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가. 정의
나. 발병원인
다. 발병과정
라. 임상증상
라-1. 구체적인 임상증상의 경로
라-2. 류마티스관절염에 나타나는 관절외의 임상증상
마. 그 밖의 류마티스 관절염에 관한 의학적인 궁금증들
1. 류마티스 관절염은 불치병이라느데 사실인가
2. 류마티스 관절염은 어떤 계절이나 날씨에 더 아픈 것 일까
3. 류마티스관절염은 왜 여자한테 더 많을까
4. 류마티스 관절염은 왜 아침에 더 아플까
5. 류마티스 관절염은유전이 되나
6. 류마티스 관절염도 전염되는 병인가
7. 혈액순환이 잘 안 된다는 말이 있는데
8. 뼈가 약해진다는데
9. 류마티스 관절염과 퇴행성 관절염은 어떻게 다른가
*참고문헌
나. 발병원인
다. 발병과정
라. 임상증상
라-1. 구체적인 임상증상의 경로
라-2. 류마티스관절염에 나타나는 관절외의 임상증상
마. 그 밖의 류마티스 관절염에 관한 의학적인 궁금증들
1. 류마티스 관절염은 불치병이라느데 사실인가
2. 류마티스 관절염은 어떤 계절이나 날씨에 더 아픈 것 일까
3. 류마티스관절염은 왜 여자한테 더 많을까
4. 류마티스 관절염은 왜 아침에 더 아플까
5. 류마티스 관절염은유전이 되나
6. 류마티스 관절염도 전염되는 병인가
7. 혈액순환이 잘 안 된다는 말이 있는데
8. 뼈가 약해진다는데
9. 류마티스 관절염과 퇴행성 관절염은 어떻게 다른가
*참고문헌
본문내용
기는 병이지, 전염되는 병 즉, 관절염 환자옆에 있다고 해서 류마티스관절염을 옮겨 받거나 옮긴다는 생각은 잘못된 생각이다.
7. 혈액순환이 잘 안 된다는 말이 있는데...
물론 어떤 병이든지 소위 염증이 있다고 하는 것은 그 염증부위에 백혈구나 적혈구등 많은 피가 몰려서 그 주위에 울혈이 생기고, 붓고, 염증을 더 악화 시키는 작용을 한다. 그러므로 단순히 혈액순환이 안 된다는 말만으로 설명할 수가 없다. 흔히들 혈액순환이 안 되어서 아프다고 이야기를 하는데 이것은 어떠한 특별한 병이나 진단을 말하는 것이 아니다.
관절의 피돌기를 많이 한다는 의미로도 말하지만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의 관절내에는 오히려 피가 너무 많이 모이게 된다. 이 때문에 통상 일반인들 사이에서 혈액순환이 안되기 때문에 혈액순환을 잘되게 하면 치료가 된다고 하는 논리는 적절한 설명이 못된다.
8. 뼈가 약해진다는데...?
류마티스 관절염이 오래되면 관절부근의 뼈가 상당히 약해지는 것이 사실이다. 그 이유는 관절염 자체가 뼈를 약하게 하는 작용도 하지만 환자 스스로가 관절이 아프니까 움직이지 않고 오랫동안 누워 있거나 가능하면 움직이지 않으려고 해서 점차로 뼈가 약해지는 경우도 상당히 많다. 류마티스 관절염을 치료하면 관절이 덜 아파지며 골다공증(뼈가 약해지는 병)도 회복하는 것이 보통이다. 따라서, 류마티스 관절염의 치료하고 또, 뼈가 약해지지 않도록 운동요법도 하고 골다공증을 치료해야지 무조건 골다공증만 염려하여 류마티스 관절염을 치료하지 않고, 골다공증만 치료하는 것은 잘못된 일이다. 골다공증은 주로 폐경기이후 여성에게 많이 오는데 이 역시 우리 몸이 전신적으로 늙어가는 소위 퇴행성변화의 하나로 그것이 아주 지나칠 때에 골다공증이라고 하는 것이다. 그런데 이 골다공증이 류마티스 관절염환자들한테는 폐경기 이전이더라도 병의 진전에 따라올 수도 있다.
