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성주의적 접근을 통한 미술교육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구성주의적 접근을 통한 미술교육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 론 (문제의 제기와 연구동기)


Ⅱ. 객관주의와 구성주의적 교육방식의 비교
1. 객관주의적 교육의 특징
(1) 객관주의에 대한 이해
(2) 객관주의적 교육의 특징
2. 구성주의적 교육의 특징
(1) 구성주의에 대한 이해
(2) 구성주의적 교육의 특징
① 체험학습(learning by doing)
② 자아성찰적 사고(learning by reflection)
③ 협동학습(learning by collaboration)
④ 실제적 성격의 과제중심의 학습
(learning by authentic task)
⑤ 동료-학습자(co-learner)로서의 교사의 역할
3. 객관주의와 구성주의적 교육방식의 비교

Ⅲ. 미술교육에 대한 구성주의적 접근
1. 구성주의적 미술교육의 필요성
2. 미술교육과 구성주의의 관계
3. 구성주의적 미술교육의 방안
(1) 학습자 중심의 미술교육
(2) 사고과정을 중시하는 미술학습
(3) 실제적 경험과 관련된 미술학습
(4) 상호작용을 통한 미술학습
(5) 통합적 접근을 통한 미술학습


Ⅳ. 결 론

본문내용

맥락 중심의 사고를 중시하는 구성주의적 미술학습이 이루어지기 위해 필요한 전제로, 구체적인 상황을 배경으로 하여 실제적 성격의 미술과제를 다루어야 한다는 것이다. 미술학습에서 구체적 상황에 기반한 실제적 성격의 과제 실행은 기본적으로 통합적 접근을 필요로 한다.
(4) 상호작용을 통한 미술학습
구성주의를 극단적 상대주의와 구분하는 척도는 상호작용을 통한 협동학습(collaborative learning)이다. 상호학습을 통한 협동적 학습은 긍정적 상호의존성을 필요로 한다. 긍정적 상호의존성은 자신의 학습이 학습 과제를 함께 수행하는 동료에게 이익이 되고, 동료의 학습이 자신에게 이익이 된다고 생각할 때, 그리고 격려할 때 이루어진다. 상호의존성을 성취하기 위해서는 목표의 상호의존성, 과제의 상호의존성, 자원의 상호의존성, 역할의 상호의존성, 보상의 상호의존성이 있다.
미술학습에서 상호작용은 교사와 학생 간, 학생과 학생 간에서 이루어진다. 교사와 학생들과의 상호작용은 주제선정 활동 시 교사의 독단으로 결정하는 것이 아닌, 학생들과의 상호작용인 것이다. 이처럼 교사나 동료학습자들과의 상호작용을 통한 미술활동은 나와 다른 사고나 견해와 부딪치면서 생각하고 고민하는 과정 속에서 학습자의 반성능력을 발달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상호작용을 통한 반성과정은 학습한 내용을 내면화하고, 새로운 시각에서 사물을 단면적으로, 다차원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능력을 길러 준다.
(5) 통합적 접근을 통한 미술학습
Dewey에 의하면 미적 경험의 특성은 지각적 경험으로 완전한 통합성이다. 미술에서의 통합은 미술교과 내의 영역 통합과 다른 교과와의 통합을 들 수 있는데, 영역통합은 표현의 경우, 표현으로만 끝내지 않고 감상활동과 연계시킨다던지, 감상학습의 경우도 감상으로 끝내지 않고 감상에서 습득한 미적 정보나 지식을 활용하여 표현에 연계시키는 통합이 있다.
다른 교과와의 통합은 교과간의 울타리를 고려하지 않고 각 교과의 지식이나 경험을 필요한대로 가져다가 학생의 흥미, 문제, 주제, 특정제재 중심으로 교육과정을 재구성하여 통합할 수 있다. 학생들이 실생활에서 경험하는 것들은 다영역적이며 상호작용적이기 때문에 구성주의적 패러다임에서 강조하는 학습목표가 학습자의 자율성, 문제해결 능력, 사고력 등을 키우는데 있다면 통합적인 미술활동의 필요성은 더욱 커진다. 미술 학습활동을 보다 큰 과제와 연계시키고, 활동내용에 대한 다양한 표현이나 관점을 제공하면서 미적 개념이나 정보들의 상호관련성에 강조점을 두어야 한다.
Ⅳ. 결론
