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통합론과 북한문학 4학년 공통] ‘고전‘의 가치와 잡지 ’문장‘파 근대예술가들의 지향점을 나름대로 서술하시오. - 월북 작가 정지용 시인의 활동상을 중심으로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문화통합론과 북한문학 4학년 공통] ‘고전‘의 가치와 잡지 ’문장‘파 근대예술가들의 지향점을 나름대로 서술하시오. - 월북 작가 정지용 시인의 활동상을 중심으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고전‘의 가치
 1) 고전의 교육적 가치
 2) 고전의 문학적 가치
 3) 고전의 문화적 가치

2. 월북 작가 정지용

3. 월북 작가 정지용 시인의 활동상
 1) 정지용과 모더니즘
 2) 정지용 초창기의 시
 3) 정지용 반성기의 시
 4) 정지용 완성기의 시

4. 잡지 ’문장‘파 근대예술가들의 지향점
 1) 정지용 시의 전통지향성
 2) 모더니즘
 3) 동양정신

5. 시사점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대 낭만주의, 상징주의 범람과 30년대 모더니즘의 전개에 해당되고, 전자는 20년대 민요시, 시조부흥운동, 30년대 시문학파, 청록파 등의 국어시 운동이 대표적이다. 분명 한국 현대시는 이러한 서구지향성과 전통지향성의 두 축에 의한 지형도를 구축하고 있다. 따라서 정지용의 전통지향성을 논하는 것은, 정지용의 시사적 위상을 볼 때 한국 현대시의 중요한 시의 맥락, 즉 전통지향성의 계보와 특징을 파악하는 일에 해당될 것이다. 본고의 궁극적 지향점은 여기에 있다.
3) 동양정신
서구의 모더니즘이 문학에 등장하기 시작한 것은 1857년 영국의 매듀 아놀드(Mathew Arnold)가 「문학에 있어서 현대적 전통에 대하여」(On the Modern Elementin Literature)라는 제목으로 옥스퍼드대학 교수 취임 연설에서 처음으로 ‘모던’이란 말을 사용하고부터이다. 하지만 오늘날 사용되는 모더니즘의 의미와 실질적으로 같은 뜻으로 사용하기 시작한 것은 덴마크의 브란데스(George Brandes)가 쓴 『현대의 선구자들(Det Moderne Gjennembruds Maend)』(1887)에서부터이다. 이후 서구에서 모더니즘은 1870년 이후 서구에서 일어난 한 특정된, 그러나 일관되고 지배적인 여러 예술 경향을 총칭하는 용어로 전통이나 신념에 있어서 과거 유산의 거부 및 기존 관습, 가치, 신앙으로부터 해방을 추구하며, 크리스챤 휴머니즘의 극복을 위한 네오 휴머니즘을 탐구한다.
우리나라에서의 모더니즘에 대한 논의를 살펴보면 정한모는 정지용의 “시집에 수록된 초기시의 주요 작품이 대부분 1926~1927년에 발표된”사실에 주목하여 “모더니즘은 1920년대 후반기 문학 활동의 연장선상에서 파악되어야 한다”고 하였고, 문덕수는 정지용과 김광균이 처음 시를 발표한 1926년을 모더니즘의 기점으로 보았다. 오세영도 정한모와 문덕수의 견해에 동조하였다. 이들 견해의 공통점은 우리 문단에서 현대시의 기점을 가늠하는 모더니즘의 시작을 정지용으로 본다는 점이다. 이는 정지용이 우리 현대시사에서 차지하는 위치를 충분히 보여준다고 하겠다. 서구의 모더니즘은 자본주의의 토대 위에서 경제사적 측면과 정신사적 측면에서 맞물려 이루어진 문학의 유파인데 비해, 우리의 모더니즘은 식민지 상황 아래에서 자본주의가 성립조차 되지 못한 비정상적인 근대화 과정에서 이루어짐으로써 당시 한국인의 삶과 일치되지 못했다. 그리고 모더니즘이 소수의 지적 엘리트나 지식층 사이에서 실험정도에 머무름으로써 그 수가 당시 문단에서 지배적일 만큼 많지 않다는 점에서 우리 현대문학을 대변한 다고 말하기는 어려운 면이 있다. 또한 ‘주지주의’와 ‘모더니즘’이라는 명칭을 정확하게 개념 규정하지 않고 사용하여 용어의 정의면에서도 매우 혼란스러운 면이 있으나 1920~30년대에 등장한 이미지즘, 주지주의, 슈르리얼리즘, 다다이즘 등을 통털어서 모더니즘이라 칭한다. 이처럼 정지용은 동시대에 동시에서부터 모더니즘에 이르기까지, 2연 1행의 단시에서부터 산문시에 이르기까지 시의 형식면에서 진폭이 큰 시인이다. 이는 정지용 개인의 호기심과 실험정신에 기인한 것이기도 하겠지만 그가 속한 우리 문단의 현실이 맞물린 결과라고 보여진다.
