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hroscopy (관절경수술) case study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Arthroscopy (관절경수술) case study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Ⅱ수술대상자 사례연구 보고서
1. 인적사항
2. 수술과 관련된 계획 및 결과
#1. 수술 후 상태와 관련된 낙상 위험성
#2. 침습적 진담검사 혹은 처치로 인한 급성 통증

본문내용

white balance button을 눌러 OK 확인
-Light Source를 연결한다. (밝기 15-20)
-Arthro care cable을 에 맞춰 연결하고, (Power 6-7) 발판을 2nd Assist 발 옆에 놓는 다.
-Shaver line을 발판 옆 endo 라고 써져 있는 곳 첫 번째에 꽂는다.
-Print는 Alarm Sign이 있는지 확인한다.
-비디오 On, L2에 Setting되었음.
-Arthrex는 Pumping Line 연결 후 Power On, 압력 조절 후 Start On. Scrub은 air 뺀 후 Trocar에 연결한다.
④Operator가 trocar 삽입 후 scope를 넣으면 room light & 무영등을 off한다.
(2)수술과정
①검사범위에 따라 국소 혹은 전신마취를 하며 외과적 절차를 위해서는 전신마취를 한다. 대상자를 bed에 눕히고 검사 부위를 노출시킨 후 betadine Sol.로 피부를 닦고 멸균포를 덮는다.
②가장 흔한 검사부위인 무릎에 관절경 검사를 할 때에는 다리에서 혈액을 배액하기 위해 탄력 붕대로 다리 전체를 감고 다리를 올린다. 출혈을 조절하는 다른 방법은 공기지혈대 를 감고, 검사 동안에 관절을 세척하고 팽창시킬 N/S 나 국소 마취제에 에피네프린을 섞 는 것이다.
③원하는 마취가 되고 나면 절개를 하여 투관침을 삽입하여 관절에서 관절액을 빼낸다.
④투관침을 제거하고 적절한 크기의 내시경을 삽입하는데 보통은 무릎을 굴곡한 자세를 한 다.
⑤관절을 팽창시키기 위하여 관절경을 통해 식염수를 주사한다.
⑥필요에 따라 배양, 생검, 외과적 복원, 이물질의 제거 등을 할 수 있다.
⑦관절을 세척하고 약물을 주입하며 무릎에 압박을 가하여 세척액을 제거한 다음에 내시경 을 빼낸다.
⑧폐쇄적 반월연골 절제술과 슬개골 깎기 같은 특정 검사에서는 두 번째 천자부위를 통하 여 세척 카테터를 삽입하고, 세 번째 천자부위로 외과적 기구를 삽입한다.
⑨검사가 끝나면 상처를 단순봉합이나 steri-strips로 막는다. 멸균 드레싱을 한 후 탄력 붕 대로 감는다. 검사의 범위에 따라 관절을 패드로 싸거나 부목을 대거나 고정장치를 이용 하여 움직이지 못하게 한다.
10) 수술 후 간호
수술이 끝난 후 회복실에서 활력징후를 측정하고 SpO2도 같이 측정한다. 환자의 안위 수 준을 함께 관찰한다. 마취 후이기 때문에 물대신 거즈에 물을 적셔 입에 넣어주었다. 두 꺼운 이불을 덮어 주었다.
11) 간호진단
#1. 수술 후 상태와 관련된 낙상 위험성
자료
목적
간호계획
이론적 근거

- “왼쪽 다리가 불편해요.”
- “언제부터 움직일 수 있나요?”

- 왼쪽 무릎에 부목을 대고 있 어서 움직임에 불편함이 있 음.
- 침대에서 혼자 내려오기 힘 듬.
- 낙상위험도 척도 6점으로
낙상위험이 높음.
<단기적 목적>
- 수술 후 회복실 내에서 낙상이 일어나지 않는다.
<장기적 목적>
- 낙상의 위험도를 알고 병동에서 퇴원 시까지 낙상사고가 일어나 지 않는다.
진단적
①수술 후 낙상 위험도를 사정한다.
②회복실 주변의 환경을
사정한다.(호출장치가 있는지 사정한다.)
- 대상자의 집이나 건강관리기관의 환경을 개선하면 낙상의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다. 침대나 바퀴의자에는 잠금장치를 부착하고 호출 장치를 마련한다. (기본간호학-수문사)
치료적
①환자의 침대난간을 올려 준다.
②스스로 침대 밖으로 나 오지 않도록 한다.
③bed의 wheel을 고정시 킨다.
- 환자의 침대난간을 올려주고 필요하다면 억제대를 사용한다. 의식수준이 저하되어있으므로 도움없이는 스스로 침대 밖으로 나오지 않게 한다. 이때는 낙상의 위험이 매우 크다.(수술간호 실습지침서-수문사)
교육적
① 낙상에 대한 위험성에 대해 교육을 한다.
② 혹시 모르는 낙상 사고를 대비하여 낙상 사고가 생겼을 경우 호출을 하거나 간호사를 부르도록 교육한다.
- 낙상 예방에 있어 무엇보다 간호제공자를 간호중재에 포함 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환자 자신은 낙상에 의한 손상의 위험을 증가시키는 요인에 대해 인식하면 좀 더 경각심이 심어진다.
(노인과 건강-현문사)
#2. 침습적 진담검사 혹은 처치로 인한 급성 통증
자료
목적
간호계획
이론적 근거

- “왼쪽 다리가 아파요”
- “쿡 쿡 쑤셔요”

- 수술 부위는 Patella를 주변 으로 침습적 수술을 하였다.
- 통증척도 사정 결과 10점이 최고치일 때 6점이었다.
- 통증으로 인해 다리를 잘 못 움직인다.
<단기적 목적>
- 통증척도가 6점에서 4점으로 떨 어진다.
<장기적 목적>
- 자가간호 능력을 향상시켜 통증 을 느낄 때 적절한 방법을 적용 시킨다.
진단적
①통증척도를 수술 후 마취가 깬 후 한번, 회복실에서 병동으로 가기 전에 한번, 총 두 번 사정한다.
②통증의 간격, 양상, 기간 등을 사정한다.
③통증을 증가 시키는 요인을 확인한다.
- 통증을 사정할 때 간호사는 불편감의 정도에 민감해야 한다. 통증이 급성이거나 중증일 경우에는 통증을 자세히 설명하기가 쉽지 않다. 급성 통증에서는 일차적으로 통증의 특성과 생리적 반응을 사정한다. 전반적인 통증 사정은 대상자가 정신이 명료하고 간호사의 질문에 집중할 수 있을 때 시행 가능하다.(기본간호학-수문사)
치료적
①PRN으로 처방된 진통제를 투여한다.
②적절한 체위를 조심스럽게 수정해준다.
③앉아서 손을 잡아주거나, 부드러운 목소리로 말하고, 처치 후 잠시 대상자 곁에 머물러 준다.
-간호사가 돌봄정신을 보여줌으로 돌봄 행위는 통증을 최소화 할 수 있다. 간호사가 연민감을 나타내고 존엄성을 유지해 주며 불편감이나 고통을 최소화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면 통증완화방법은 성공적일 것이다. (기본간호학-수문사)
교육적
① 통증완화요법을 교육한다.
② 수술 후 나타나는 불편감을 미리 알려주어 불안을 통제하도록 한다.
- 지식은 통증이 수반되는 의료처치가 진행되는 동안 있을 것이라고 예상되는 불편감에 대해 대상자로 하여금 불안을 통제하도록 도와준다.(기본간호학-수문사)
  • 가격2,5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12.11.30
  • 저작시기2012.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2323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