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홀리스틱교육의 이해와 필요성
1.어원
2.인간관- 기계론적 인간관, 홀리스틱적 인간관
3.홀리스틱 견해 관점
4.홀리스틱 교육이란
5.홀리스틱 교육의 필요성
홀리스틱 교육의 여러가지 배경
1.철학적 배경
2.심리적 기초
3.역사적 배경
4.사회적 배경
5.동양의 교육사상 유래
홀리스틱 교육 원리 및 방법
1.홀리스틱 교육의 개념
2.교수-학습 원리
3.학습유형
홀리스틱 교육의 10원칙
결론
첨부자료-참고문헌
홀리스틱 교육을 실시하는 대안학교- 마리학교
1.어원
2.인간관- 기계론적 인간관, 홀리스틱적 인간관
3.홀리스틱 견해 관점
4.홀리스틱 교육이란
5.홀리스틱 교육의 필요성
홀리스틱 교육의 여러가지 배경
1.철학적 배경
2.심리적 기초
3.역사적 배경
4.사회적 배경
5.동양의 교육사상 유래
홀리스틱 교육 원리 및 방법
1.홀리스틱 교육의 개념
2.교수-학습 원리
3.학습유형
홀리스틱 교육의 10원칙
결론
첨부자료-참고문헌
홀리스틱 교육을 실시하는 대안학교- 마리학교
본문내용
두고 있다. 결론적으로 말해서 홀리스틱 교육은 균형, 포괄, 연계에 대한 교육이라고 말할 수 있다.
홀리스틱 교육에서 명상(meditation)은 가장 많이 활용되는 방법이다. 만약 세상이 교육의 병폐와 환경의 병으로부터 다시 온전해지려면, 그 주된 방법 중의 하나가 바로 학습자의 내면세계에 대한 주의를 통해서 가능하게 될 것이므로 명상은 학생들의 내면세계를 풍부하게 할 뿐만 아니라, 상상의 세계로 인도하는 데 꼭 수행되어야 할 과제라고 본다. 홀리스틱 교육은 교사의 가장 깊은 곳에서부터 책임감이 우러나와야 하고 교사 스스로 다른 형태의 정신적 자각의 체험이 있어야 하기 때문에 교사의 명상에 대한 새로운 능력은 이러한 과정의 지도 능력에 기초가 된다.
교사는 학생들의 입장에 대한 깊은 공감과 보살핌을 통해 학생들이 가지고 있는 고립감과 단절이 가져다 준 상처를 어루만져 주고 함께 아파하는 영적인 치유자가 되어야 한다는 것이 홀리스틱 교육의 입장이다.
우리는 홀리스틱 교육이 결코 새롭게 등장한 접근법이 아니라는 점을 인식해야 하며, 이미 과거에 존재하던 철학과 심리학에 토대를 두어 교육에 접목 시킨 것임을 알 수 있다. 다시 말하면, 그 동안 우리가 간과해온 교육의 본질을 다시 회복하자는 것이다. 홀리스틱 교육에서는 기존의 이론을 부정하지 않으며, 이러한 이론들의 장점을 최대한 포괄하여 교육현장의 개선에 활용하자는 것이다. 또한 학교교육에서 중요한 교과교육을 소홀히 하지 않음도 주목할 만하다.
이제 까지 우리나라의 교육은 획일화된 인간상을 만들어 냈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획일화된 인간상을 만들어 내는 과정에서 단절과 고립을 경험한 사람에게 마음을 열고 자유롭게 대화하자고 유도하기는 어려운 일이다. 타인에 대한 제도적 통제와 조작이 있는 곳에는 인간 상호간에 있어야 할 존재적 주체성이 부재한다. 대부분의 학교는 대화와 담화로 연결된 열린 공동체라기보다 아직도 권위적인 교육기관이며, 서로를 존중하며 서로의 다름을 인정하고 격려하는데 미숙하다. 그래서 그러한 서로가 존중하며, 인정하고 격려하는 교육이 되기 위해서는 홀리스틱 교육이 필요한 것이다.
그러나 홀리스틱을 적용하고자 할 때도 몇 가지 유의사항은 있다. 지금 현재는 무한경쟁 시대인데 이러한 경쟁에서 부조화를 일으킬 가능성 있다. 홀리스틱 교육은 겉으로 보기에 모두가 조화로운 아름다운 사회를 만들어가는 교육이다. 누가 무엇을 하나 더 알고 '덜 알고에 집착하지 않으며 착한 사람을 만드는 교육이다. 21세기 지식 기반 사회에서 이러한 교육이 과거 경험중심 교육이 행했던 문제점을 고스란히 행하지 않을까하는 우려를 하지 않을 수 없다.
또한 홀리스틱 교육이 강조하는 교육방법인 명상은 영상을 통해 학습자의 내면을 기르며 상상의 날개를 펴도록 하라는 것이다. 그러나 교육은 명상을 하면서 마음을 수련하는 종교와는 다르다. 교육은 다양성을 추구할 자유는 있지만 지식을 버려서는 안 될 의무도 있다.