5. 시사점
고전문학의 하위 범주인 고전시가는 우리 선조들의 보편적인 삶과 사상, 진솔한 감정을 노래로 표현한 민족문화로서 문학교육적 가치를 지닌다. 그러나 학습 내용면에서 고전시가 작품은 많은 학습자들로부터 공부하기 까다로운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이렇게 된 원인을 찾아보면 우선, 고전시가 작품 속의 시공간적 배경이 지금과는 많이 다르기 때문에 어려움을 겪는 듯하다. 과거, 역사에 대한 지식이 부족한 학습자일수록 더욱 어렵게 느끼기 마련이다. 그리고 작품에 낯선 고어(古語)가 많다는 것도 학습자들이 고전시가 작품을 기피하게 된 주요 이유 가운데 하나이다. 그렇다고 해서 고어를 모두 현대어로 대체하여 현대시처럼 보이게 할 수는 없다. 좀 더 근본적으로는 고전시가 작품에 대한 오해를 불식시키지 못한 교육 현장의 책임이 크다. 아직까지도 상당수의 학습자들은 고전시가 작품을 현대시와는 전혀 차원이 다른 것, 오늘날의 현실과 동떨어진 작품으로 인식하고 있다. 따라서 고전시가 작품도 현대시와 마찬가지로 우리의 정서를 표현한 시이자 노래라는 사실을 상기시켜줄 필요가 있다. 요컨대 고전시가 교육의 당면 과제는 작품에 대한 학습자들의 거부감을 없애고, 거리감을 좁히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Ⅲ. 결론
지금까지 본론에서는 ‘고전‘의 가치와 잡지 ’문장‘파 근대예술가들의 지향점을 나름대로 서술해 보았다. 정지용은 일본 도시샤 대학 유학에서 영문과를 전공했고, 그의 초기시 시작 활동을 살펴보면 서구적인 모더니즘적 시경향을 띤 작품들도 있다. 그러나 그런 작품들조차 면밀히 살펴보면 한시의 영향을 찾아볼 수 있다. 그의 시작의 가장 큰 특징으로 꼽는 언어의 절제와 선명하고 적확한 이미지는 흔히 이미지스트의 기법이라고 한다. 하지만 이 또한 한시의 창작기법에서 비롯되었음을 그의 시 분석을 통해 찾아볼 수 있었다. 정지용의 시는 일반적으로 초기의 이미지즘, 중기의 종교시, 후기의 전통 지향적 시로 나뉜다. 그 중 초기와 중기의 시는 서구지향성이 두드러지고, 후기는 전통지향성이 두드러진다고 한다. 하지만 본고에서는 정지용의 전통지향성은 한시와 동양고전의 토대 위에서 그의 시 전체를 관통하고 있음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는 정지용의 시사적 위상을 볼 때 한국 현대시의 중요한 시의 맥락, 즉 전통지향성의 계보와 특징을 파악하는 데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참고문헌
김은자, 정지용, 새미, 1996.
박태상, 정지용의 삶과 문학, 깊은샘, 2010.
한창훈, 시가교육의 가치론, 월인, 2001.
김병민, 조선문학사, 연변대학출판사,1999.
김흥규, 고전문학교육과 역사적 이해와 원근법, 지식산업사,1993.
최학출, 정지용의 초기 시 연구,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2002.
김정숙, 정지용의 시 연구 : 전통의식을 중심으로, 세종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9.
윤해연, 정지용의 시와 한문학의 관련양상 연구, 인해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1.

키워드

  • 가격3,000
  • 페이지수16페이지
  • 등록일2014.03.08
  • 저작시기2014.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0726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