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화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서론

본론
1. 이상화의 방랑과 문단 활동

2. 1920년대의 시

-(1)낭만파(浪漫派)의 시(1920∼1925)

-(2)신경향파(新傾向派)의 시

3. 1920년대 관능과 퇴폐적 낭만주의에서 승화된 민족적 저항시인


결론

본문내용

따라서 이상화는 삶의 가치를 부정하는 우울한 낭만주의자로서 출발한다. 3.1 운동의 결과였다, 그러나 20년대 중반부터 우리 문단은 냉정한 현실인식을 회복하게 된다.<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도 그러한 흐름을 반영한다.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 는 <나의 침실로>에서 보여준 감상적, 관능적 , 퇴폐적 낭만성을 극복하고 지금은 남의 땅이 되어버린 식민지 조국의 현실을 깊이 인식하고 쓴 저항시로 이상화의 후기 대표작이자, 일제 강점기 동안 발표된 수많은 시들 가운데 가장 뛰어난 작품의 하나로 평가받고 있다. 감상적, 관능적, 퇴폐적 낭만성과는 달리 냉철한 현실인식과 저항적인 민족주의가 표출되어있다.
이상화가 1920년대 관능과 퇴폐적 낭만주의에서 승화된 민족적 저항시인 인지 정리해 본다면, 첫째로, 이상화는 당시 3.1운동 직후 피폐했던 시대 상황이 가져다주었던 절망으로 인해 시대적인 상황에 대한 정신적인 대응 방식으로 관능과 퇴폐적 낭만주의적 경향의 시를 썼고, 둘째로, 그는 관능에 머물러 있거나 퇴영적인 분위기에 휩싸여 있지 않고 오히려 그러한 현실을 극복할 수 있는 시적 의지를 구현한다. 셋째로, 물 건너 이국땅에서 그가 본 것은 조국의 운명과 민족의 현실이었다. 그의 인생에 전환을 가져올 극적인 체험을 하면서부터 이상화는 관능과 퇴폐적 낭만주의 시인에서 민족적 저항시인으로 승화되었다. 한마디로 표현하자면, 관능과 퇴폐적 낭만주의와 민족적 저항의식 이 두 가지의 시적 경향 자체가 모두 민족의 비극적인 현실에서 비롯된 것이라 할 수 있다.
결론
한국 문학사에서 그는 20년대를 대표하는 시인으로 꼽힌다. 그리고 암흑기의 민족 시인이자 저항시인의 한 사람으로 불린다. 상화의 생애를 모르고 시를 읽을 지라도 상화 시의 특징인 강렬함 장작불 같은 뜨거움, 가령 <나의 침실로>에서 볼 수 있는 숨 막히는 리듬을 대하노라면 시인이 어떤 사람이었는가에 대해서 의문을 갖지 않을 수 없게 된다. 아마도 퍽 정열적이고 낭만적이며 다감한 기질의 소유자일 것이라는 예감을 갖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식민지 체제 하에서 살다간 많은 작가들이 그랬듯이 식민지 현실에 영합할 수 없었던 시인의 삶은 분명 신산스러웠을 것이고, 따라서 상화 시의 뜨거움 뒤에서 우리가 만날 수 있는 것은 어둡고 불행했던, 즉 전망 없는 현실의 한 가운데서 이룰 수 없는 꿈을 반추 했던 한 불행한 시인의 모습이다.
<참고문헌>
-한국현대시인 연구 이상화.―이상화 전집/이상화 편전. 연구자료, 정진규 편저-문학 세계사
-한국 퇴폐적 낭만주의 시 연구 -양애경 -서울 국학자료원 1999
-이상화; 저항시의 활화산 - 김재홍 -건국대학교 출판부 1996
-이상화 시 연구 - 차한수 - 시와 시학사 1993
-시대와 시인 - 엄호석 - 깊은 샘 1992
-이상화의 서정시와 그 아름다움 - 신동욱 -새문사 1981
-이상화 시 전집; 민족시인 이상화 탄신 100주년 기념 - 이상규 - 대구 정림사 2001
백과사전
http://www.naver.com
http://www.daum.net

키워드

  • 가격1,5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1.12.21
  • 저작시기2009.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2267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