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학교 현장 집단 상담의 특성
2. 집단지도자
3. 집단지도자의 역할
4. 집단지도 기술
2. 집단지도자
3. 집단지도자의 역할
4. 집단지도 기술
본문내용
의 행동에 대한 자신의 반응을 상호간에 솔직히 이야기해 주는 과정을 피드백이라 한다. 앞에서 언급한 [맞닥뜨리기]도 이 범주의 기술이다. 지도자는 집단원들이 바람직한 방법으로 피드백을 주고받도록 모범을 보일 수 있어야 한다. 피드백 주고받기에 유의할 점이 몇 가지 있다:
①생각이나 느낌을 나타내는데 그치고, 상대방의 행동을 강제로 바꾸도록 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하다. 도덕적 혹은 가치판단이 들어가지 않도록 유의한다.
②구체적으로 관찰 가능한 행동에 해하여 그 행동이 일어난 직후에 줄 때 효과적이다.
③주는 이나 받는 이가 모두 피드백을 생산적으로 활용할 마음의 준비가 되어 있어야 한다.
④변화 가능한 행동에 대하여 피드백을 주어야 하며, 가능하면 대안까지 마련해 주는 것이 좋다.
⑤한 사람에게 보다는 집단원 여러 사람에게서 피드백이 더 의미가 있다.
⑥피드백을 받을 때는 관심을 기울이고 상대방의 말의 의미를 확인해 보는 것이 좋다. 이에 따라 공격하거나 합리화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하다.
(16) 강화해주기
강화란 집단원의 말과 행동에 대하여 지도자가 적극적인 피드백을 주어 특정 행동을 조장시키는 기술이다. 예를 들면, 집단분위기를 조성하는 행동, 집단 목표달성에 도움되는 행동, 자기노출 행동, 피드백 행동 등이다.
(17) 저항 처리
집단에 참여한 사람들은 자연히 불안과 긴장을 느끼게 된다. 그래서 움츠려들고, 참여하기를 꺼려하고, 자신을 내어놓기를 주저하고, 과거의 일이나 제 3자에 관한 이야기를 하게 된다. 이 모든 현상은 일종의 저항으로 지도자는 이를 있는 그대로 인정하고, [여기-지금]의 느낌에 초점을 맞출 수 있도록 피드백할 수 있어야 한다.
(18) 전이 다루기
전이는 프로이드에게서 나온 개념으로 과거 경험에서 억압된 느낌을 현재의 비슷한 대상에게 표현하는 현상을 말한다. 과거 경험이 현재의 행동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은 부인할 수 없을 것이다. 집단상담에서는 이 전이현상이 집단지도자에게만 국한되어 일어나는 것이 아니라 집단원 상호간에도 일어난다. 지도자는 전이적 행동을 하고 있다고 보이는 집단원이 나타날 때, 기술적인 피드백을 하여 스스로의 행동을 살펴 볼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예들 들면, "나에 대한 자네의 반응 때문에 어리둥절하다네. 자네는 내가 갖고 있지 않은 어떤 권위적인 힘을 내게 귀속시키고 있는 것 같네."
(19) 역전이 다루기
역전이는 지도자가 집단원에게 나타내는 정서적 반응을 말한다. 만약 지도자가 어떤 집단원에게 역전이 현상에 말려들게 되면, 그는 그 집단원을 이해할 수도 없으며 객관적으로 대할 수도 없게 된다. 이런 경우 지도자는 자기의 감정을 집단에 솔직히 내어놓고 이야기하는 것이다.
(20) 적시성에 유의하기
지도자가 발전시켜야 할 가장 중요한 기술들 중의 하나는 시간에 대한 감각이다. 위에 소개된 어떤 기술도 시기가 적절치 못하면 역효과를 나타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지도자는 집단의 역학적 과정을 잘 이해하여 적절한 때에 여러 가지 기술을 사용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①생각이나 느낌을 나타내는데 그치고, 상대방의 행동을 강제로 바꾸도록 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하다. 도덕적 혹은 가치판단이 들어가지 않도록 유의한다.
