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타일러의 수행목표진술
2. 캐롤의 완전학습모형
3. 스키너의 프로그램 학습법의 원리
4. 선행조직자
5. 앵커드 수업모형
6. 인지적 도제이론
7. 목표기반시나리오
8. 원격교육의 장단점
9. 수행목표와 교수목표
10. 가네의 학습과정영역
11. 발견학습의 장단점
12. 상황학습모형의 문제점
13. 문제중심학습
2. 캐롤의 완전학습모형
3. 스키너의 프로그램 학습법의 원리
4. 선행조직자
5. 앵커드 수업모형
6. 인지적 도제이론
7. 목표기반시나리오
8. 원격교육의 장단점
9. 수행목표와 교수목표
10. 가네의 학습과정영역
11. 발견학습의 장단점
12. 상황학습모형의 문제점
13. 문제중심학습
본문내용
적 영역 - 운동기능
11. 발견학습의 장단점
ㆍ장점
- 교과의 기본이 되는 지식의 근간을 학습함으로써 교과에 대한 이해가 용이
- 기초학력 증진
- 다른 교과에 배운내용의 전이 용이
- 직관적 사고능력↑
-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 탐구ㆍ관찰학습 → 지식에 대한 파지 유발
- 발견의 기쁨 → 학습의 내적 동기↑
ㆍ단점
- 학습자의 능동적 학습을 중시하는 과정에서 자칫 방만한 수업이 진행될 가능성이 있다. (교사의 일정한 통제 필요)
- 시간 소요↑
- 우리나라 학교의 경우 한 학급이 대략 30명 정도로 구성되므로 발견학습이 이루어질 경우 학습분위기가 산만해지기 쉬움
- 모든 지식은 학생 스스로 발견해내기 불가능하다.
12. 상황학습모형의 문제점
ㆍ상황학습은 실제적 맥락과 관련된 내용을 학습하는 것으로 학습자의 능동적 수업참여를 유발하며, 흥미와 동기를 증진시켜 준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교사가 설정한 상황과 학습자가 실제로 마주하는 상황은 일치하지 않기 때문에 학습자가 배운 내용을 자신이 겪는 실제 상황에 적용하기 어렵다. 또한, 상황 자체는 학습목표 수준과 내용을 만족시키기 위해 다듬어졌으므로 학습목표에 맞춰서 통제된 상황은 실제 상황과 맞지 않는 경우가 많다.
13. 문제중심학습
ㆍ실제 문제에 관련된 내용을 학습하는 것
ㆍ도입 → 문제제기 → 문제해결 → 발표 및 토의 → 평가
ㆍ교사는 수업에 있어서 조력자의 역할을 해야 하며, 비구조적인 문제를 제시하는 역할을 해야 한다. 그리고 학생들이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메타인지적 코치의 역할을 해야 하며 과제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해 주어야 한다.
11. 발견학습의 장단점
ㆍ장점
- 교과의 기본이 되는 지식의 근간을 학습함으로써 교과에 대한 이해가 용이
- 기초학력 증진
- 다른 교과에 배운내용의 전이 용이
- 직관적 사고능력↑
-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 탐구ㆍ관찰학습 → 지식에 대한 파지 유발
- 발견의 기쁨 → 학습의 내적 동기↑
ㆍ단점
- 학습자의 능동적 학습을 중시하는 과정에서 자칫 방만한 수업이 진행될 가능성이 있다. (교사의 일정한 통제 필요)
- 시간 소요↑
- 우리나라 학교의 경우 한 학급이 대략 30명 정도로 구성되므로 발견학습이 이루어질 경우 학습분위기가 산만해지기 쉬움
- 모든 지식은 학생 스스로 발견해내기 불가능하다.
12. 상황학습모형의 문제점
ㆍ상황학습은 실제적 맥락과 관련된 내용을 학습하는 것으로 학습자의 능동적 수업참여를 유발하며, 흥미와 동기를 증진시켜 준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교사가 설정한 상황과 학습자가 실제로 마주하는 상황은 일치하지 않기 때문에 학습자가 배운 내용을 자신이 겪는 실제 상황에 적용하기 어렵다. 또한, 상황 자체는 학습목표 수준과 내용을 만족시키기 위해 다듬어졌으므로 학습목표에 맞춰서 통제된 상황은 실제 상황과 맞지 않는 경우가 많다.
13. 문제중심학습
ㆍ실제 문제에 관련된 내용을 학습하는 것
ㆍ도입 → 문제제기 → 문제해결 → 발표 및 토의 → 평가
ㆍ교사는 수업에 있어서 조력자의 역할을 해야 하며, 비구조적인 문제를 제시하는 역할을 해야 한다. 그리고 학생들이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메타인지적 코치의 역할을 해야 하며 과제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해 주어야 한다.
키워드
추천자료
목표모형과 내용모형의 비교
브루너의 내용중심 교육과정과 타일러의 목표중심 교육과정 비교
교육목표의 진술과 세분화
[자기주도적학습력][자기주도적학습능력 신장]자기주도적학습의 의미, 자기주도적학습의 특징...
목표기반학습(목표중심시나리오, GBS)의 의의, 목표기반학습(목표중심시나리오, GBS)의 특성...
[협동학습][협동][학습][수준별수업]협동학습의 특징, 협동학습의 선행연구, 협동학습의 모형...
자기주도적학습 정의, 자기주도적학습 특성, 자기주도적학습 원리, 자기주도적학습 ICT(정보...
가네교수학습이론(목표별수업이론)의 개념과 분류, 가네교수학습이론(목표별수업이론)의 특징...
국어과(국어학습, 국어교육)의 의미와 성격, 국어과(국어학습, 국어교육)의 목표, 국어과(국...
교수학습이론 개념,역사,동향, 교수학습이론의 가네학습이론, 교수학습이론의 학교학습이론, ...
행동 목표 진술의 장․단점
가네와블룸 학습조건에 따른 학습목표
9장, 타일러의 교육과정 개발모형을 설명, 비판적 관점에서 평가
협동 학습 모형 {개요, 모형의 특징, 효율적인 수업 방법, 평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