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미술교육][학문중심교육][미술교과서]한국미술교육의 목적, 한국미술교육의 배경, 한국미술교육의 현황, 한국미술교육의 DBAE(학문기초미술교육), 한국미술교육의 학문중심교육, 한국미술교육의 미술교과서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미술교육][학문중심교육][미술교과서]한국미술교육의 목적, 한국미술교육의 배경, 한국미술교육의 현황, 한국미술교육의 DBAE(학문기초미술교육), 한국미술교육의 학문중심교육, 한국미술교육의 미술교과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한국미술교육의 목적

Ⅲ. 한국미술교육의 배경

Ⅳ. 한국미술교육의 현황
1. 표면은 창의성, 실제는 기능 중심
2. 표현 중심에 대한 검토
3. 기능 중심에 대한 검토
4. 미술 능력의 자연적 발달론 검토
5. 학생 중심에 대한 검토
6. 창의성 중심에 대한 검토
7. 과정 중심에 대한 검토
8. 교사의 소극적 태도에 대한 검토

Ⅴ. 한국미술교육의 DBAE(학문기초미술교육)
1. DBAE 미술교육에서 받아들여야 할 점
2. DBAE 미술교육에서 경계해야 할 점

Ⅵ. 한국미술교육의 학문중심교육

Ⅶ. 한국미술교육의 미술교과서

참고문헌

본문내용

과서에 〈미술과 생활〉이라는 단원을 새롭게 설정함으로써 학문중심 미술교육을 교육현장에 반영했다. 제7차 교육과정(1997~)에서는 이 단원을 삭제하고 교과서 내용을 미적 체험, 표현, 감상으로 구성하였는데, 교육과정 해설서에는 미적 체험을 곧 학문중심 미술교육이 강조하는 미술의 기본학문 중 미학을 의미하는 개념이며, 감상을 미술사와 미술비평을 의미하는 학습으로 설명하고 있다. 따라서 제7차 미술과 교육과정은 학문중심 교육과정을 더욱 강화한 교육과정으로 볼 수 있다.
이와 같이 학문중심 미술교육이 한국 미술교육 교육과정에 지속적인 영향을 주고 있는 이유는 학문중심 교육과정이 교육의 부재라고 하는 위기에 봉착했던 미술교육을 교과교육으로 확립시킴으로서 그 정당성을 확보할 수 있었기 때문이며, 교과 개념이 존속하는 한 앞으로도 그 영향은 더욱 심화되고 체계화될 것으로 생각한다. 그러나 학문중심 미술교육은 실제 교육현장에서 보편화되기에 어려운 점이 많다. 그것은 교사들이 학문중심 미술교육에서 제시한 실기 이외의 미술과의 기본학문, 예컨대 미학, 미술비평, 미술사에 대하여 포괄적으로 잘 알지 못하기 때문이다. 교사들 자신도 지금까지 심층적으로 그런 교육을 받아보지 못했기 때문에 이러한 실정은 당연하게 보인다. 그러므로 학문중심 미술교육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먼저 교육대학의 미술과 교육과정이 바꿔져야 할 것이며, 또한 교사 연수 프로그램에도 이러한 미술의 기본학문들이 반영되어야 할 것이다. 교사들도 실기 이외의 다양한 미술에 대해 관심을 갖고 공부할 필요가 있다.
Ⅶ. 한국미술교육의 미술교과서
한국 미술교과서의 내용 체계의 영역에는 미적체험, 표현, 감상으로 구분할 수 있다. 미적 체험영역에서는 자연과 조형물의 아름다움의 조화를 이해함으로써 아름다움과 조화를 발견하고 자연과 조형물이 조화를 이룰 수 있는 조건에 관하여 토론한다. 또한, 미술과 생활의 관계를 이해하여 생활에서 미술의 기능과 역할을 이해 할 수 있다. 표현 영역에서는 주제표현, 표현방법, 조형요소와 원리, 표현재료와 용구에 관한 것으로, 주제표현은 주제의 특징과 목적 등을 생각하여 효과적으로 표현할 수 있도록 한다. 본 것, 느낀 것, 상상한 것 등 조형적 질서를 나타내며 시각전달과 환경에 필요한 것, 생활용품을 나타낸다. 표현방법에는 평면과 입체의 특징을 살려 효과적으로 표현하며 주제와 목적에 알맞은 표현 방법을 탐색하여 나타낸다. 또한 여러 가지 서체로 쓰거나 새긴다. 조형요소와 원리에는 조형요소와 원리를 이해하고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형, 색, 질감, 동세, 명암, 양감, 공간, 비례, 구조 등을 생각하여 나타내며, 자형, 문자의 크기, 배자, 자법, 도법 등을 익혀서 쓰거나 새긴다. 표현 재료와 용구에 관해서는 주제나 표현방법에 알맞은 재료와 용구를 선택하여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여러 가지 용구의 사용 방법을 이해하고, 선택하여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감상영역에서는 서로의 작품과 미술품에서 주제, 표현방법, 조형 요소와 원리 등을 찾아 비교하여 설명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미술 문화유산 이해에서는 우리 나라와 다른 나라 미술의 특성을 시대별, 양식별 특징을 파악하도록 하고 있다.
참고문헌
◎ 금재원, 한국미술총론, 해설, 동경 구담사, 1970
◎ 김영나, 20세기의 한국미술, 예경, 2003
◎ 김지은, 현대 미술교육 사상이 한국 미술교육에 미친 영향, 로웬펠드와 아이스너를 중심으로, 2003
◎ 임정기·이성도·김황기, 미술교육의 이해와 방법, 예경, 2006
◎ 한국미술교과교육학회, 미술교육이론의 탐색, 서울 : 예경, 2003
◎ 한국미술교과교육학회, 미술교육학, 교육과학사

키워드

추천자료

  • 가격5,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1.10.17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0882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