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동기] 사회적 동기 - 귀인이론 (스포츠분야에서의 귀인이론)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스포츠동기] 사회적 동기 - 귀인이론 (스포츠분야에서의 귀인이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스포츠동기] 사회적 동기 - 귀인이론(스포츠분야에서의 귀인이론)

Ⅰ. 귀인이론의 모형

1. Heider의 인과귀인모형
1) 개인의 힘
2) 환경의 힘
2. Weiner의 성취귀인이론

Ⅱ. 귀인에서 자아중심성

Ⅲ. 귀인에 따른 정서반응

Ⅳ. 스포츠 분야에서의 귀인 연구

본문내용

은 노력의 결과로 실패했을 때 가장 크게
수치심을 경험한다고 응답했다.
노력과 능력이 연합편 효과는 그 개인이 장차 언젠가 그 과제를 수행해야만 할 것
인지의 여부와 관련이 있다. 능력 수준은 낮지만 열심히 노력해서 우승한 테니스 선
수는 가장 큰 만족을 경험할 것이다. 한편 기쁨은 실패가 아니라 승리와 연합되어
있기 때문에 장차 경기성적을 기대할 때 가장 큰 기쁨은 자신이 능력을 지니고 있다
는 지식과 연합될 것이다. 단순히 동기 수준만 높을 때보다는 자신이 능력 있다고
지각하면 앞으로 경기에서 상 받을 기회가 더 많을 것이고 따라서 더 큰 기쁨을 얻
을 것이다.
4) 스포츠 분야에서의 귀인 연구
스포츠에서 승자와 패자의 귀인에 관한 연구결과는 일관성이 없다. 어떤 연구는 패자에 비해서 승자가 더 내적이고 안정된 통제 가능한 귀인을 한다는 결과를 보였다. 그러나 또 다른 연구는 승자가 더 안정되고 통제 가능한 귀인을 하지만 더 안정된 귀인을 하지는 않는다는 결과를 보였다. 그 이유는 객관적 성과(승리 또는 패배)와 개인이 지각한 성공과 실패는 다르기 때문이다.
Spink와 Robert, s(1980), 권태 엽(1992)은 패자에 비해서 승자가 더 내부귀인을 한다는 결과를 얻었다. 그러나 Spink와 Roberts(1980)는 두 유형의 승자가 있음을 발견했다. 자신이 능력과 노력(내부귀인)에 의해서 승리를 얻었다고 생각하여 만족스러워하는 승자와 과제가 어렵지 않기 때문에(외부귀인) 쉽게 승리했다고 느끼기 때
문에 불만스러워하는 승자가 있다. 마찬가지로 만족스러워하는 패자는 그들의 패배
원인을 과제 난이도로 들릴 것이고, 불만스러워하는 패자는 자신의 능력 부족으로
그 탓을 돌릴 것이다. 추가해서 McAuley(1985)는 객관적 성공에 비해서 지각된 성
공은 내적이고 안정된 통제 가능한 요인으로 귀인시킨다는 것을 확인했다.
안희구(2003)는 고등학교 남녀 조정선수에게 김원배와 윤영길(2003)이 개발한 성
공 및 실패귀인 질문지를 실시해서 성별 귀인유형의 차이를 알아냈다. 그 결과 귀인
에서의 성차를 발견하지 못했다. 이는 남자가 성공의 원인을 내부 안정적 요인(능
력)으로 귀인하는 반면에 여자는 성공의 원인을 외부 불안정 요인(운)으로 귀인하고
실패를 내부 안정요인(능력)으로 요인으로 귀인한다는 선행연구의 결과와 일치하지
않는다. 한편 Gill(1980)은 여자 농구선수를 대상으로 연구한 결과, 승리의 원연을
동료에게 돌리고 실패의 원인은 자신에게 돌림으로써 일반적인 자기-기여 편향
(self-serving bias)가설과 상반되는 경향이 있음을 보고하였다.
스포츠 분야의 연구에 따르면 수행 만족 또는 주관적 평가가 선수의 정서를 예언
하는 가장 좋은 예언변수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 귀인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Biddle,
