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법원의 의미
Ⅱ. 법원의 종류
1. 민법 제1조의 법원
(1) 법률
(2) 관습법(慣習法)
가. 의의-
나. 제정법에 대한 관습법의 효력
① 학설
ⅰ) 보충적 효력설:
ⅱ) 변경적 효력설:
② 판례
․③ 소결:
(3) 조리(條理)
가. 의의-
나. 조리의 법원성
① 긍정설(판례)-
② 부정설-
③ 사견-
2. 그 밖의 법원
(1) 판례
(2) 학설 -
(3) 당사자의 의사표시 -
Ⅱ. 법원의 종류
1. 민법 제1조의 법원
(1) 법률
(2) 관습법(慣習法)
가. 의의-
나. 제정법에 대한 관습법의 효력
① 학설
ⅰ) 보충적 효력설:
ⅱ) 변경적 효력설:
② 판례
․③ 소결:
(3) 조리(條理)
가. 의의-
나. 조리의 법원성
① 긍정설(판례)-
② 부정설-
③ 사견-
2. 그 밖의 법원
(1) 판례
(2) 학설 -
(3) 당사자의 의사표시 -
본문내용
한 판례가 거듭되면 추상적인 원칙이 확립되어 사실상 법원으로서 기능을 하게 된다.
(2) 학설 - 학설 자체는 법원이 아니지만 ‘법원’의 형성에 영향을 줄 수 있다고 본다.
(3) 당사자의 의사표시 - 계약에서 당사자의 의사표시는 당사자의 권리의무를 설정하는 규범이라는 점에서 법원성이 있다. 단, 이것이 강행규범에 반하지는 않아야 그 효력이 인정된다.
(2) 학설 - 학설 자체는 법원이 아니지만 ‘법원’의 형성에 영향을 줄 수 있다고 본다.
(3) 당사자의 의사표시 - 계약에서 당사자의 의사표시는 당사자의 권리의무를 설정하는 규범이라는 점에서 법원성이 있다. 단, 이것이 강행규범에 반하지는 않아야 그 효력이 인정된다.
키워드
추천자료
친족법 민법 제809조 제1항 근친혼금지,동성동본불혼제도
선거 관련법과 판례 국가별 비교
2004년 1학기 법학과 민법 형법 및 7법 각 대학 중간고사 기출문제
백태승 교수 선정 민법총칙 20대 판례
민법상의 자주점유와 타주점유에 대한 이론과 판례
[민법]실효의 원칙 이론과 관련판례
민법 제 2조에 관한 판례조사
[공정거래법]2004년부터 2007년 현재까지 경제력집중억제에 대한 판례와 심결례 중에서 1개를...
신문법-언론중재법 판례평석[헌재 2006.06.29. 2005헌마165, 2005헌마314, 2005헌마555, 2005...
민법 103조〔반사회질서의 법률행위〕의 분석 및 판례의 경향
(공정거래법D형)2001년부터 2010년 현재까지 경제력집중억제에 대한 판례와 심결례 중에서 1...
민법과 사회복지법에 대해서 서술
징계 전반에 대한 노동법 판례 연구
[부정경쟁방지법 판례연구] 저작물 제호의 부정경쟁방지법에 의한 보호가능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