②구체적으로 관찰 가능한 행동에 해하여 그 행동이 일어난 직후에 줄 때 효과적이다.
③주는 이나 받는 이가 모두 피드백을 생산적으로 활용할 마음의 준비가 되어 있어야 한다.
④변화 가능한 행동에 대하여 피드백을 주어야 하며, 가능하면 대안까지 마련해 주는 것이 좋다.
⑤한 사람에게 보다는 집단원 여러 사람에게서 피드백이 더 의미가 있다.
⑥피드백을 받을 때는 관심을 기울이고 상대방의 말의 의미를 확인해 보는 것이 좋다. 이에 따라 공격하거나 합리화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하다.
(16) 강화해주기
강화란 집단원의 말과 행동에 대하여 지도자가 적극적인 피드백을 주어 특정 행동을 조장시키는 기술이다. 예를 들면, 집단분위기를 조성하는 행동, 집단 목표달성에 도움되는 행동, 자기노출 행동, 피드백 행동 등이다.
(17) 저항 처리
집단에 참여한 사람들은 자연히 불안과 긴장을 느끼게 된다. 그래서 움츠려들고, 참여하기를 꺼려하고, 자신을 내어놓기를 주저하고, 과거의 일이나 제 3자에 관한 이야기를 하게 된다. 이 모든 현상은 일종의 저항으로 지도자는 이를 있는 그대로 인정하고, [여기-지금]의 느낌에 초점을 맞출 수 있도록 피드백할 수 있어야 한다.
(18) 전이 다루기
전이는 프로이드에게서 나온 개념으로 과거 경험에서 억압된 느낌을 현재의 비슷한 대상에게 표현하는 현상을 말한다. 과거 경험이 현재의 행동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은 부인할 수 없을 것이다. 집단상담에서는 이 전이현상이 집단지도자에게만 국한되어 일어나는 것이 아니라 집단원 상호간에도 일어난다. 지도자는 전이적 행동을 하고 있다고 보이는 집단원이 나타날 때, 기술적인 피드백을 하여 스스로의 행동을 살펴 볼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예들 들면, "나에 대한 자네의 반응 때문에 어리둥절하다네. 자네는 내가 갖고 있지 않은 어떤 권위적인 힘을 내게 귀속시키고 있는 것 같네."
(19) 역전이 다루기
역전이는 지도자가 집단원에게 나타내는 정서적 반응을 말한다. 만약 지도자가 어떤 집단원에게 역전이 현상에 말려들게 되면, 그는 그 집단원을 이해할 수도 없으며 객관적으로 대할 수도 없게 된다. 이런 경우 지도자는 자기의 감정을 집단에 솔직히 내어놓고 이야기하는 것이다.
(20) 적시성에 유의하기
지도자가 발전시켜야 할 가장 중요한 기술들 중의 하나는 시간에 대한 감각이다. 위에 소개된 어떤 기술도 시기가 적절치 못하면 역효과를 나타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지도자는 집단의 역학적 과정을 잘 이해하여 적절한 때에 여러 가지 기술을 사용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추천자료
집단상담의 과정과 운영
집단상담을 통한 아동의 인성교육
집단상담의 원리와 실제
집단상담
학교 현장에서의 놀이치료의 혁신적 적용, 한국의 학교상담, 초등학교 집단상담
아동집단상담을하였을때효과라고할수있는이점을 나열해보세요
청소년집단상담을 통한 사회사업 실천방법
아동집단상담을 하였을 때 효과라고 할 수 있는 이점
[긍정적 자아개념형성]긍정적 자아개념형성의 정의, 긍정적 자아개념형성의 지도, 긍정적 자...
[놀이치료]놀이치료의 의미, 놀이치료의 필요성, 놀이치료의 레크리에이션(레크레이션) 적용,...
집단상담의 과도기와 작업단계
집단상담 과정의 각 단계의 특징과 지도자의 역할에 대해서 서술하시오. - 개념, 장점, 구성,...
집단상담 과정의 각 단계의 특징과 지도자의 역할에 대해서 서술하시오. - 집단 상담의 정의,...
집단상담자의 행동윤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