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직신학의 1) 정의와 2)임무와 발전 중요한 논점 명료하게 이야기한다.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조직신학의 1) 정의와 2)임무와 발전 중요한 논점 명료하게 이야기한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조직신학의 개념, 성격, 필요성
2. 조직신학의 방법, 분야들, 역사
3. 신학의 분야들
4. 신학과 다른 학문들과의 관계

본문내용

도 매우 종교적이었다. 사도행전 17:22에 보면, 바울은 아레오바고 가운데 서서 "아덴 사람들아 너희를 보니 범사에 종교성이 많도다"고 말했다. 종교적 감정이 종교에 필수적인 것은 사실이지만, 우리가 단순히 종교적 감정에서 하나님에 대한 바른 지식을 얻을 수는 없다. 사람의 도덕 의식도 그러하다. 양심이 하나님의 의로우심과 선하심을 반영하는 것이 사실이지만, 사람의 양심은 죄로 인하여 더러워졌고 무디어졌기 때문에 그 기능을 다하지 못한다. 그러므로 인간의 도덕 의식에 기초한 도덕적 신관, 도덕적 종교는 완전치 못하다. 성경은 말씀하기를, "의인은 없나니 하나도 없으며 깨닫는 자도 없고 하나님을 찾는 자도 없고 다 치우쳐 한가지로 무익하게 되고 선을 행하는 자는 없나니 하나도 없도다"고 했다(롬 3:10-12). 실상, 신학의 경험주의적 방법은 신학과 종교 심리학을 혼동하고 있다. 경험주의가 종교 심리학은 될 수 있으나, 신학은 될 수 없다.
넷째로, 신학의 잘못된 또 하나의 방법은 신비주의이다. 이것은 경험주의의 한 형태로서, 하나님과의 직접적 교통을 신학의 원리로 보는 방법이다. 이 견해는 하나님께서 자신의 뜻을 직접 계시하시고 전달해 주신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하나님의 직접적 계시를 내적인 빛 혹은 내면적 음성이라고 부른다. 교회 역사상, 많은 신비주의자들이 이런 사상을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생각도 잘못이다. 왜냐하면 그것은 성경을 기록하게 하신 하나님의 뜻에 전적으로 반대되기 때문이다. 바울은 '모든 성경이 하나님의 감동으로 되었다'고 증거했다(딤후 3:16). 또 이사야는 "마땅히 율법과 증거의 말씀을 좇을지니 그들의 말하는 바가 이 말씀에 맞지 아니하면 그들 속에 빛이 없기 때문이라"고 말했다(사 8:20). 신비주의는 이성의 정당한 기능을 무시한다. 그러나 이성은 하나님께서 주신 정당하고 정상적인 인식과 판단의 도구이다. 덧붙여, 신비주의적 방법에서는 하나님의 음성과 마귀의 음성을 명확히 분별하기 어렵다. 따라서 빈번히 탈선하는 데로 나아간다.
3. 신학의 분야들
넓은 의미에서 신학은 다섯 분야로 나뉜다. 첫째로, 구약 분야는 구약원어(히브리어, 아람어), 구약개론, 구약강해 등이 있다. 둘째로, 신약 분야는 신약원어(헬라어), 신약개론, 신약강해, 본문비평학 등이 있다. 셋째로, 교리 분야는 조직신학, 현대신학, 이단종파비판, 기독교 윤리 등이 있다. 넷째로, 역사 분야는 교회사, 교리사 등이다. 다섯째로, 실천 분야는 목회학, 설교학, 기독교 교육학, 교회헌법, 선교학 등이다. 구약과 신약은 성경 자료를, 그리고 교회사는 역사 자료를 제공하여, 교리와 윤리의 체계적 지식을 확립케 한다. 또 구약, 신약, 교리, 역사는 이론적 분야이고, 목회학 등은 실천적 분야이다.
위의 다섯 분야 중에서, 본래 신학이 의미했던 조직신학은 일곱 개의 주제로 구성된다.
