는 작품으로 치마의 바탕에는 귀갑문이, 그 위에 좌우대칭의 타원상 연화문이, 그리고 치마의 가장자리와 두 팔에 걸쳐 아래로 흘러내린 띠에는 보상화당초문이 표현되어 있다. 가슴을 가로 지른 때에는 보상화당초문이 그 아래 치마의 안쪽부분에는 목단당초문이 그려져 있다. 보관에서부터 전신을 덮고 있는 베일에는 운봉문이 보관에는 국당초문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송미사(松尾寺) 아미타팔대보살도의 문양을 살펴보면 불화가 제작되던 시기 청자에서는 상상할 수 없는 문양이 시문 되어있다.
보단은 중앙에 연화장식을 하였고 제일 윗단에 당초문을 그 밑에 국화문을 각각 배치하였다. 연화장식 아래 단에는 역시 윗 단과 형상이 거의 같은 당초문이 그려졌으며 제일 아래 단에는 연화당초문이 사실적 표현으로 매우 생동감 있게 그려져 있다. 여기에 그려진 당초문은 고려청자에서는 상상할 수 없는 문양이다. 이 시기 청자에 나타나는 당초문은 직선화단순화하여 草文化된 시기였다.
즉 그림이 제작된 시기는 고려운명과 함께 청자는 몰락 되어가던 시기이다. 이 시기에 만들어진 청자는 청자의 황금기 12세기 중후반 13세기에 볼 수 있었던 절제된 문양과 긴장감은 찾아보기 어려운 흐트러진 기형과 문양, 유색이 나타나던 시기였다.
그러나 불화에서 나타난 목단문, 연당초문, 당초문, 운봉문의 문양이 12세기 중후반경 혹은 13세기 초에 나타나는 문양과 유사한 형태와 절제된 기법으로 그려졌음을 어떻게 해석 할 것인가에 부딪히게 된다.
이러한 의문점은 문양의 보고(寶庫)였던 고려청자나 불화 역시 고려 상류층에서 선호했던 귀족미술이라 볼 때 더더욱 어려움에 봉착된다.
굳이 구분하고자 한다면 청자는 불화에 비해서 대량 생산되던 기물인 반면에 불화는 상류층 중에서도 경제적 능력이 동반되던 귀족 신분만이 제작할 수밖에 없던 물건이다.
또한 눈에 보이는 시각, 즉 불화는 누가 보아도 부처님의 세계에 근접할 수 있는 공양(佛器)이였던 반면에 청자는 고려후기에 이를수록 불기(佛器)의 기능이 쇠퇴하고 생활용기의 성격이 강화 되었음이다.
참고문헌
◇ 김학천(학술DB), 21C 한자문화권시대 신지성의 지식 교양 정보지 : 한글+한자문화 칼럼, 고려청자
◇ 고유섭, 고유섭전집4-고려청자, 통문관, 1993
◇ 중앙일보, 청자, 한국의 미 4, 1986
◇ 장남원, 고려중기 청자 연구-이화연구총서3, 도서출판 혜안
◇ 정양모, 고려청자, 대원사, 1998
◇ 최건(학술DB), 고려청자 언제 어떻게 만들어졌나

키워드

  • 가격6,5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11.10.02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0546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