9. 류마티스 관절염과 퇴행성 관절염은 어떻게 다른가?
류마티스 관절염은 우리 몸의 면역성의 이상으로 올 수 있는 병으로써 나이에 관계없이 아이에서부터 나이 드신 노인에 이르기까지 어느 연령에서든지 발생할 수 가 있다. 반면에 퇴행성 관절염은 관절이 나이가 듦에 따라 피부가 주름지고 머리가 쇠고 동맥경화가 오는것과 마찬가지로 관절안의 연골(소위 말하는 물렁뼈)이 주름이 지거나 닳아 없어지는 것을 말한다. 퇴행성관절염은 40대 이후 50대 그리고 나이가 들어갈수록 발생률이 높아진다. 그리고 주로 침범하는 관절부위가 서로 조금씩 다른데 류마티스 관절염은 손가락, 발가락, 손목, 무릎, 발목 같은 관절에 많이 오지만 퇴행성관절염은 손가락 끝마디, 무릎 혹은 발목, 척추 그 중에서도 요추같은 체중이 실리는 즉 몸무게가 많이 걸리는 관절에 많이 나타난다. 이외의 차이점은 아래의 도표와 같다.
류마티스관절염과 골관절염 비교
류마티스관절염
골관절염
빈도
1%
10~15%
연령
소아이상(여성75%)
50대 이후(여성 약2배)
원이
자가 면역기능 이상
연령 및 기타원인
부위
손, 손목 등 작은 관절 대칭적
체중부하가 많은 관절 무릎 고관절
병리
활액막 염증
연골변성
면역학검사
비정상
정상
증상시기
주로 오전
주로 오후
관절 외 증상
있음
없음
진행
빠르다
느리다
*참고문헌
1. 두산대백과 사전
2. 경희대학교 동서신의학병원 관절·류마티스센터 홈페이지 http://www.kharc.com/
3. http://www.rheumatis.org/frame.htm
4. http://user.chollian.net/~jazzy67/Rheumatism1.htm
5.http://news.naver.com/tv/read.php?mode=LSS2D§ion_id=115§ion_id2=291&office_id=052&article_id=0000163676&menu_id=115
*목차
가. 정의
나. 발병원인
다. 발병과정
라. 임상증상
라-1. 구체적인 임상증상의 경로
라-2. 류마티스관절염에 나타나는 관절외의 임상증상
마. 그 밖의 류마티스 관절염에 관한 의학적인 궁금증들
1. 류마티스 관절염은 불치병이라느데 사실인가
2. 류마티스 관절염은 어떤 계절이나 날씨에 더 아픈 것 일까
3. 류마티스관절염은 왜 여자한테 더 많을까
4. 류마티스 관절염은 왜 아침에 더 아플까
5. 류마티스 관절염은유전이 되나
6. 류마티스 관절염도 전염되는 병인가
7. 혈액순환이 잘 안 된다는 말이 있는데
8. 뼈가 약해진다는데
9. 류마티스 관절염과 퇴행성 관절염은 어떻게 다른가
*참고문헌
7. 혈액순환이 잘 안 된다는 말이 있는데...
물론 어떤 병이든지 소위 염증이 있다고 하는 것은 그 염증부위에 백혈구나 적혈구등 많은 피가 몰려서 그 주위에 울혈이 생기고, 붓고, 염증을 더 악화 시키는 작용을 한다. 그러므로 단순히 혈액순환이 안 된다는 말만으로 설명할 수가 없다. 흔히들 혈액순환이 안 되어서 아프다고 이야기를 하는데 이것은 어떠한 특별한 병이나 진단을 말하는 것이 아니다.
관절의 피돌기를 많이 한다는 의미로도 말하지만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의 관절내에는 오히려 피가 너무 많이 모이게 된다. 이 때문에 통상 일반인들 사이에서 혈액순환이 안되기 때문에 혈액순환을 잘되게 하면 치료가 된다고 하는 논리는 적절한 설명이 못된다.
8. 뼈가 약해진다는데...?