첫째로, 서론은 신학의 개념, 성격, 필요성, 방법, 계시, 성경의 정경, 신적 권위성, 본문 문제, 명료성, 해석 원리들, 영감, 무오성(無誤性) 등 기독교 교리의 기초가 되는 성경에 관해 논한다.
둘째로, 신론은 하나님의 속성들, 삼위일체, 예정, 창조, 섭리, 기적 등에 관해 논한다.
셋째로, 인간론은 인간의 기원, 구성 요소, 행위언약, 죄의 본질, 구별, 형벌, 은혜언약 등에 관해 논한다.
넷째로, 기독론은 예수 그리스도의 신성과 인성, 일인격성(一人格性), 그의 낮아지심과 높아지심, 그의 선지자직, 제사장직, 왕직 등에 관해 논한다.
다섯째로, 구원론은 하나님의 은혜, 부르심, 중생(重生), 회개와 믿음, 칭의(稱義), 성화(聖化), 성도의 견인(堅靭)과 영화(榮化) 등에 관해 논한다.
여섯째로, 교회론은 교회의 본질, 속성, 참 교회의 표, 교회의 권세와 임무, 조직과 정치, 은혜의 수단, 성례 등에 관해 논한다.
일곱째로, 종말론은 몸의 죽음, 죽음 후의 상태, 예수 그리스도의 재림, 죽은 자들의 부활, 천년왕국, 마지막 심판, 천국과 지옥 등에 관해 논한다.
4. 신학과 다른 학문들과의 관계
신학과 다른 학문들과 관계는 어떠한가? 신학과 변증학과의 관계는 어떠한가? 그것은 변증학의 성격에 의해 설명된다. 벤쟈민 워필드 같은 학자는 변증학이 신학체계의 서론적 분과로서 하나님, 종교, 계시, 성경 등 기독교의 기초적 원리들에 대한 이성적 변호의 학이라고 이해하였다. 그러나 아브라함 카이퍼와 헤르만 바빙크 같은 학자들은 변증학이 기독교 진리들에 대한 공격에 대항한 성경적 답변의 학이라고 이해하였다. 이 견해에서는, 신학의 내용이 변증학에 그대로 활용될 수 있다.
신학과 철학과의 관계는 어떠한가? 철학과 신학은 우주의 근원, 인간의 존재 의미, 도덕적 선 등의 공통적 주제들을 취급하지만, 그 접근 방식은 전혀 다르다. 철학은 인간의 이성, 경험, 혹은 직관에 의존하지만, 신학은 하나님의 특별계시에 의존한다. 그러나 철학이 신학에게 어떤 도움을 주기도 한다. 임마누엘 칸트는 양심에 근거하여 하나님과 영생의 존재를 논증하였다. 또한, 철학은 인간의 이성이 우주의 기본적 난제들을 해결할 수 없음을 말해준다.
신학과 심리학과의 관계는 어떠한가? 심리학은 사람의 행위의 동기와 방식 등 사람의 심리 작용을 연구한다. 심리학도 종교 경험의 현상을 연구할 수 있으나, 빈번히 종교 현상을 단순히 자연적 현상으로 해석하며, 특히 하나님의 존재와 영혼의 죄악성을 무시하는 경향이 있다. 물론, 하나님의 계시 진리들과 일치하는 심리학의 연구 결과들은 신학의 보조적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신학과 윤리학과는 어떤 관계가 있는가? 윤리학은 사람의 올바른 행동 원리들을 연구한다. 이것은 무엇이 선인가 하는 철학적 문제와도 관계된다. 기독교 윤리학은 하나님께서 성경을 통하여 계시하신 올바른 행위와 생활의 원리들에 대한 체계적 지식을 가리킨다. 칼빈이나 촬스 핫지나 로버트 댑니 등의 신학자들은 교리적, 신학적 논술에서 십계명의 해설 등 윤리적 주제들을 다루기도 하였으나, 엄밀한 의미에서 조직신학은 윤리학과 구별된다. 조직신학은 믿음의 내용들을 논하고 윤리학은 행위의 원리들을 논한다.

키워드

추천자료

  • 가격2,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11.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1340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