지금까지 본 기말논문에서는 현재 우리나라에 형성되어있는 획일적주입식 교육의 근간을 이라고 할 수 있는 객관주의적 교육방식의 특성과 그에 반하는 구성주의적 교육방식의 특성, 그리고 그를 적용한 미술교육방안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현재 우리나라의 공교육은 객관주의 철학의 기초 위에서 성장했기 때문에 지식 중심의 암기식 교육, 획일적인 교육, 이기적 경쟁심을 유발하는 교육 등과 같은 많은 문제점을 안고 있으며, 오늘날과 같이 창의력과 자율적인 사고가 필요시 되는 정보화시대에 어울리는 인재양성을 위해서 우리에게는 구성주의적 철학을 적용한 교육방식이 절실히 요구되는 바이다.
그 중에서도 특히 미술교육은 본래 미술이 구성주의적 요소를 상당한 부분에서 내포하고 있으며, 인간의 자발적 창조 능력을 발현하게 함으로써 여러 가지 사회적 질병을 해결하는 수단이 되기도 하므로, 만약 구성주의적 교육 방식을 우리의 미술교육에 적용하여 적극 활용한다면, 학습자 개개인뿐만이 아니라 사회 전체에 득이 되는 일석이조의 효과를 불러일으킬 것이 명백하다.
또 앞으로 미술교육에서의 성공적인 구성주의 교육방식 도입을 바탕으로 이러한 교육이념을 모든 교과에 적용할 수 있게 된다면, 교육부에서 제시하는 객관주의에 입각한 서너 가지의 수준별 교육과정이 아니라 수천수만 개의 다양한 교육과정이 전국에서 각 학교 각 학급별로 만들어지게 될 것이고, 전국의 모든 학생 한명 한명의 독특한 특성을 살리는 개성화 교육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 참 고 도 서
1. 지크프리트 J. 슈미트 / 박여성 옮김, 「구성주의」 (까치, 1995)
2. 황윤한, 「교수학습 방법의 패러다임적 전환 모색: 객관주의 교육에서 구성주의
교육으로」(한국교육 개발원, 1996)
3. 손은미, 「구성주의와 정의적 측면에서 본 수학교육의 방향」(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4. 박정애, 「포스트모던 미술 미술교육론」(시공사, 2001)
5. 김미숙, 「구성주의 접근 방법을 통한 색체교육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2)
6. 고등학교 미술과 교육과정 해설, <문교부, 1988>
7. 윤미숙, 「미술교육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고등학교를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1991)
8. 김병찬, 「구성주의적 교사양성교육에 대한 질적 사례 연구」(서울대학교 대학원, 2002)
9. 재클린 브룩스 / 최근순 옮김 「구성주의 교수학습론」(백의, 1999)
10. 김종문, 「구성주의 교육학」(교육과학사, 1998)
11. 김정희, 안금희, 「미술과 수행중심 평가」(학문출판, 2001)
■ 참고 인터넷 사이트
1. 미술교육이론
(http://classroom.kice.re.kr/gen_content01/10/9/2/1/1/1641/)
2. 잡지-21세기 미술교육
(http://myhome.hanafos.com/%7Egloryking/matter/theory/theory1-1-1.htm)
3. 21세기를 위한 교육과정 철학
(http://myhome.hanafos.com/%7Ephiloint/lecture/cyber-lectures/edu-philosophy
-21-century-whang-yoon-han.htm)
4. 인간을 위한 구성주의 교육학
(http://madang21.or.kr/edu/0003/86/page1.html)
5. 구성주의와 구성주의자 교육
(http://www.edu4ts.net/ce/ceint.htm)
※ 참고도서나 참고 인터넷 사이트의 내용을 인용한 부분은 각주에
그 출처와 페이지를 명시하였습니다.
  • 가격3,7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5.10.16
  • 저작시기2005.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1602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