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 1 편 유신론(有神論)
서 론
제 1 장 종교적 논증
제 2 장 본체론적 논증
제 3 장 우주론적 논증
제 4 장 목적론적 논증
제 5 장 심미학적 논증
제 6 장 인론적 논증
제 7 장 도덕적 논증
제 8 장 역사적 논증
제 9 장 반유신제론
제 2 편 유령론(有靈論)
서 언
제 1 장 영생하는 영혼의 보편적 신념
제 2 장 영혼신념의 원천
제 3 장 양심과 심정의 증거
제 4 장 반유령제론 서 평
서 론
제 1 장 종교적 논증
제 2 장 본체론적 논증
제 3 장 우주론적 논증
제 4 장 목적론적 논증
제 5 장 심미학적 논증
제 6 장 인론적 논증
제 7 장 도덕적 논증
제 8 장 역사적 논증
제 9 장 반유신제론
제 2 편 유령론(有靈論)
서 언
제 1 장 영생하는 영혼의 보편적 신념
제 2 장 영혼신념의 원천
제 3 장 양심과 심정의 증거
제 4 장 반유령제론 서 평
본문내용
의미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의지는 성격의 필연적 표현이다. 사람은 아무때에라도 “자아”위에 어떤 영향을 줄 수 있다. 성격은 일정한 버릇, 정신적 도덕적 경향들과 염오들의 내면적 환경과는 부분적으로는 자연적이지만 크게는 개인의 과거 모든 생애에 자주 반복되는 자유선택들과 행동들의 결과이다. 성격은 자유행동들에 의해 창조된 것처럼 새로운 행동들에 의해 수정될 수 있지만 그런 수정은 강하고 꾸준한 노력이 요구된다. 영원한 의와 직각으로서의 양심은 인생 인격의 본질에 속하므로 양심을 부정하는 것은 그 인격자체 즉 영혼의 실재를 부정함이다.
사람만이 인격 적자의식적 존재이다. 사람만이 이성의 소유자이다. 사람은 추상력으로서 자기의 경험을 여러 종류의 요소로 분류하며 또한 추상력으로서 다른 성질을 연합하고 그로부터 유추관념을 작성하나 동물에게는 이러한 능력이 도무지 없다. 사람에게 하나님의 형상인 영혼이 있다는 신념은 사람과 동물의 심리를 비교할 때 오히려 더 굳건해짐을 볼 수 있다.
서 평
변증학 책을 읽으며 나는 하나님을 믿는 전제를 가지고 있음을 의식했다. 만약 내가 어렸을 때부터 하나님을 모르고 자랐을 때에 내 의식 속에 유교적인 사고방식으로 가득차 있었다면 어떻게 이 부분들에 대해 생각하고 주장했을까 하는 생각을 했다. 그러면서 책을 보고 보고서를 쓰면서 느낀 것은 내가 유교적인 가치관의 전제를 가졌던 과학적이고 철학적인 가치관의 전제를 가졌다고 할 지라도 모든 만물의 근본을 거슬러 올라가는 과정과 역사 속에서 이루어지는 하나님을 향한 진보를 보며 우리의 양심과 의지가 향하는 것 또한 하나님께로 향하고 있음을 느낄 수 있었다. 우리의 영혼이 항상 주를 향하고 갈급해 하며 찬양함을 우리는 고백할 수밖에 없는 것이다. 창조주로서 만물의 근본이신 하나님이 우리의 생활과 생각 가운데 나타나지 않고 느껴지지 않는 곳이 없는데 어떻게 하나님의 존재를 부정할 수 있는지 모르겠다. 그들의 주장하는 것은 하나님의 존재하심을 무의식중에 전제하다가 그 중에 이해되지 않거나 그들의 의지에 부합하지 않는 부분들을 들어 하나님 부정하는 것이다. 굳이 자연스러운 하나님의 존재를 부정하기 위하여 그렇게 역류하는 주장을 할 필요는 없는 것이다. 하나님이 계심을 알기에 하지만 그들의 자아가 하나님의 뜻에 굽히기에는 너무 악하기 때문에 그들은 조금이라도 자신의 죄성을 하나님 앞에서 합리화하기 위하여 하나님을 향한 투쟁이 시작된 것이다.
