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식문화 보고서-중국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음식문화 보고서-중국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목차]
-중국문화의 기원

-중화요리의 발전
1. 고대
2. 진·한 시대
3. 수·당 시대
4. 송나라 시대
5. 원나라 시대
6. 명나라 시대
7. 청나라 시대

-중국식사예절

-중국음식의 지역별 특성
1. 홍콩·광동지방의 요리인 광동요리 (廣東菜)
: 통돼지구이 (烤乳猪, 카오루주), 전복 (鮑魚, 바오위), 석반어찜 (淸蒸石斑, 칭정스반)
2. 사천요리 (四川菜)
: 마파두부 (麻婆豆腐, 머퍼더우푸), 단단면 (担担麵, 단단미옌)과 마의상수 (蚂蚁上樹, 마 이이상수), 삼겹살볶음 (回鍋肉, 후이궈러우), 소내장전골 (毛肚火鍋, 마오두훠궈)
3. 소주·항주·상해지방의 요리인 상해요리 (蘇菜, 上海菜)
: 유조 (油條, 위탸오), 상해게 (上海大蟹, 상하이따셰 ; 大閘蟹, 따자셰), 부귀계 (富貴鷄, 푸구이지)
4. 산동·북경지역의 요리인 북경요리 (魯菜, 北京菜)
: 북경오리구이 (北京烤塡鴨, 베이징카오톈야), 쇄양육 (涮羊肉, 쏸양러우), 만두 (饅頭, 만 터우), 교자 (餃子, 쟈오), 포자 (飽子 또는 包子, 바오쯔)