1993). Robinson과 Howe(19)는 756명의 남녀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
과, 지각된 수행이 그들의 정서를 일관성 있게 예연하고, 귀인은 그 예언력을 더욱
높여 주었다. 특히 스스로를 실패했다고 지각하는 개인에 비교해서 자신을 성공적
이라고 지각하는 개인은 내적(능력), 안정적(다시 성공할 것이다)이고 통제 가능한(나
는 다시 성공을 해낼 수 있어) 귀인을 하고 더욱 긍정적인 정서를 경험했다.
Vlachopoulus, Biddle그리고 Fox(19)도 성공에 대한 내부귀인은 긍정적 정서 에
대한 매우 중요한 예연변수라는 것을 발견했다.
McAuley와 Duncan(1989)은 귀인과 정서 에 관한 연구에서 매우 흥미 있는 설계
를 시도했다. 성공에 대한 지각을 측정하는 대신에 성과를 조작해서 승리할 것으로
기대했던 개인이 패하고 패할 것이라고 기대했던 개인이 승리하게 만들었다. 성공
한 개인 중에서 내부귀인을 한 사람에게서 자신감이 가장 강했다. 실패한 사람 중에
서 안정된 내부요인 때문에 패했다고 귀인하는 개인에게서 우울감이 가장 렀다. 이
런 결과는 자기-기여 편파 개념을 지지한다. 패배를 안정된 요인으로 귀인하는 것
은강한 죄책감과수치심에 더욱 관련되었다. 이 연구는자기-기여 편파를 지지하
기는 하지만 기대하지 않았던 성과가 긍정적이든 부정적이든 강한 정서반응을 일으
킨다는 것을 제시하고 있다. 대부분의 귀인연구는 스포츠 분야에서 이루어졌다. 이런 연구를 검토한 결과 Stuart와 Bibble(1993)은 McAuley와 그의 동료들의
노력으로 건강 관련 활동에 참여하는 귀인적 사고과정에 대한 증거가 축적되었다고
지적했다. 많은 연구자가 Weiner의 모형에 따라서 더 발전된 연구를 지속했다. 동
기에 대한 또 다른 귀인모형으로 동기에 대한 접근을 한 연구자도 있다. Abramson,
Seliaman그리고 Teasdale(1978)은 통제 불가능 귀인으로 학습된 무력감에 대해서
논했다. 성과가 통제 불가능하다고 지각하는 개인은 동기, 인지, 정서적 결함을 보
인다. 이런 개인은 행동을 시작하지도 않으며, 반응이 차이를 만들어 낸다는 것을
학습하기가 어려워지고, 우울감을 지닐 가능성이 크다.
Johnson과 Biddle(1988)은 준형잡기에서 실패나 성공에 대한 귀인과정을 통해서
스포츠 분야에서 학습된 무력감을 처음으로 연구했다. 오랫동안 버틴 개인에 비해
서 쉽게 포기하는 개인은 실패의 원인을 능력 부족이나 과제의 어려움으로 귀인할
뿐만 아니라 자기에 대한 부정적 진술을 했다. 오랫동안 버틴 개인은 더욱 전략적인
진율을 했다. 중학교 체육시간의 학생과 스포츠 참가자에게서도 비슷한 결과가 나타났다. 이런 연구는 성공과 실패에 대한 개인의 지각과 귀인 간의 관련성을 보여 주었다.
스포츠에서 학습된 무력감을 보이는 개인을 만날 수 있다. 가장 분명한 경우는 체
육시간에 자신이 너무 느리고 손발이 잘 안 맞고 아무리 해도 운동이 잘되지 않는다
고 발고 있는 어 린이다. 때로는 유능한 선수도 계속 성공만 하다가 갑자기 실패하면 무력해지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런 사람은 실패의 원인을 노력뿐만 아니라 전략, 연습, 기술 또는 변화 가능한 무엇이든 불안정하고 통제 가능한 요인으로 돌리도록 함으로써 도움을 얻을 수 있다.

추천자료

  • 가격3,3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14.03.11
  • 저작시기2014.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0764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