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와 동기] 성취동기이론 (성취동기의 이론적모형, 성취동기에서 남녀차이)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스포츠와 동기] 성취동기이론 (성취동기의 이론적모형, 성취동기에서 남녀차이)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스포츠와 동기] 성취동기이론

Ⅰ. 성취동기의 이론적 모형
1. 성취-지향 목표추구 성향
2. 성취지향 목표를 피하려는 경향(실패회피 경향)
3. 최종성취성향

Ⅱ. 성취동기에서 남녀의 차이

Ⅲ. 스포츠와 성취동기
1. 성취동기와 스포츠 수행

본문내용

한 것이고 다른 것은 남성적인 것
2/ 남성성(masculine): 전통적인 남성적 고정관념에 맞는 것
3/ 여성성(feminine): 전통적인 여성적 고정관념에 맞는 것
4/ 미분화(undifferentiated): 남성과 여성 집단 양쪽 모두에서 평균 이하인 것
두 가지 질문지를 이용하여 240명의 여자 선수를 대상으로 연구한 결과를 아래의 표에 요약해 놓았다.
성-역할 분류에 따른 240명의 여자 선수의 동기적 지향
지각된 성 역할분류의 네 범주는 동기적 지향에서 차이를 보였다. 이에 관해 구
체적으로 살펴보면, 지각된 성 역할 분류에서 여성성인 여자 선수는 양성 및 남성성
인 여자 선수와 동기적 요소에서 차이를 보였다. 또한 남성성이거나 양성성인 여자
선수에 비해서 여성성인 여자선수는 성취 동기적 요소에서 일관성 있게 낮은 성향
을 보여 주고 있다. 이런 결과는 지각된 성 역할이 성취활동을 향한 동기수준을 결
정하는 요인이라는 사실을 지지하는 것이다. 스포츠 상황에서 성취동기에서의 남녀
선수 간 차이를 비교한 국내 연구(김봉호, 1996;김윤희, 강신복, 2000; 이병호, 10; 정용민, 1999; 흥준희, 2001)에서도 성공성취동인과 실패회피동인 등 성취동기에서 성차를 보인다고 보고했다. 반면에 육동원과 신정택(2003)은 볼링 및 축구 선수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남녀 선수 간에 성취목표성향에서 차이를 보이지 않는다는 결
과를 얻었다.
3) 스포츠와 성취동기
성취동기이론은 스포츠와 관련해서 두 가지 측면을 지닌다. 하나는 모험을 감수
하는 행동이다. 성취동기와 실패회피동기의 상대적 수준에서 차이를 보이는 선수
는 난이도가 다양한 동작기술에 대한 선호도에서도 개인차를 보일 것이다. 두 번째
측면은 최종 성취성향과 스포츠 수행 효율성의 관계에 관한 것이다. 스포츠 수행에
서의 차이를 성취동기와 실패회피동기의 내적 성향에서의 차이로 설명할 수 있을
것이다. 성취동기가 실패회피동기보다 강한 선수는 실패회피동기가 성취동기보다
강한 선수에 비해서 내적등기가 더 강할 것이다. 그러므로 만일 두 선수의 능력이
비슷하다면 성취동기가 실패회피동기보다 강한 선수의 동기 수준이 더 높기 때문에
스포츠 수행수준에서도 더 우수할 것이다. 여기서는 스포츠 상황과 관련해서 두 번
째 측면을 다루기로 한다.
(1) 성취동기와 스포츠 수행
성취동기 수준이 높을수록 스포츠 수행수준은 우수하다. 일반적으로 성취동기가 높은 선수는 성취동기가 낮은 선수에 비해서 성적이 우수하다. 그러나 동작기술을 다룬 연구결과에 따르면 성취동기가 높은 개인은 성취동기가 낮은 개인에 비해서 수행 수준이 높지만, 그것은 대개 수행의 초기단계에서만 나타나는 제한적인 현상이다.
성취동기가 과제수행에 미치는 제한적 효과가 스포츠에서도 나타난다. 이런 결과
는 핸드볼 선수를 대상으로 한 0strow(1976)의 연구에서 발견되었다. Roberts