-중국 요리명의 구성
: 조리법, 요리의 재료, 요리 재료의 모양, 조미료, 재료의 배합형태

-중국의 술

-후기

본문내용

조심해야 한다. 그렇다면 우리나라에는 만두가 어떤 경로를 타고 전래되었을까. 14세기 중엽 고려시대에 수랏간에 들어가 만두를 훔쳐먹은 자를 처벌했다는 기록이 있는 것으로 보아, 만두가 그때쯤 중국으로부터 전래됐지만 아직 대중화되지 못한 귀한 음식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고려가요인 쌍화점(雙化店)에 나오는 쌍화가 소를 넣고 찐 음식이라는 점에서 교자일 것으로 추측되나 고려인들은 이를 만두라 불렀고 조선시대에 밀가루 반죽으로 피를 만들고 소를 넣어 삶은 것은 확실히 교자에 해당한다.
*중국 요리명의 구성
중국음식의 이름은 요리의 모양이나 처음에 만든 사람이름 혹은 연관된 지명 등을 사용하기도 하지만 대부분은 어떤 요리인지, 어떤 조리법으로 요리를 했는지, 사용된 재료는 무엇인지를 대강 알 수 있게 되어 있다. 따라서 대개는 요리명으로 사용된 재료, 조리방법, 맛 등을 알 수 있다.
1) 조리법
차오(炒): 중간 불로 기름에 볶는다.
샤오(燒): 기름에 볶은 후 삶는다.
빠오(爆): 뜨거운 기름으로 단시간에 튀긴다. 또는 뜨거운 물로 단 시간에 데친다.
짜(炸): 다량의 기름으로 튀겨낸다.
젠(煎): 약간의 기름을 두르고 지져낸다.
탕(湯), 촨(川): 스프 종류, 특히 촨은 찌개와 같은 조리법 으로 국물이 적고 건더기가 많이 들어간 요리이다.
뚠(燉): 주재료에 국물을 붓고 쪄낸다.
쩡(蒸): 찐다.
류(溜): 달콤한 녹말 소스를 끼얹는다.
카오(火考): 불에 직접 굽는다.
먼(火悶): 약한 불에서 오래 끓여 달여낸다.
쉰(燻): 재료를 연기로 찌는, 일종의 훈제법으로 조리한다.
췌이(脆): 얇은 옷을 입혀 바삭바삭하게 될 때까지 튀긴다.
펑(烹): 삶는다.
똥(凍): 묵처럼 응고시켜 만든다.
후이(會): 녹말가루를 연하게 풀어 넣는다.
웨이(火畏): 약한 불에다 서서히 연하게 익힌다. 간장을 넣 어 색을 내는 것과 백숙처럼 그냥 익히는 것이 있다.
2) 요리의 재료
룽(龍): 뱀고기
후(虎): 너구리고기
로우(肉), 쭈로우(猪肉): 돼지고기 / 뉘로우(牛肉): 소고기
지딴(鷄蛋): 달걀
야쯔(鴨子): 오리
톈지(田鷄): 개구리
펑(鳳), 지(鷄): 닭고기
투또우(土豆): 감자
빠이차이(白菜): 배추
칭차이(靑菜): 푸성귀
샤(蝦): 새우종류
모위(墨魚): 오징어
3) 요리 재료의 모양
피옌(片): 얇게 썰어 만든 모양
딩(丁): 눈 목(目)자 모양으로 자른 것
모(末): 아주 잘게 썬 것
쓰(絲): 결을 따라 가늘게 찢어 놓은 모양
콰이(塊): 크고 두꺼운 덩어리로 썬 것
두안(段): 깍두기 모양으로 작게 썬 것
완(丸): 완자 모양으로 동그랗게 만든 것
쥐엔(卷): 두루마리처럼 감은 것
빠오(包): 얇은 껍질로 소를 싼 것
니(泥): 강판에 갈아 즙을 낸 것
냥(釀): 재료의 속을 비우고 그곳에 다른 재료를 넣은 것
4) 조미료
또우장(豆醬): 된장
추(醋):식초
장유(醬油): 간장
탕(糖): 설탕
또우푸츠(豆腐鼓): 청국장
또우푸유(豆腐乳): 발효두부
또우반장(豆瓣醬): 콩짜개
즈마장(芝麻醬): 참깨와 기름을 넣어 섞은 된장
위장(魚醬): 어류로 만든 젓갈 국물
라자오(辣椒): 고추
5) 재료의 배합형태
싼셴(三鮮): 세가지 재료를 이용하여 만든 요리
빠바오(八寶): 여덟 가지 진귀한 재료를 넣어서 만든 요리
우샹(五香): 다섯 가지 향료를 쓴 요리
스징(十景): 열 가지 재료를 사용하여 만든 요리
빠이징(白景): 우리 나라의 신선로와 같은 모양의 훠꿔즈 (火鍋子)라는 그릇을 이용하여 여러 가지 귀한 재료를 넣 어 만든 요리
싼딩(三丁): 세 가지 요리를 정육면체 모양으로 썰어서 만든 요리
중국의 술
중국 술은 제조법과 원료에 따라 크게 5종류로 나뉜다. 백주(白酒) 황주(黃酒) 노주(露酒) 과일주 맥주가 그것이다. 백주란 수수 옥수수 밀 등 곡류를 발효시켜 만든 양조주를 다시 증류한 술이다. 고량주라고도 부르며 알콜 도수가 보통 30도를 넘는다. 마오타이(茅台) 우량예(五粮液) 펀주(汾酒) 등이 이에 속한다. 황주란 곡식을 발효시켜 만든 술로, 우리의 막걸리에 해당한다. 도수가 높지 않으며 색깔에 따라 홍주(紅酒) 흑주(黑酒), 산지에 따라 소흥주(紹興酒) 등으로 불린다. 노주는 발효주에 각종 약재나 식물을 넣고 함께 증류시켜 독특한 맛과 향을 낸 술이다. 죽엽청주(竹葉靑酒)와 오가피주가 이에 속한다. 과일주는 과일의 즙을 천연 발효시켜 만든 술이다. 사마천(司馬遷)의 사기(史記)에 중국 서북지방에서 포도를 재배하여 술을 담갔다는 기록이 있는 것으로 보아, 중국의 포도주 역사는 2000년 이상 거슬러 올라간다. 중국의 맥주는 청(淸) 말기 독일에 의해 전해진 것으로 아는 사람이 많지만, 한양대 국제문화대 중국학부 정석원(鄭錫元) 교수는 “중국에서 이미 3200년 전부터 맥주를 빚었다는 기록이 있다”고 말했다.
보고서작성 후 느낀 점
중국요리는 우리가 생각했던 것 보다 그리 화려하고 다양했던 것은 아니었다. 역사적으로 중국은 늘 기근과 자연재해와 싸움을 벌여야 했다. 한마디로 ‘살아남기 위한 몸부림의 역사’ 였다는 얘기이다. 근대에 이르기까지, 기근에 의해 사람을 먹었다는 기록이 끊임없이 남아있다. 진나라 이전 조리도구로 보면 철기로 만든 조리도구가 쓰이기 전에 요리라는 개념 자체가 없었던 셈이다. 그냥 국물에 몇 가지 야채나 고기를 넣어 만든 죽의 형태로 먹었을 뿐이다. 곰발바닥 요리나 샥스핀요리 등등 하는 것들을 즐겨 먹었던 중국인들은 그야말로 왕과 귀족 계층 몇 명에 불과했다. 중화인민 공화국이 성립된 이후 중국인들의 식생활은 그야말로 끼니 때우기 수준이었고 이런 상황이 1980년대 중반까지 지속되었다. 오늘날에도 중국인들 가운데 진귀한 요리들을 자기 돈 내고 사먹는 사람들은 별로 없다. 대다수 중국인들은 여전히 저녁 퇴근 시간에 시장에 들려 야채 1가지, 두부 1모 정도를 사가지고 집에서 밥을 해 먹고 있을 뿐이었다. 중국인들이 외식을 통해 요리를 사먹기 시작하고, 제대로 된 회식을 즐겨먹기 시작한 시간은 불과 10여 년에 불과하다. 우린 10여 년에 불과한 중국요리를 가지고 몇 천 년의 무게감을 가지고 바라보고 있는 중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키워드

음식,   문화,   중국,   음식문화
  • 가격1,500
  • 페이지수17페이지
  • 등록일2014.11.30
  • 저작시기2014.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5174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