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처방적 교수이론이란 무엇인가
2. 정의적, 인지적, 심동적 영역
3. 학습의 조건과 위계
4. Gagne의 9가지 교수사태
2. 정의적, 인지적, 심동적 영역
3. 학습의 조건과 위계
4. Gagne의 9가지 교수사태
본문내용
유도하고 학습자는 교수목표 도달을 위한 활동을 하는 단계이다. 즉, 이 단계는 실제로 수업이 일어나는 단계라고 볼 수 있다.
ㆍ피드백 제공
이 단계에서는 학습자의 수행단계에 대한 피드백이 이루어진다. 즉, 학습자의 수행이 얼마나 성공적이고 정확했는지에 대한 결과를 알려 준다. 피드백은 크게 정보적 피드백과 판단적 피드백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정보적 피드백은 오답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주는 피드백이며 판단적 피드백은 정답의 진위여부만을 제공해주는 피드백이다. 고로 오답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주는 정보적 피드백이 판단적 피드백보다 효과적이다.
ㆍ평가
이 단계는 학습자의 학습목표 도달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로 보통 총괄평가와 같은 시험을 통해 학습자의 학습목표 도달수준을 확인한다. 시험 상황은 단순한 암기가 아니라 학습자의 학습내용에 대한 이해의 정도를 점검하기 위해 이전에 주어진 상황과 유사한 문제사태를 제공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ㆍ파지 및 전이
마지막 단계는 일반화의 안계이다. 이는 배운 내용을 새로운 상황에 적용함으로써 정교화하고 배운 내용에 대한 일반화를 추구하기 위한 것이다. 이 과정에서 학습자들은 배운 내용에 대한 정확한 장기기억화가 가능해진다.
ㆍ피드백 제공
이 단계에서는 학습자의 수행단계에 대한 피드백이 이루어진다. 즉, 학습자의 수행이 얼마나 성공적이고 정확했는지에 대한 결과를 알려 준다. 피드백은 크게 정보적 피드백과 판단적 피드백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정보적 피드백은 오답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주는 피드백이며 판단적 피드백은 정답의 진위여부만을 제공해주는 피드백이다. 고로 오답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주는 정보적 피드백이 판단적 피드백보다 효과적이다.
ㆍ평가
이 단계는 학습자의 학습목표 도달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로 보통 총괄평가와 같은 시험을 통해 학습자의 학습목표 도달수준을 확인한다. 시험 상황은 단순한 암기가 아니라 학습자의 학습내용에 대한 이해의 정도를 점검하기 위해 이전에 주어진 상황과 유사한 문제사태를 제공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ㆍ파지 및 전이
마지막 단계는 일반화의 안계이다. 이는 배운 내용을 새로운 상황에 적용함으로써 정교화하고 배운 내용에 대한 일반화를 추구하기 위한 것이다. 이 과정에서 학습자들은 배운 내용에 대한 정확한 장기기억화가 가능해진다.
추천자료
교육심리학의 수업과 교수이론
켈러의 학습동기유발 교수이론과 플랜더스의 언어적 상호작용 모형
브루너Bruner의 발견식 교수이론
[교육공학]교수매체이론
2009년 1학기 교수학습이론과매체 기말시험 핵심체크
2008년 1학기 교수학습이론과매체 중간시험과제물 A형(파블로프/스키너/손다이크)
2010년 1학기 교수학습이론과매체 기말시험 핵심체크
Thorndike의 연결주의 교수-학습이론
Vygotsky의 근접발달영역과 교수학습이론
임용고시 대비 교수학습이론 정리
교육심리학 과목 중 교수이론 부분 요약
교육심리학, 교수학습이론 정리자료
오슈벨의 유의미 교수이론
[교육심리학] 교수이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