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landers의 언어적 상호작용모형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Flanders의 언어적 상호작용모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Flanders의 언어 상호작용 분석법
➀Flanders의 언어 상호작용 분석법의 특징



2. 수업 관찰 방법
➀언어 상호작용의 분류
➁언어 상호작용 분류의 기본 준칙
➂수업 관찰의 실제




3. 관찰 결과의 분석
➀시간선에 의한 분류 기록표의 해석
➁백분율 행렬표의 작성과 영역별 해석
➂지수의 산출과 해석
➃수업형태의 분석
⑤신뢰도 계수의 산출






참고문헌

본문내용

가 0.50(50%)이상이면 비지시적인 교사이거나 비지시적인 영향의 수업이라고 할 수 있다. 관찰한 수업의 빈도를 사용하면 비지시비를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 (1,2,3,4열 계의 합) ÷ {(1,2,3,4열 계의 합) + (5,6,7열 계의 합)} ×100
=(74+18+72) ÷ {(74+18+72) + (54+44+10)} × 100
=60.29(%)
따라서 관찰된 수업은 비율이 60.29%이므로 비지시적인 수업이라고 할 수 있다.
⑵수정 비지시비: 수정 비지시비(revised i/d ratio)는 비지시비의 계산과정에서 4번의 교사질문과 5번의 강의를 제외한 수치로 산출한 지수이다. 강의나 교사의 질문은 학생중심이나 교사중심 어느 편에도 속하지 않는 중림적인 것으로, 여기에서는 이것을 제외한 좀 더 정확한 비지시적인 영향을 알고자 하는 의도가 담겨있다. 이 지수 역시 0.50(50%)이상 되어야 비지시적 영향의 수업이라고 할 수 있다.
→ (1,2,3열 계의 합) ÷ {(1,2,3열 계의 합) + (6,7열 계의 합)} ×100
=(74+18) ÷ {(74+18) + (44+10)} × 100
=63.01(%)
여기서도 비율이 63.01%가 나왔으므로 관찰된 수업은 수정 비지시비에서도 비지시적 수업이라는 결과를 얻을 수 있다.
⑶8행 및 9행의 비지시비: 8행 및 9행의 비지시비는 학생의 발언에 대하여 교사가 어떻게 반응하였는지를 보여주는 지수로, 학생발언에 대하여 온정적 · 격려적 · 허용적으로 반응하였는지 그렇지 않으면 지시적 · 비평적으로 반응하였는지를 보여준다. 이 지수도 0.50(50%) 이상이 되어야 올바를 수업이라고 볼 수 있다.
→(8행과 9행의 1,2,3열의 합) ÷ {(8행과 9행의 1,2,3열의 합) + (8행과 9행의 6,7열의 합)} ×100
=(34+2+5+2) ÷ {(34+2+5+2) + (2+2)} × 100
=91.49(%)
따라서 관찰된 수업의 교사는 학생의 발언에 대해 상당히 온정적이며 격려적이고 허용적인 태도를 지녔다고 할 수 있다.
⑷악순환비(vicious circle ratio): 교사의 지시적인 발언이 계속해서 반복되는 비율을 나타내는 지수
ex)교사의 명령지시 → 학생의 침묵 → 교사의 비난 → 학생의 침묵 → 더 강한 명령지시 → 더 조용한 침묵 → 더 강하게 야단침의 과정이 반복되는 비율을 말함
이 수치가 낮을수록 좋은 수업이 된다.
→ (6행6열+6행7열+7행6열+7행7열 계의 합) ÷ (1행~10행 계의 합) × 100
=1.22(%)
④수업형태의 분석
Flanders의 상호작용 분석법으로 수업을 관찰한 경우, 좀 더 단순화된 상태에서 수업의 형태를 요약하기 위하여 그 수업의 형태를 숫자로 표기하는 것이 가능하다. 일단 빈도에 따른 100칸 행렬표가 작성되었다면 다음의 절차에 따라 수업의 형태를 추출해 낼 수가 있다.
