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방공간의 북한 - 정치세력의 변화와 사회경제부문을 중심으로 -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해방공간의 북한 - 정치세력의 변화와 사회경제부문을 중심으로 -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머리말

Ⅱ. 소련의 대북한(對北韓) 정책과 민족통일전선

Ⅲ. 해방 직후 좌파세력의 지형과 조선노동당의 창건

Ⅲ. 사회․경제개혁의 추진- 토지개혁을 중심으로

Ⅳ. 맺음말

본문내용

그리고 토지개혁의 집행을 담당하기 위한 농촌위원회를 조직하였다. 그리하여 주로 빈농과 고용농으로 구성된 농촌위원회가 조직되었으며 이것이 토지개혁을 철저히 실행하게 한 중요 조건이었다.
두 번째 단계는 토지를 몰수하고 분배하는 것이었다. 토지분배에는 점수제가 도입되었다. 농촌위원회는 각 농가의 합산점과 그들에게 제공되는 토지의 질에 따른 차이를 감안하여 토지를 분배하였다.
토지개혁의 결과 농촌 계급과 계층구성의 변화가 발생하였다. 즉 지주계급이 완전히 청산되었고 부농층도 매우 약화되었으며 고용농과 빈농은 대부분 중농으로 되었고 그들이 농촌인구의 대다수를 차지하게 되었다. 또한 토지개혁은 농민의 정치적 지위를 상승시켰으며, 공산당과 인민위원회에 대한 농민의 지지를 가져왔다. 1946년 여름에 각급 인민위원회에서 노동자가 차지하는 비율이 5.7%에 불과한 반면에 농민은 71%나 차지하였다. 그리고 공산당 내에서도 농민이 차지하는 비율이 급격히 증가하였다.
한 마디로 북한에서 시행된 토지개혁은 해방 이후 당시까지 조직된 공산당 중심의 조직역량을 총동원하여 농민의 계급구조를 단기간 내에 뒤바꾼 사회혁명이었다. 이를 통하여 친일파와 지주 등 기존의 전통적 지배층은 이제 정치적인 차원뿐만 아니라 사회경제적인 차원에서도 그 기반을 상실함으로써 급속하게 몰락하지 않을 수 없었다. 반면 이제까지 피지배층에 머물렀던 대부분의 농민들은 북한체제의 새로운 지지층이 되었다.
Ⅳ. 맺음말
이상에서 살펴본 것과 같이, 해방 이후 북한에는 많은 변화가 있었다. 다양한 경력을 지닌 좌익 세력들의 이합집산(離合集散)과 그들이 단일적 당(黨)이 되어 수행했던 토지개혁 등 일련의 사회개혁은 김일성 중심의 권력체제를 확고히 하여 결국은 분단 정권 수립이라는 결과로 나타났다. 1945년 815 이후 한반도에 펼쳐졌던 정치상황은 1948년 남북한에 각각의 분단정권이 세워진 것으로 일단락된 것이다.
해방공간의 북한은 이후 북한의 성격을 규정하는 출발점이 되었다는 데에서 그 중요성을 찾을 수 있다. 해방공간의 북한을 이해하는 것이 곧 이후 북한, 나아가 현재의 북한을 이해하는 밑바탕이 되는 것이다. 또한 ‘우리’의 역사에서 북한의 역사를 배제한 남한의 역사만을 이해하고 가르친다면, 통일 시대를 맞이하게 될 21세기에는 반쪽짜리 역사가 될 것이다. 이번 보고서가 이러한 맥락에서 북한의 역사를 다시 한 번 생각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되었으면 한다.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2.09.12
  • 저작시기2012.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6686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