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序
Ⅱ. 개념학습의 특징과 이에 대한 평가 및 의견
1. 개념학습의 특징
2. 현대 교육에 적용 시 평가 및 의견제시
Ⅲ. 탐구수업의 특징과 이에 대한 평가 및 의견
1. 탐구수업의 특징
2. 현대 교육에 적용 시 평가 및 의견제시
Ⅳ. 가치탐구의 특징과 이에 대한 평가 및 의견
1. 가치탐구의 특징
2. 현대 교육에 적용 시 평가 및 의견제시
Ⅴ. 종합적 모형의 특징과 이에 대한 평가 및 의견
1. 종합적 모형의 특징
2. 현대 교육에 적용 시 평가 및 의견제시
Ⅵ. 질문법의 특징과 이에 대한 평가 및 의견
1. 질문법의 특징
2. 현대 교육에 적용 시 평가 및 의견제시
Ⅶ. 새로운 사회과 교육의 특징과 이에 대한 평가 및 의견
1. 새로운 사회과 교육의 특징
2. 현대 교육에 적용 시 평가 및 의견제시
Ⅷ. 結
Ⅱ. 개념학습의 특징과 이에 대한 평가 및 의견
1. 개념학습의 특징
2. 현대 교육에 적용 시 평가 및 의견제시
Ⅲ. 탐구수업의 특징과 이에 대한 평가 및 의견
1. 탐구수업의 특징
2. 현대 교육에 적용 시 평가 및 의견제시
Ⅳ. 가치탐구의 특징과 이에 대한 평가 및 의견
1. 가치탐구의 특징
2. 현대 교육에 적용 시 평가 및 의견제시
Ⅴ. 종합적 모형의 특징과 이에 대한 평가 및 의견
1. 종합적 모형의 특징
2. 현대 교육에 적용 시 평가 및 의견제시
Ⅵ. 질문법의 특징과 이에 대한 평가 및 의견
1. 질문법의 특징
2. 현대 교육에 적용 시 평가 및 의견제시
Ⅶ. 새로운 사회과 교육의 특징과 이에 대한 평가 및 의견
1. 새로운 사회과 교육의 특징
2. 현대 교육에 적용 시 평가 및 의견제시
Ⅷ. 結
본문내용
초대하는 일련의 활동이 그리 만만치는 않을 것이다. 시간상의 제약, 재정적인 제약, 기타 수많은 변수로 인하여 이러한 수업은 연례행사의 수준을 벗어나지 못할수도 있을 것이다.
Ⅷ. 結
어느 특정모형이 다른 수업모형에 비해서 절대적으로 우월하다고는 말할 수 없을 것이다. 각자 모형마다 추구하는 교육관이 다름에서 출발하였기에 그의 방법론으로써 앞서 살펴본 모형들이 탄생된 것이다. 현재 교직이수를 받고 있는 학생의 입장에서 교육학자가 아닌 이상 미래의 바람직한 교수학습법에 대해 새롭게 창조하여 제시 한다는 것은 현실적으로 무리가 있다고 본다. 다만 현재 혹은 미래의 교육이 나아가야 할 큰 방향으로는 과거 주입식 교육에서와 같이 교사가 정해진 개념을 암기시키는 방식 보다는 학생들 스스로 문제를 인식하고 자료를 찾아 그것에 대해 서로 토론을 통하여 결론을 도출하는 수업의 형태가 기본 전제가 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새로운 교수-학습법에서 제시하고 있는 고등사고력 함양을 위한 읽기와 쓰기가 더욱 중요시 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어떻게 보면 가장 기본적인 학습 능력인 읽기와 쓰기를 강화함으로써 학습능력의 기본기를 탄탄하게 해야만이 다른 학습을 함에 있어서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고, 자신의 의견을 논리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능력이 길러질 수 있기 때문이다. 물론 이 모형 이외에 앞서 살펴본 다른 여러 모형들 중에서 장점들을 취사 선택하여 적용시키는 것도 포함된다면 보다 창의적이고 학생들의 참여를 이끌게 되어 살아있는 수업이 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하는 바이다.
<교수님 한 학기 동안 수고하셨습니다. 감사합니다.>
Ⅷ. 結
어느 특정모형이 다른 수업모형에 비해서 절대적으로 우월하다고는 말할 수 없을 것이다. 각자 모형마다 추구하는 교육관이 다름에서 출발하였기에 그의 방법론으로써 앞서 살펴본 모형들이 탄생된 것이다. 현재 교직이수를 받고 있는 학생의 입장에서 교육학자가 아닌 이상 미래의 바람직한 교수학습법에 대해 새롭게 창조하여 제시 한다는 것은 현실적으로 무리가 있다고 본다. 다만 현재 혹은 미래의 교육이 나아가야 할 큰 방향으로는 과거 주입식 교육에서와 같이 교사가 정해진 개념을 암기시키는 방식 보다는 학생들 스스로 문제를 인식하고 자료를 찾아 그것에 대해 서로 토론을 통하여 결론을 도출하는 수업의 형태가 기본 전제가 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새로운 교수-학습법에서 제시하고 있는 고등사고력 함양을 위한 읽기와 쓰기가 더욱 중요시 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어떻게 보면 가장 기본적인 학습 능력인 읽기와 쓰기를 강화함으로써 학습능력의 기본기를 탄탄하게 해야만이 다른 학습을 함에 있어서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고, 자신의 의견을 논리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능력이 길러질 수 있기 때문이다. 물론 이 모형 이외에 앞서 살펴본 다른 여러 모형들 중에서 장점들을 취사 선택하여 적용시키는 것도 포함된다면 보다 창의적이고 학생들의 참여를 이끌게 되어 살아있는 수업이 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하는 바이다.
<교수님 한 학기 동안 수고하셨습니다. 감사합니다.>
추천자료
협동학습 교수학습 모형 - 고등학교 3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화법이론]말하기, 듣기 교수학습 모형에 대한 고찰
[협동학습모형]협동학습모형의 개념, STAD(모둠성취분담모형)협동학습모형, TGT(팀게임토너먼...
사회과 교수학습 모형-문제해결학습모형
TGT(팀게임토너먼트)협동학습모형의 개념, TGT(팀게임토너먼트)협동학습모형의 특성, TGT(팀...
개념학습(개념형성학습)의 개념, 개념학습(개념형성학습)의 이론적 기초, 개념학습(개념형성...
CIRC(읽기쓰기통합모형)협동학습모형의 개념과 특성, CIRC(읽기쓰기통합모형)협동학습모형의 ...
5학년) <(체육)과 교수-학습 과정안 (91쪽 (4/8 )차시) 게임활동중심 학습모형> 2. 주먹야구...
5학년) <(사회)과 교수-학습 과정안 (사 114~116쪽, 사탐 88~89쪽(8/ 17)차시) 탐구학습모형>...
초등 6) <(효 교육 (재량활동))과 교수-학습 과정안 ((1 / 1 )차시) 일반학습모형> 효 교육 -...
초등6) <(체육)과 교수-학습 과정안 (교과서 P.126 ( 1/5 )차시) 표현중심학습모형형> 4. 표...
5학년) <(사회)과 교수-학습 과정안 (사회 107~111쪽, 사탐107~109쪽 / (5/17)차시), 협력학...
3학년) <(국어)과 교수-학습 과정안 (쓰기 210~215쪽 / (4/4)차시), 문제해결학습모형> 6. 좋...
[오개념, 오개념 정의, 학습모형, 수학 오개념, 과학 오개념]오개념의 정의, 오개념과 학습모...