(1972)의 연구에서도 성공성취지향적인 개인과 실패회피지향적인 개인 간에는 실
험 초기에는 수행에서의 차이가 나타났으나, 그 이후 시행에서는 차이가 드러나지
않았다. Heal와 Landers(1973)는 실패회피지향적인 개인은 성공성취지향적인 개
인에 비교해서 단지 초기 시행에서만 수행에서 큰 차이를 보였고, 수행점수 자체에
서는 아무런 차이도 없음을 확인했다.
Weiner(1972)는 자신의 연구를 분석하여 이처럼 얼핏 보기에는 일관성이 있으나
불일치하는 결과를 일반화해서 설명하려고 시도했다. 그는 연구결과를 검토한 후에
다음과 같은 사실을 관찰했다.
1/ 최종 성취동기가 높은 개인은 실패 후에 동기가 증가한다.
2/ 최종 성취동기가 낮은 개인은 실패 후에 동기가 저하된다.
3/ 최종 성취동기가 높은 개인은 성공 후에 동기가 저하된다.
4/ 최종 성취동기가 낮은 개인은 성공 후에 동기가 증가한다.
이런 일반화는 아래의 그림에 잘 나타나 있다.
- 성공과 실패가 최종 성취동기가 높거나 낮은 개인에게 미치는 효과 -
스포츠와 같은 동작기술 학습에서 성취동기가 높은 개인이 수행 초기에 수행의 향상으로 보여 주는 성공은 매우 확실하다. 동작기술의 학습곡선은 두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초기의 급한 상승 단계에서는 수행이 크게 향상된다. 다음의 완만한 상승단계에서는 수행의 증가는 극히 제한되어 고원의 형상을 이룬다.
성취동기가 높은 개인과 실패회피동기가 높은 개인은 스포츠에서와 같은 동작기술 학습상황 초기에서는 모두 성공할 것이다. 그러나 위의 그림에서 보듯이 성취동기가 높은 개인은 성공 후 성취동기가 저하될 것이고, 반면에 실패회피 동기가 높은 개인의 성취동기는 증가할 것이다.
Ryan과 Lakie(1965)는 성취동기에서 차이를 보이는 개인이 수행에서도 차이를
보이려면 기본적으로 스포츠와 같은 경쟁적 상황이어야 한다고 결론 내렸다. 성취
동기가 높은 개인과 실패회피 동기가 높은 개인이 고리걸기 과제의 초기에 과제수
행 후 각각 성공 지향적인 피드백을 얻었다. 다음으로 이들은 고리걸기 과제 전문가
라고 소개된 실험 협조자와 경쟁하는 상황에 놓이게 된다. 비경쟁적 조건에서는 성
취동기가 높은 개인보다 실패회피 동기가 높은 개인이 더 우수했지만 경쟁적 상황
에서는 반대로 실패회피 동기가 높은 개인이 성공지향적인 성취동기가 높은 개인에
비해서 더 열등했다. 실패를 회피하고자 하기 때문에 더 불안해진 개인은 위협이나
압막을 받지 않는 비경쟁 상황에서는 잘했지만, 경쟁상황에 놓이면 실패에 대한 불
안이나 두려움 때문에 수행에 더 많은 방해를 받았기 때문이다. 반면에 경쟁적 상황
에서는 성공에 대한 욕망이 강한 개인이 더욱 등기화되어 상대적으로 수행이 더 향
상되었다.
Ryan과 Lakie거 설명과 Spence와 Spence가 제시한 정서반응 가설 간에는 유사점이 있다. 이 두 가지 설명에 따르면 경쟁적 상황에서 불안수준이 높은 개인과 낮은 개인 간의 차이를 얻어 내기 위해서는 위협 또는 혐오자극이 필수적이다. 마찬가지로 스포츠와 같은 경쟁적 상황은 성취상황에서 성취동기가 높은 선수와 성취동기가 낮은 선수의 성취과제에 접근하려는 경향성에서의 차이를 확대시키는 데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추천자료

  • 가격2,8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4.03.11
  • 저작시기2014.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0762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