홀리스틱 교육은 다분히 이상적인 교육이다. 그래서 현대 사회와는 어울리지 않는다거나 현실을 무시한 이론이라고 비판을 받을 여지도 충분하다. 그러나 현대 사회가 가지는 문제점들을 개선하고자 하는 철저한 만성적 시각을 가지고 출발한 이론인 만큼 우리 교육현장 개선을 위해 한번쯤은 귀담아 들어 둘 가치가 있는 것만은 분명하다.
첨부자료 2. 참고문헌& 사이트
홀리스틱 교육의 이해 발행인:일본 홀리스틱 교육 연구회 출판사:책사랑 1999
홀리스틱 교육과정 저자:John P. Miller 역자:김현재 출판사:책사랑 2000
생태주의에 대해:
1)한국교육개발원/교육개발 통권118호 - 젊은이론 <홀리스틱 교육이론>
2) 한국교육개발원/교육개발 통권119호 - 재미있는 교실
<홀리스틱- 상상력 하나로 전과목을 공부할 수 있는 재밌는 방법>
3) 박종규 <자연과의 홀리스틱교육(1)>
4) <홀리스틱 교육 비전선언> http://blog.naver.com/fineone0/60022590463
5) <홀리스틱 교육 원리> 박영만(인천교대 교수) - 박의산 교육학 펌 -
6) 경남교육과학연구원/ 교단지원 3호 <'생명'을 살리는 생태주의교육>
-춘천대학교 손승남교수
7) 대안교육의 철학적 기초 탐색(1) - 생태주의 교육 이념을 중심으로
지율스님/http://blog.naver.com/dnwndud19/140012335592
영원철학에 대해
http://blog.naver.com/fineone0?Redirect=Log&logNo=60022590484
슈타이너에 대해
네이버 백과사전
http://www.waldorf.or.kr/
http://cafe.naver.com/goeunkid.cafe?iframe_url=/ArticleRead.nhn%3Farticleid=23
http://blog.naver.com/fineone0?Redirect=Log&logNo=60023354230
홀리스틱 교육 전반에 대해
http://blog.naver.com/fineone0?Redirect=Log&logNo=60022590514
http://www.holistic.or.kr/
http://blog.naver.com/hojin2778330?Redirect=Log&logNo=140023777385
http://blog.naver.com/hojin2778330?Redirect=Log&logNo=140023777548
http://kin.naver.com/db/detail.php?d1id=11&dir_id=110108&eid=M8ukbNuSdKleqfwRo2c+gV+qqfcVvBJ1
http://reportshop.co.kr/search/view.php?rpID=66743 (레포트구입)
http://www.reportworld.co.kr/report/data/view.html?no=191528(레포트구입)
첨부자료 1. 홀리스틱 교육을 실시하는 대안학교 - 마리학교에 대해서
http://www.mari.or.kr/
마리학교의 교육 이념 - 생명이 곧 하늘
교육목표 - 스스로 살리는 교육
- 서로 살리는 교육
- 세상을 살리는 교육
추구하는 인간상 - 밝은 사람
홀리스틱 교육에서 명상(meditation)은 가장 많이 활용되는 방법이다. 만약 세상이 교육의 병폐와 환경의 병으로부터 다시 온전해지려면, 그 주된 방법 중의 하나가 바로 학습자의 내면세계에 대한 주의를 통해서 가능하게 될 것이므로 명상은 학생들의 내면세계를 풍부하게 할 뿐만 아니라, 상상의 세계로 인도하는 데 꼭 수행되어야 할 과제라고 본다. 홀리스틱 교육은 교사의 가장 깊은 곳에서부터 책임감이 우러나와야 하고 교사 스스로 다른 형태의 정신적 자각의 체험이 있어야 하기 때문에 교사의 명상에 대한 새로운 능력은 이러한 과정의 지도 능력에 기초가 된다.
교사는 학생들의 입장에 대한 깊은 공감과 보살핌을 통해 학생들이 가지고 있는 고립감과 단절이 가져다 준 상처를 어루만져 주고 함께 아파하는 영적인 치유자가 되어야 한다는 것이 홀리스틱 교육의 입장이다.
우리는 홀리스틱 교육이 결코 새롭게 등장한 접근법이 아니라는 점을 인식해야 하며, 이미 과거에 존재하던 철학과 심리학에 토대를 두어 교육에 접목 시킨 것임을 알 수 있다. 다시 말하면, 그 동안 우리가 간과해온 교육의 본질을 다시 회복하자는 것이다. 홀리스틱 교육에서는 기존의 이론을 부정하지 않으며, 이러한 이론들의 장점을 최대한 포괄하여 교육현장의 개선에 활용하자는 것이다. 또한 학교교육에서 중요한 교과교육을 소홀히 하지 않음도 주목할 만하다.
