맹자의 생애와 그의 사상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서론

1.맹자의 생애(B.C 372-B.C 289)
2.시대적 배경

본론1-맹자의 기본 사상(윤리설)

1.성선설

본론2-정치사상 : 왕도사상

1.왕도
2.민본주의
3.실천 내용
1)정전제의 시행
2)그 외의 주요 내용

Ⅳ.결론

1.영향
1)중국
2)한국
2.맹자사상의 이론적 약점

본문내용

6세기에 사림파에 의해 정립되었다. 그리고 17,18세기 지배층의 예에 대한 관심 역시 성리학적 왕도 정치를 실현하기 위한 것이였다. 이렇듯 맹자의 왕도 사상은 한국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 유교 정치사상임에는 누구도 부인하지 못할 것이다.
2.맹자사상의 이론적 약점
맹자사상의 이론적 약점은 인성이 선하다고 보는 것에 있는 것이 아니라, 인성을 악에게 기울어지게 하는 인간의 이욕심이 도대체 어디서부터 오는지 설명하지 않음에 있다. 맹자는 그 이기심이 단지 외적 환경의 탓이라고 주장할 뿐이다. 여기에 맹자사상의 철학적 허점이 있다. 비록 이기심이 사회적 환경에서 발달된다고 하더라도, 그것이 허공에서 저절로 생기는 것이 아니고 인간들의 삶에서 오는 것이기에, 인간 자체의 성정과 전혀 무관할 수 없다. 그것과 무관하면서 이기심이 악을 조장한다고 한다면, 그런 생각은 왜 인간만이 별로 쓸모 없는 황금을 탐하면서 도처에 깔려 있는 자갈이나 돌멩이를 거들떠보지 않는가 하는 까닭을 전혀 설명하여 주지 못한다. 맹자의 성선설은 선의 가능 근거를 밝혀 주지만, 악의 근거를 밝히는데는 이론적 약점이 있다고 하겠다.
***참고문헌***
1. 중국사상, 우노데스토, 내외신서.1991
2. 동양철학의 이해, 죽내조부, 까치. 1991
3. 맹자와 순자의 철학사상 김형효, 삼지원 1990
4. 중국사상개론 적가충,사곡치외 , 이론과 실천, 1987
5. 중국철학사상사, 동경대학 중국철학교실, 전남대학교 출판부 1986
6. 철학개론, 철학교재연구회, 이문출판사. 1990
7. 브리태니커 세계대백과 사전. 한국브래태니커회사, 1993

키워드

  • 가격8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2.09.08
  • 저작시기2002.0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0281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