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절의 유래와 현재의 노동절이 적합한가? 현재의 노동절의 의미에 대한 평가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노동절의 유래와 현재의 노동절이 적합한가? 현재의 노동절의 의미에 대한 평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노동절의 역사

1. 5월 1일, 노동절 (May day)의 유래
(1) 19세기의 노동운동
(2) 헤이마켓 사건
(3) 제2인터내셔널 창립총회
2. 한국 노동절의 역사
(1) 노동절(May Day) 의 역사
(2) 근로자의 날에 대한 우리나라 노동운동가들의 해석

Ⅱ. May Day 는 왜 올바르지 않는가?
1. 미국의 노동절(Labor Day)의 유래
2. 미국에서는 왜 May Day가 아닌 Labor Day인 가?
3. May Day는 바뀌어야만 하는가?
(1) May Day 가 말하는 노동자의 의미
(2) 공산당 선언을 통해본 노동자의 의미
4. 진정한 의미의 노동절은 언제가 되어야 하는가?

본문내용

노예를 빠뜨리지 않을 수 없기 때문에 부르주아지는 지배할 능력이 없는 것이다. 사회는 더 이상 부르주아지 밑에서 살아갈 수 없다. 즉 부르주아지의 생활은 더 이상 사회와 양립할 수 없는 것이다」 -공산당 선언 중-
공산당 선언에서 보여지는 부르주아와 프롤레타리아와의 관계는 사용자가 살아남기 위해 노동자를 착취하여야 한다고 규정한다. 여기서 May Day 가 의미하는 노동자의 의미가 극명하게 들어난다. 노동자와 사용자는 양립할 수 없다. 따라서 노동자는 투쟁하여야 하고 승리하여야 하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May Day 의 의미는 사용자와 노동자가 편을 갈라 서로의 생존을 위해 싸우는 날 인 것이다.
4. 진정한 의미의 노동절은 언제가 되어야 하는가?
앞서 얘기했던 것처럼 진정한 노동절은 사용자와 노동자가 편을 갈라 싸우는 날이 아닌 ‘일하는 사람’ 이라면 누구나 함께 즐길 수 있는 의미의 노동절이 되어야 할 것이다. 노동절에는 사용자와 노동자 간의 투쟁보다는 서로가 어울려 함께 쉴 수 있어야 할 것이며, 그런 노동절의 의미는 한국의 노사관계를 한 단계 성숙시킬 수 있는 발판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앞으로의 노동절은 마르크스가 주장하던 5월 1일 May Day 가 아닌, 한국의 노동운동사에 한 획을 그으며 많은 영향을 준 전태일 분신자살이 있었던 11월 13일이 되어야 한다.
전태일 분신자살사건 이후로 1970년 청계피복노동조합을 시작으로 2500여개의 노동조합이 설립되었으며, 노동자의 권위가 크게 향상된 것이 사실이다. 전태일 분신자살사건은 한국 노동운동의 진정한 출발점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항간에는 전태일 분신자살사건의 영향으로 노동운동이 더욱 과격한 시위문화를 갖게 됐다고 말하기도 하나 이는 마르크스주의에 영향을 받은 노동운동 세력이 이 사건을 정치적으로 이용했기 때문이다.
전태일, 그가 주장했던 것은 마르크스가 주장했던 혁명이 아닌 근로기준법의 준수, 그리고 노동자들에 대한 인간적인 대우와 근로조건의 개선인 것이다. 그가 꿈꿨던 이상을 올바르게 알고, 매년 11월 13일, 그 뜻을 되새기면서 우리는 그 이상을 올바르게 실천하여야 한다.
※. 참고문헌
「칼 맑스 프리드리히 엥겔스 저작 선집 1」 (1992년, 박종철)
「전태일 평전」 (1991년, 조영래)
「제2인터내셔널과 사회주의 노동운동」(1992년, 강신중)
http://www.nodong.org/ 민주노총 홈페이지
  • 가격4,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7.05.16
  • 저작시기2007.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0901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