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제임슨의 자본주의 문화론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A+ 제임슨의 자본주의 문화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다국적 자본주의와 포스트모더니즘

2. 인지적 지도와 총체성

5. 마르크스주의적 숭고의 미학

4. 탈현대와 문화의 우위성

5. 비판적 거리의 소멸

본문내용

alue)가 사용가치(use value)와 분리되고, 자본가가 노동자를 간접통제하는 것처럼 문화영역과 그 실천도 사회경제적 영역으로부터 상대적 자율성을 누릴 수 있게 비교적 분리되어 있었고, 그래서 결과적으로 유토피아적 포부나 초연한 입장의 비판이 가능하였다. 심지어 언어학의 영역에까지 이와 같은 분화의 영향이 나타나서, 언어적 기호(linguistic sign)는 그 지시대상(referent)으로부터의 분리를 초래하게 되었다.
그러나 독점자본주의 단계로부터 다국적 자본주의 단계로 이행하는 과정에서 우리는 문화와 경제의 분화(differentiation)가 소멸되면서 탈분화(dedifferentiation)가 나타난다는 것이다. 자본주의 발전의 탈현대적 단계(postmodern stage)가 되면, 모더니즘 문화의 자율성 공간이 붕괴됨과 동시에 팽창된 자본의 위력이 기호영역과 표상체계 그리고 생활세계의 모든 문화영역에 전면적으로 확산 침투된다. 그래서 후기자본주의 시대에 있어서는 문화적 형식의 생산과 교환 그리고 소비 그 자체가 경제적 실천의 핵심으로 포섭되기에 이르렀다. 그 결과 탈현대적 소비자본주의 사회는 물상화의 극치를 이루게 되었고, 문화영역과 경제영역의 분화는 와해 혹은 내파된 것이다.
제임슨은 이상과 같은 이유에서, 컴퓨터와 비디오 그리고 텔레비전 등 전자매체의 가속화현상으로 특징되는 포스트모더니즘 문화를 후기자본주의의 문화논리로 규정하였다. 후기자본주의 즉 다국적 자본주의의 전세계적 경제체제는 능기의 자유로운 유희에 의하여 세계를 자의적으로 지시하고 의미화함으로써 그 심층적 본질을 왜곡시키는 새로운 문화논리가 필요하고, 이에 부합되는 이데올로기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 포스트모더니즘이라는 것이다. 전통적인 좌파 사회이론은 그 표면적 다양성에도 불구하고, 문화의 비판적 거리(critical distance)라고 하는 하나의 공통성이 있다. 문화적 실천을 저 거대한 자본의 존재밖에 자리매김함으로써, 비판적 거리를 두고 자본의 운동논리를 비판해 왔다.
그러나 문화적 실천과 경제적 실천, 문화적 생산물과 경제적 생산물의 경계가 붕괴되고 문화와 경제가 동일시된 포스트모더니즘이라는 새로운 공간에 있어서는 모더니즘 시대의 비판적 거리가 소멸(the abolition of critical distance)되었다는 것이 제임슨의 주장이다. 이렇게 볼 때, 포스트모더니즘 문화를 무비판적으로 예찬하거나 이에 동조하는 것은 다국적 자본의 운동법칙이 요구하는 역할대행자가 되려는 것에 다름 아니라는 것이다.
비판적 거리를 유지해야 한다는 것은 하나의 귀중한 진리라고 믿는다. 비판적 거리를 상실 한다는 것은 멸망의 길에 들어서는 것일 수도 있기 때문이다. 교회가 종교의 본질, 학교가 교육의 본질, 국회가 입법의 기본정신에 충실한가 그렇지 않은가를 우리는 항상 일정한 심리적 거리 혹은 비판적 거리를 두고 지켜볼 수 있어야 한다. 비판적 거리를 상실하고 내가 다니는 교회에 완전히 동조할 때, 오대양사건이나 사행심을 조장하는 휴거설이나 혹은 종말론에 빠질 위험성이 농후하기 때문이다. 내가 아버지를 존경할수록 항상 아버지와 일정한 심리적 거리, 비판적 거리를 유지하여 아버지가 반사회적 부정에 연루되는 일이 없도록 지켜드리는 것이 참된 효도라 할 수 있을 것이다. 내가 사랑하는 연인이라고 해서 가시밭이 천리라도 따라갈 것이 아니라, 항상 일정한 비판적 거리를 유지하는 가운데 그가 올바른 길을 가도록 경계하는 것이 참된 사랑일 수도 있을 것이다.
제임슨이 비판적 거리의 소멸을 부정적으로 인식한다고 해서, 그가 모더니즘에의 복귀를 요청하는 것은 아니다. 자본주의의 제3단계인 다국적 단계 혹은 포스트모던 단계의 시대상황은 마르크스가 비판했던 시장자본주의나 레닌의 제국주의론이 기술하였던 독점자본주의 시대의 상황과는 전혀 다르기 때문에 우리가 리얼리즘이나 모더니즘으로 되돌아갈 수는 없는 것이다. 제임슨은 포스트모더니즘 예술이 다국적 자본을 재현할 수 있는 새로운 돌파구를 마련하여, 우리가 개인적 주체 및 집단적 주체로의 자신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게하고 그래서 행동하고 투쟁할 수 있는 능력을 되찾을 수 있도록, 예술의 교육적 및 정치적 기능을 수행하여야 한다는 점을 강조한다. 그래서 포스트모더니즘의 정치적 유형이 있다고 하면, 이는 곧 자본주의 발전의 다국적 단계인 우리시대와 사회상에 관한 인지적 지도를 고안하여 이를 예술적 활동에 투사하는 것을 그 소명으로 인식해야 한다는 것이다.
  • 가격2,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4.09.08
  • 저작시기2004.0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6572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