사람만이 인격 적자의식적 존재이다. 사람만이 이성의 소유자이다. 사람은 추상력으로서 자기의 경험을 여러 종류의 요소로 분류하며 또한 추상력으로서 다른 성질을 연합하고 그로부터 유추관념을 작성하나 동물에게는 이러한 능력이 도무지 없다. 사람에게 하나님의 형상인 영혼이 있다는 신념은 사람과 동물의 심리를 비교할 때 오히려 더 굳건해짐을 볼 수 있다.
서 평
변증학 책을 읽으며 나는 하나님을 믿는 전제를 가지고 있음을 의식했다. 만약 내가 어렸을 때부터 하나님을 모르고 자랐을 때에 내 의식 속에 유교적인 사고방식으로 가득차 있었다면 어떻게 이 부분들에 대해 생각하고 주장했을까 하는 생각을 했다. 그러면서 책을 보고 보고서를 쓰면서 느낀 것은 내가 유교적인 가치관의 전제를 가졌던 과학적이고 철학적인 가치관의 전제를 가졌다고 할 지라도 모든 만물의 근본을 거슬러 올라가는 과정과 역사 속에서 이루어지는 하나님을 향한 진보를 보며 우리의 양심과 의지가 향하는 것 또한 하나님께로 향하고 있음을 느낄 수 있었다. 우리의 영혼이 항상 주를 향하고 갈급해 하며 찬양함을 우리는 고백할 수밖에 없는 것이다. 창조주로서 만물의 근본이신 하나님이 우리의 생활과 생각 가운데 나타나지 않고 느껴지지 않는 곳이 없는데 어떻게 하나님의 존재를 부정할 수 있는지 모르겠다. 그들의 주장하는 것은 하나님의 존재하심을 무의식중에 전제하다가 그 중에 이해되지 않거나 그들의 의지에 부합하지 않는 부분들을 들어 하나님 부정하는 것이다. 굳이 자연스러운 하나님의 존재를 부정하기 위하여 그렇게 역류하는 주장을 할 필요는 없는 것이다. 하나님이 계심을 알기에 하지만 그들의 자아가 하나님의 뜻에 굽히기에는 너무 악하기 때문에 그들은 조금이라도 자신의 죄성을 하나님 앞에서 합리화하기 위하여 하나님을 향한 투쟁이 시작된 것이다.
추천자료
신은 있는가 없는가
논리와 논술 알아보기- 논리적 분석의 기초-
토론에 관한 모든것
PD저널리즘과 기자 저널리즘의 비교분석과 PD 저널리즘이 해결해야 할 과제와 발전 방향
PD수첩에 대한 검찰 수사에 대하여 논하시오.
[텔레비전토론][TV토론][토론프로그램][공론장][토론][티비토론]공론장으로서 텔레비전 토론...
[티비토론][티비후보토론]TV토론(TV후보토론)의 의의, TV토론(TV후보토론)의 역사, TV토론(TV...
논리와 사고 홍익대
<논술교육에 대한 비판적 고찰>
[루브릭, 루브릭 의미, 루브릭 역할, 루브릭 형성 사례1(동시짓기), 루브릭 형성 사례2(동시...
[루브릭][루브릭 의미][루브릭 중요성][루브릭 창의성 평가][루브릭 평가준거][루브릭 학습 ...
생태시의 수사학적 분석
행정이념으로서의 합리성에 대한 관련이론과 사례를 통한 실현방안
초등학교 국어 교육과정 내용 상세화 읽기 6-(4) 주장에 대한 근거의 적절성을 판단하며 글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