그 순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형태를 찾는다. (주형태가 없는 경우도 있다.)
둘째, 부형태를 찾는다. (부형태가 없는 경우도 있다.)
셋째, 불면동상태의 칸과 형태의 연장을 찾는다. (없을 수도 있다.)
넷째, 불면동의 칸과 연장된 형태의 수정을 찾는다. (없을 수도 있다.)
여기서 ‘주형태’(a major pattern)란 수업에서 가장 자주 나타나는 행동을 화살표(→)로 연결시킨 것을 말한다. 그리고 ‘부형태’란 행렬표에서 자주 나타나지는 않지만 주형태와 함께 상호작용의 본질과 방향을 암시하는 것을 말한다.
⑴주형태의 발견: 행렬표에서 빈도수가 가장 많은 곳을 보면 48의 빈도수가 있는 4행 8열이다. 이곳의 열이 8이기 때문에 8행을 보면 9행 2열이 34로 빈도수가 많다. (주형태가 발견되면 불변동칸은 제외되며, 두 번째 발견된 칸의 빈도수가 앞에 발견된 칸의 빈도수의 50%이상이 되어야 한다.) 같은 방법으로 2행에서는 4열이 빈도수가 많으나 8행 2열의 빈도수보다 50%가 넘지 않으므로 주형태의 발견은 8행 2열에서 끝난다.
⑵부형태의 발견: 주형태를 이루고 있는 두 개의 이동 칸 가운데, 빈도수가 가장 적은 것은 34이지만 이 빈도수 이상이 되는 곳이 없으므로 부형태는 없다.
⑶불변동상태의 칸과 형태의 연장: 불변동상태의 칸 중에서 다른 이동 칸의 빈도수보다 많은 것이 있는데, 바로 10행 10열이다. 다시 10을 보면 17의 빈도수를 가진 10행 8열이 있는데, 이를 매개 칸으로 하여 8행에서 2열과 연결될 수 있다. 그러면 이렇게 추출한 자료를 가지고 관찰수업의 형태를 분석해보면, 수업의 주형태를 이루고 있는 행의 분류 항목은 4→8 이기 때문에 이수업의 주형태는 4→8→8→4이 여러 번 반복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즉 질문→단순답변의 행동계열인 셈이다.
⑤신뢰도 계수의 산출
Flanders 분석법에서는 관찰기록이 잘못되어 있으면 그 해석을 믿을 수 없기 때문에 관찰자는 관찰 기록의 신뢰도계수를 높이도록 하여야 한다. 여기에서 신뢰도 계수란 2인의 관찰자간 또는 동일 수업을 2회 기록하였을 때의 분류 항목별 빈도수의 일치도를 말한다. 즉, 관찰자신뢰도이며, 어느 의미에서 보면 객관도라고 볼 수 있다. 같은 수업을 두 사람이 관찰하고 후론하는 공식에 따라서 신뢰도계수를 산출하면 된다. 만일 한 개인이 자기 자신의 신뢰도계수를 알고 싶으면 녹음된 수업을 전후 2회에 걸쳐 기록하고 그 신뢰도를 산출하는 전 · 후신뢰도법을 쓰도록 한다. 어느 편이든 계산 방법은 동일하다.
관찰자신뢰도계수는 스콧의 계수(Scott’s coefficient)라고 한다. 스콧계수가 0.85이상이면 2인의 관찰기록을 모두 믿을 수 있다고 본다. 따라서 관찰기록자는 스콧계수가 0.85이상이 될 때까지 사전에 충분히 훈련을 쌓아야 한다. 반면 0.85 이하가 된 사람의 관찰 기록은 분석에 활용하지 않는다.
참고문헌
변영계, 김경헌 공저,『수업장학과 수업분석』, 학지사 2008
김종서, 김영찬 공저,『수업형태분석법』, 교육과학사, 1983
김성권 저,『현대수업이론』, 형설출판사, 1986
김학수 저,『현대교수-학습론』,교육과학사, 1991
변영계 저,『수업장학』, 학지사 1997
  • 가격3,5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12.05.29
  • 저작시기2011.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5015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