이제 까지 우리나라의 교육은 획일화된 인간상을 만들어 냈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획일화된 인간상을 만들어 내는 과정에서 단절과 고립을 경험한 사람에게 마음을 열고 자유롭게 대화하자고 유도하기는 어려운 일이다. 타인에 대한 제도적 통제와 조작이 있는 곳에는 인간 상호간에 있어야 할 존재적 주체성이 부재한다. 대부분의 학교는 대화와 담화로 연결된 열린 공동체라기보다 아직도 권위적인 교육기관이며, 서로를 존중하며 서로의 다름을 인정하고 격려하는데 미숙하다. 그래서 그러한 서로가 존중하며, 인정하고 격려하는 교육이 되기 위해서는 홀리스틱 교육이 필요한 것이다.
그러나 홀리스틱을 적용하고자 할 때도 몇 가지 유의사항은 있다. 지금 현재는 무한경쟁 시대인데 이러한 경쟁에서 부조화를 일으킬 가능성 있다. 홀리스틱 교육은 겉으로 보기에 모두가 조화로운 아름다운 사회를 만들어가는 교육이다. 누가 무엇을 하나 더 알고 '덜 알고에 집착하지 않으며 착한 사람을 만드는 교육이다. 21세기 지식 기반 사회에서 이러한 교육이 과거 경험중심 교육이 행했던 문제점을 고스란히 행하지 않을까하는 우려를 하지 않을 수 없다.
또한 홀리스틱 교육이 강조하는 교육방법인 명상은 영상을 통해 학습자의 내면을 기르며 상상의 날개를 펴도록 하라는 것이다. 그러나 교육은 명상을 하면서 마음을 수련하는 종교와는 다르다. 교육은 다양성을 추구할 자유는 있지만 지식을 버려서는 안 될 의무도 있다.
홀리스틱 교육은 다분히 이상적인 교육이다. 그래서 현대 사회와는 어울리지 않는다거나 현실을 무시한 이론이라고 비판을 받을 여지도 충분하다. 그러나 현대 사회가 가지는 문제점들을 개선하고자 하는 철저한 만성적 시각을 가지고 출발한 이론인 만큼 우리 교육현장 개선을 위해 한번쯤은 귀담아 들어 둘 가치가 있는 것만은 분명하다.
첨부자료 2. 참고문헌& 사이트
홀리스틱 교육의 이해 발행인:일본 홀리스틱 교육 연구회 출판사:책사랑 1999
홀리스틱 교육과정 저자:John P. Miller 역자:김현재 출판사:책사랑 2000
생태주의에 대해:
1)한국교육개발원/교육개발 통권118호 - 젊은이론 <홀리스틱 교육이론>
2) 한국교육개발원/교육개발 통권119호 - 재미있는 교실
<홀리스틱- 상상력 하나로 전과목을 공부할 수 있는 재밌는 방법>
3) 박종규 <자연과의 홀리스틱교육(1)>
4) <홀리스틱 교육 비전선언> http://blog.naver.com/fineone0/60022590463
5) <홀리스틱 교육 원리> 박영만(인천교대 교수) - 박의산 교육학 펌 -
6) 경남교육과학연구원/ 교단지원 3호 <'생명'을 살리는 생태주의교육>
-춘천대학교 손승남교수
7) 대안교육의 철학적 기초 탐색(1) - 생태주의 교육 이념을 중심으로
지율스님/http://blog.naver.com/dnwndud19/140012335592
영원철학에 대해
http://blog.naver.com/fineone0?Redirect=Log&logNo=60022590484
슈타이너에 대해
네이버 백과사전
http://www.waldorf.or.kr/
http://cafe.naver.com/goeunkid.cafe?iframe_url=/ArticleRead.nhn%3Farticleid=23
http://blog.naver.com/fineone0?Redirect=Log&logNo=60023354230
홀리스틱 교육 전반에 대해
http://blog.naver.com/fineone0?Redirect=Log&logNo=60022590514
http://www.holistic.or.kr/
http://blog.naver.com/hojin2778330?Redirect=Log&logNo=140023777385
http://blog.naver.com/hojin2778330?Redirect=Log&logNo=140023777548
http://kin.naver.com/db/detail.php?d1id=11&dir_id=110108&eid=M8ukbNuSdKleqfwRo2c+gV+qqfcVvBJ1
http://reportshop.co.kr/search/view.php?rpID=66743 (레포트구입)
http://www.reportworld.co.kr/report/data/view.html?no=191528(레포트구입)
첨부자료 1. 홀리스틱 교육을 실시하는 대안학교 - 마리학교에 대해서
http://www.mari.or.kr/
마리학교의 교육 이념 - 생명이 곧 하늘
교육목표 - 스스로 살리는 교육
- 서로 살리는 교육
- 세상을 살리는 교육
추구하는 인간상 - 밝은 사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