류마티스 관절염이 오래되면 관절부근의 뼈가 상당히 약해지는 것이 사실이다. 그 이유는 관절염 자체가 뼈를 약하게 하는 작용도 하지만 환자 스스로가 관절이 아프니까 움직이지 않고 오랫동안 누워 있거나 가능하면 움직이지 않으려고 해서 점차로 뼈가 약해지는 경우도 상당히 많다. 류마티스 관절염을 치료하면 관절이 덜 아파지며 골다공증(뼈가 약해지는 병)도 회복하는 것이 보통이다. 따라서, 류마티스 관절염의 치료하고 또, 뼈가 약해지지 않도록 운동요법도 하고 골다공증을 치료해야지 무조건 골다공증만 염려하여 류마티스 관절염을 치료하지 않고, 골다공증만 치료하는 것은 잘못된 일이다. 골다공증은 주로 폐경기이후 여성에게 많이 오는데 이 역시 우리 몸이 전신적으로 늙어가는 소위 퇴행성변화의 하나로 그것이 아주 지나칠 때에 골다공증이라고 하는 것이다. 그런데 이 골다공증이 류마티스 관절염환자들한테는 폐경기 이전이더라도 병의 진전에 따라올 수도 있다.
9. 류마티스 관절염과 퇴행성 관절염은 어떻게 다른가?
류마티스 관절염은 우리 몸의 면역성의 이상으로 올 수 있는 병으로써 나이에 관계없이 아이에서부터 나이 드신 노인에 이르기까지 어느 연령에서든지 발생할 수 가 있다. 반면에 퇴행성 관절염은 관절이 나이가 듦에 따라 피부가 주름지고 머리가 쇠고 동맥경화가 오는것과 마찬가지로 관절안의 연골(소위 말하는 물렁뼈)이 주름이 지거나 닳아 없어지는 것을 말한다. 퇴행성관절염은 40대 이후 50대 그리고 나이가 들어갈수록 발생률이 높아진다. 그리고 주로 침범하는 관절부위가 서로 조금씩 다른데 류마티스 관절염은 손가락, 발가락, 손목, 무릎, 발목 같은 관절에 많이 오지만 퇴행성관절염은 손가락 끝마디, 무릎 혹은 발목, 척추 그 중에서도 요추같은 체중이 실리는 즉 몸무게가 많이 걸리는 관절에 많이 나타난다. 이외의 차이점은 아래의 도표와 같다.
류마티스관절염과 골관절염 비교
류마티스관절염
골관절염
빈도
1%
10~15%
연령
소아이상(여성75%)
50대 이후(여성 약2배)
원이
자가 면역기능 이상
연령 및 기타원인
부위
손, 손목 등 작은 관절 대칭적
체중부하가 많은 관절 무릎 고관절
병리
활액막 염증
연골변성
면역학검사
비정상
정상
증상시기
주로 오전
주로 오후
관절 외 증상
있음
없음
진행
빠르다
느리다
*참고문헌
1. 두산대백과 사전
2. 경희대학교 동서신의학병원 관절·류마티스센터 홈페이지 http://www.kharc.com/
3. http://www.rheumatis.org/frame.htm
4. http://user.chollian.net/~jazzy67/Rheumatism1.htm
5.http://news.naver.com/tv/read.php?mode=LSS2D§ion_id=115§ion_id2=291&office_id=052&article_id=0000163676&menu_id=115
*목차
가. 정의
나. 발병원인
다. 발병과정
라. 임상증상
라-1. 구체적인 임상증상의 경로
라-2. 류마티스관절염에 나타나는 관절외의 임상증상
마. 그 밖의 류마티스 관절염에 관한 의학적인 궁금증들
1. 류마티스 관절염은 불치병이라느데 사실인가
2. 류마티스 관절염은 어떤 계절이나 날씨에 더 아픈 것 일까
3. 류마티스관절염은 왜 여자한테 더 많을까
4. 류마티스 관절염은 왜 아침에 더 아플까
5. 류마티스 관절염은유전이 되나
6. 류마티스 관절염도 전염되는 병인가
7. 혈액순환이 잘 안 된다는 말이 있는데
8. 뼈가 약해진다는데
9. 류마티스 관절염과 퇴행성 관절염은 어떻게 다른가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